$\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간최적화 모델을 활용한 환경계획의 공간화 방안
Suggestion for Spatialization of Environmental Planning Using Spatial Optimization Model 원문보기

環境復元綠化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21 no.2, 2018년, pp.27 - 38  

윤은주 (서울대학교 협동과정 조경학) ,  이동근 (서울대학교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  허한결 (서울대학교 협동과정 조경학) ,  성현찬 (고려대학교 환경 GIS)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nvironmental planning includes resource allocation and spatial planning process for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environment. Because the spatialization of the environmental planning is not specifically addressed in the relevant statutes, it actually depends on the qualitative methodology su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럼에도 현 시점에서 관련 방법론이 미흡한 실정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정량적·객관적으로 환경계획을 공간화 할 수 있는 계획모델을 제시하였다.
  • 모델 시범적용 부분에서는 본 연구에서 제안한 정량적 계획모델의 모의 과정을 제시함으로써 문제해결의 과정을 비교적 쉽게 설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그 개념과 모의 과정을 잘 설명할 수 있는 단순한 가상의 공간을 20×20 크기 (400개 격자)로 설정하였다.
  • 환경계획 중 국가기후변화적응계획과 같이, 다양한 기후변화 영향을 최소화하고 이에 적응할 수 있는 공간의 구성을 결정하는 부분에 대해 모의하였다. 이를 위해 개발지, 농경지 각각에 특히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후변화 영향 C, D의 공간분포도를 가상으로 작성하였다(Table 6).
  • 환경계획은 경제성 논리 하에 훼손되었던 국토의 환경을 보전하고, 더 나아가 지속가능성을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설정되었던 다양한 목표와 전략 등이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가는 실제 공간을 어떻게 변화시켜 나가는가, 즉 환경계획의 공간화에 달려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환경계획이란? 환경계획은 환경의 보전과 관리를 목적으로 공간 및 다양한 환경자원을 대상으로 계획하는 것을 의미한다(Korean Environment Institute, 2017). 환경계획의 범위는 환경일반에서부터 대기, 수질, 토양, 자연환경 등 매우 폭넓기 때문에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다양한 주제도와 실측기반 데이터베이스가 객관적․정량적으로 구축되고 있다.
환경계획의 범위를 뒷받침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의 예시에는 무엇이 있는가? 환경계획의 범위는 환경일반에서부터 대기, 수질, 토양, 자연환경 등 매우 폭넓기 때문에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다양한 주제도와 실측기반 데이터베이스가 객관적․정량적으로 구축되고 있다. 국가차원에서 종합적인 환경적 가치를 평가한 국토환경성평가지도(ECVAM), 생태자연도, 전국을 대상으로 구축되는 자연환경조사 자료 등이 그 대표적 예이며(Kim et al., 2012), 그 외에 학술 분야에서 역시 기 검증된 정량적 모델패키지를 이용하여 잠재적인 종 서식처 평가, 홍수 및 산사태와 같은 재해의 발생가능성 평가, 잠재적인 생산량 평가 등을 수행하고 있다(Kim and Park, 2017; Kim et al.
환경계획은 어떻게 구성되는가? 환경계획은 환경일반, 기후․대기, 수질․상하수도, 토양, 자연환경, 자원순환과 관련된 환경계획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환경부에서 직접 수립하는「국가환경종합계획」과「환경보전중기종합계획」등의 53개 분야별 환경계획과 광역 및 기초자치 단위에서 계획하는 환경보전계획으로 구성된다. 이중 공간화에 대한 부분을 포함하고, 국토·도시계획의 수준에서 반영 가능한 계획은 16개로 아래의 Table 1과 같다(Korean Environment Institute, 2017, revised).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e, M. 2017. A Study on Environmental Conservation Plan Based on Spatialization Method in Local Goverments. Envornmental Policy 25(2): 25-60. 

  2. Cho, H.J., Kim, D.H., Shin, M.S., Kang, T. and Lee, M. 2015. Predicting the Goshawk's habitat area using Species Distribution Modeling: Case Study area Chungcheongbukdo, South Korea. Korean J. Environ Ecol. 29(3): 333-343.(In Korean) 

  3. Choi, H.S. and Kwan, Y.H. 2009. Improving of Planning System for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Focus on Introducing Envrionmental and Ecological Planning. Environmental Policy 8(3): 27-51. 

  4. Eum, J.H. 2016. Vulnerability Assessment to Urban Thermal Environment for Spatial Planning: A Case Study of Seoul, Korea. J. KILA 44(4): 109-120.(In Korean) 

  5. Kim, E.Y., Jeon, S.W., Song, W.K. and Kwak, J.Y., Lee, J. 2012. Applilcation of ECVAM as a indicator for monitoring national environment in Korea. Environmental Policy 11(2): 3-16.(In Korean) 

  6. Kim, H.J. and Cho, S.K. 1998. Applicaton of Hemeroby for Environmental Assessment with Environmental Planning: Focused on the Case "LG Village". Kor. J. Env. 12(3): 253-258.(In Korean) 

  7. Kim, J.S. and Park, S.Y. 2017. Landslide susceptibility mapping using ensemble FR and LR models at the Inje area, Korea. The Korea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25(1): 19-27.(In Korean) 

  8. Kim, C.S., Lee, Y.D. and Lee, H.W. 2009. A case study of calculating flood inundation area by HEC-GeoRAS. Korean Society of Disaster & Security 2(4): 43-48.(In Korean) 

  9. Kim, H., Lee, D.K., Mo, Y., Kil, S. and Park, C., Lee, S. 2013. Pridiction of landslides occurrence probability under climate change using MaxEnt model.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2(1): 39-50.(In Korean) 

  10. Kim, T.H. 2015. Linking and Utilizing Urban, Environmental, Disaster Prevention Spatial Data for a Climate Chnage Adaptation Spatial Planning. Environmental Policy 14(1): 85-112. 

  11. Lee, W.S. An Evaluation of Natural-Ecological Function for Planning and Management on Forest. J. KILA 39(5): 1-11. 

  12. Ministry of Environment. 2017. Developemnt of Economic Assessment Technique for Climate Change Impact and Adaptation Considering Uncertainties. R&D report(Development of technology in integrated management of climate change adaptation)(In Korean) 

  13. Mo, Y.W., Park, J.H., Son, Y.H. and Lee, D.K. 2016. Technical Articles: Eastablishment of additional protected areas and applying payment for ecosystem services(PES) for sustainability of Suncheonman-Bay.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9(1): 171-184.(In Korean) 

  14. Mo, W.Y., Lee, D.K., Kim, H.G., Baek, G.H. and Nam, S.J. 2013. Efficient establishment of protected areas in Pyoungchang county, Kangwon province to support spatial decision making.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6(1): 171-180.(In Korean) 

  15. Park, H., Lim, J., Lee, J. and Lee, G. 2017. Predicting the potential distributions of invasive species using the Landsat imagery and MaxEnt: Focused on "Ambrosia trifida L. var. trifida" in Korean Demilitarized zone.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20(1): 1-12.(In Korean) 

  16. Park, H.C., Lee, J.H. and Lee, G.G. 2014. Predicting the suitable habitat of the Pinus pumila under climate change.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3(5): 379-392.(In Korean) 

  17. Yoon, E.J. and Lee, D.K. 2017. Basic study on spatial optimization model for sustainability using Genetic Algorithm: Based on literature review.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20(6): 103-119.(In Korean) 

  18. Lee, Y.H., Hong, S.H., Na, C.S., Sohn, S.I., Kim, M.H., Kim, C.S. and Oh, Y. 2016. Predicting the suitable habitat of Amaranthus viridis based on climate change scenarios by MaxEnt.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34(4): 240-245.(In Korean) 

  19. Korean Environment Institute. 2017. A study on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icators for the development-environmental plan linkage system(In Korean) 

  20. Duan, H.F., Li, F. and Yan, H. 2016. Multi-objective optimal design of detention tanks in the urban stormwater drainage system: LID implementation and analysis. Water Resour. Manag. 30: 4635-4648. 

  21. Eikelboom, T., Janssen, R. and Stewart, T.J. 2015. A spatial optimization algorithm for geodesign. Landsc Urban Plan 144: 10-21. 

  22. Janssen, R. and Herwijnen, M. 2008. Multiobjective decision support for land-use planning. Environment and Planning B: Planning and Design 35: 740-756. 

  23. Neema, M.N. and Ohgai, A. 2010. Multi-objective locaton modeling of urban parks and open spaces: Continuous optimization. Comput Environ Urban Syst 34: 359-376. 

  24. Porta, J., Parapar, J., Doallo, R., Rivera, F. F., Sante, I. and Crecente, R. 2013. High performance genetic algorithm for land use planning. Computers, Environment and Urban Systems 37: 45-58. 

  25. Schwaab, J., Deb, K., Goodman, E., Lautenbach, S., Van Strien,, M.J. and Gret-Regamey, A. 2017.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genetic algorithms for land-use allocation problems. International Journal of Geographical Information Science (DOI:10.1080/13658816.2017.1419249) 

  26. Stewart, T.J., Janssen, R. and Van Herwijnen, M. 2004. A genetic Algorithm approach to multi objective land use planning. Computers & Operations Research 31(4): 2293-2313. 

  27. Yoon, E.J., Lee, D.K., Kim, H.G., Kim, H. R., Jung, E. and Yoon, H. 2017. Multi-objective land use allocation considering landslide risk under climate change: Case study in Pyeongchang-gun, Korea. Sustainability 9(12). 

  28. Zhang, K. and Chui, T.F.M. 2018. A comprehensive review of spatial allocation of LID-BMP-GI practices: Strategies and optimization tool.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net 621: 915-929. 

  29. Zhang, W. and Huang, B. 2015. Soil erosion evaluation in a rapidly urbanizing city (Shenzhen, China) and implementation of spatial land-use optimization. Environ Sci Pollut Res 22: 4475-4490. 

  30. Zitzler, E., Laumanns, M. and Bleuler, S. 2004. A tutorial on evolutionary multiobjective optimization. Technical Report. Computer Engineering and Networks Laboratory (TIK), Zurich, Switzerland: Swiss Federal Institute of Technology (ETH) ZURICH.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