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아동의 전통놀이에 내재된 수학의 개념 분석
Analysis of Indwelling Concepts of Mathematics in Korean Childhood Traditional Plays 원문보기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 한국수학사학회지, v.31 no.2, 2018년, pp.93 - 108  

계영희 (Early Childhood Edu., Kosin Univ.) ,  하연희 (Early Childhood Edu., Kosin Univ.) ,  권미량 (Early Childhood Edu., Kosin Univ.)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Nuri curriculum, Korean traditional culture has presented by 'Our country's plays and arts'. Games in the traditional play culture for children include ones such as tangram, top-spinning game, game of slap-match, sabangchigi. In this paper, we analyse concepts of mathematics in Korean childhood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아동들이 즐기던 우리 고유의 전통놀이 속에 내재된 수학적 개념을 분석하여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에서 놀이를 통한 인지적 교육이 활발하게 일어날 수 있도록 그 이론적인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협동놀이의 장점은 무엇인가? 어린 영아들은 형이나 언니들의 행동을 구경하면서 놀이를 바라보는 관찰자로 지내다가 나이가 되면 적극적으로 형제들과 협동놀이에 참가하게 된다. 협동놀이의 장점으로는 에너지 넘치는 아동들에게 소속감을 느끼게 해주고 경쟁 심리와 승부욕을 통해 이겼을 때는 성취감을 누리고, 졌을 때는 다음을 기약하는 다짐과 각오를 하며 정서적으로 성장하는 것이다 [33].
공기놀이를 통해 발달되는 신체 기능은 무엇이 있는가? 필자의 경우, 서울에서는 게임을 하기 전 50년을 목표로 할 것인지, 100년을 목표로 할 것인지 서로 약속을 하고 시작하는 것이 관례였다. 유아수학에서 수개념 발달을 위해 많이 연습하는 ‘5의 가르기’ 즉 1과4, 2와3, 1과4 등으로 가르기가 익숙하게 되어 덧셈과 뺄셈의 연산을 잘 하게 되며 수 개념과 규칙을 통한 패턴인식이 발달한다. 한편, 교육적 효과로는 민첩성과 침착성이 길러지고, 손과 눈의 협응, 사회성과 규칙준수의 태도가 함양되며 손과 손가락의 소근육과 조작기능이 발달한다.
'누리과정'은 무엇인가? 즉, 5개의 내용기준(Content Standards) 으로 수와 연산, 대수, 기하, 측정, 자료분석과 확률, 과정기준 (Process Standards)으로 문제해결, 추론과 증명, 의사소통, 수학적 연계성, 표현을 기반으로 세부 항목이 논의된 것이다. 2013년 3월에 공포된 누리과정은 우리나라 유아교육의 ‘내용’과 ‘질’ 을 결정하는 중요한 토대로, 만 3–5세 유아의 심신의 건강과 조화로운 발달을 도와 민주시민의 기초를 형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교육과정이다 [1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BAE Y. H., (The) educational meaning and value of the traditional play programs in kindergarten, PhD Thesis Dongguk University, 2005. 배영희, 유치원 전통놀이 프로그램의 교육적 가치, 동국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5. 

  2. CHOI H. S., YANG E. H., Korean Traditional Childcare, Sinjeong, 2010. 최혜순.양은호, 한국의 전통육아, 신정, 2010. 

  3. CHOI Y. J., The effects of number-related traditional play experience on the improvement of children's basic math concepts, MS Thesis Kyungnam University, 2001. 최영자, 수 관련 전통놀이 경험이 유아의 수학적 기초개념 향상에 미치는 효과,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1. 

  4. Ham, B. N. R., Traditional Play: Nation Traditional Illustrated Book, Bori, 2009. 함박누리, 겨레 전통도감 전래놀이, 보리, 2009. 

  5. Johan HUIZINGA, Homo Ludens, Yeonamseoga, 1938. 요한 하위징아 (1938)/이종인 옮김, 호모 루덴스, 연암서가, 2017. 

  6. KIM G. S., RYU H. S., Educational meanings of young children's mathematical experiences emerging from traditional games,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11(3) (2007), 333-361. 김갑순.류혜숙, 전통놀이에서 유아가 갖는 수학적 경험의 교육적 의미, 유아교육학논집, 11(3) (2007), 333-361. 

  7. KIM H. S., Educational value of the traditional play for the creative development of the early childhood, The Korean of Journal Child Education 16(1) (2007), 120-141. 김혜숙, 유아의 창의성 발달을 위한 전통놀이의 교육적 가치, 아동교육 16(1) (2007), 120-141. 

  8. KIM K. A., (An) analysis physical and logic-mathematical knowledge activities through Korean traditional play, PhD Thesis Yeungnam University, 2002. 김경아, 전통놀이에 나타난 유아의 물리적 논리 수학적 지식활동 분석, 영남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2. 

  9. KIM M. J., Fundamental study for traditional play on early childhood mathematical education, Journal of Chungcheong 29 (2006), 67-183. 김민정, 유아수학교육에서의 전통놀이 활용을 위한 기초연구, 충청논문집 29 (2006), 67-183. 

  10. KIM S. R., NAM H. C., Mathematical thought and practical use of traditional-game, The Research of Science Mathematics Education 21 (1998), 25-41. 김상룡.남형채, 전통놀이에 깃든 수학적 사고와 그 활용방안, 과학 수학교육연구, 21 (1998), 25-41. 

  11. KIM S. W., A study about the generation changes of early childhood play in South Korea, PhD Thesis Kosin University, 2015. 김성원, 한국 유아기 놀이의 세대별 변화에 대한 연구, 고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5. 

  12. KIM S. Y., Oriental creativity education and tangram, Child Study 14 (2005), 1-17. 김상윤, 동양의 창의성교육과 칠교놀이, 아동연구, 14 (2005), 1-17. 

  13. KIM Y. H., A study on the kindergarten teacher's view and application in the education of Korean traditional games, MS Thesis Kyungnam University, 2000. 김유희, 전통놀이 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들의 인식정도와 활용에 관한 연구,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0. 

  14. KIM Y. O., (A) study of the effects of traditional games on child's cognitive development -Focused on conservation concept, M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993. 김연옥, 전통놀이가 유아의 인지발달에 미치는 영향-보존개념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3. 

  15. KIM Y. O. et al, Early Childhood Multicultural Education, Hakjisa, 2011. 김영옥 외 6인, 유아 다문화교육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11. 

  16. D. KLAHR, Investigation of pre-school children's problem solving processes, Pittsburgh: Carnegie-Mellon Univ, 1981. 

  17. KYE Y. H., HA Y. H.,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Dongmunsa, 2015. 계영희.하연희, 누리과정에 기초한 유아수학교육, 동문사, 2015. 

  18. KYE Y. H., HA Y. H., A study on Korean early childhood mathematics history,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28(6) (2016), 349-363. 계영희.하연희, 우리나라 유아수학교육사 연구, 한국수학사학회지 28(6) (2016), 349-363. 

  19. LEE E. H., A study for traditional pla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PhD Thesis Yonsei University, 1993. 이은화, 전통놀이의 유아교육현실 활용을 위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993. 

  20. LEE E. H. et al, A study of children's traditional play in Korea,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21(1) (2001), 117-140. 이은화 외, 한국의 전통 아동 놀이 고찰, 유아교육연구 21(1) (2001), 117-140. 

  21. LEE G. S., JUNG M. R., EOM J. A., A comparative study of the use of traditional pla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setting in Korea and Japan,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26(3) (2006), 135-158. 이기숙.정미라.엄정애, 한국과 일본 유치원. 보 육시설에서의 전통 유아 놀이 비교 연구, 유아교육연구 26(3) (2006), 135-158. 

  22. LEE N. M., (The) effects on Korean traditional play on young children's numerical and spatial abilities, M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001. 이나미, 전통놀이가 유아의 수리 및 공간능력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1. 

  23. Ministry of Education(of Korea), Review of the 2015 Revision Curriculum and Special Notice, 2015. 교육부, 2015년 개정 교육과정 총론 및 각론 고시문, 2015. 

  24. MOON M. O., Child's play method and its origin in Korean old literatures,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32(4) (2012), 445-464. 문미옥, 옛 문헌에 나타난 팽이의 유래와 놀이방법, 유아교육연구 32(4) (2012), 445-464. 

  25. MOON M. O., SON J. M., A history and how-to of yut from Korean old documents,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33(6) (2013), 465-487. 문미옥.손정민, 옛 문헌에 나타난 윷놀이의 유래와 놀이방법, 유아교육연구 33(6) (2013), 465-487. 

  26. MOON M. O., MOON M. H., Study on playing method and its origin of kite through old literatures,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35(1) (2015), 397-423. 문미옥.문명희, 옛 문헌에 나타난 연날리기의 기원과 놀이방법, 유아교육연구 35(1) (2015), 397-423. 

  27. NCTM(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 NCTM. 

  28. NOH J. H., A study on teaching geometry using tangrams, The Research of Science Education 13 (1987), 53-59. 노정학, 탱그램을 이용한 기하의 지도에 대한 고찰, 과학교육연구 13 (1987), 53-59. 

  29. Nuri curriculum for ages 3-5,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3. 교육과학기술부 . 보건복지부,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2013. 

  30. RYU H. S., The effect on young children's mathematical ability of the traditional game based math activity, MS Thesis Chung-ang University, 2003. 류혜숙, 전통놀이를 활용한 수학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3. 

  31. SHIN M. S., RYU J. S., The effect of Korean traditional plays on the young children's social development, The Korean Journal Child Education 12(1) (2003), 33-50. 신명숙.류점숙, 전통놀이가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비석치기, 윷놀이, 고누놀이를 중심으로-, 아동교육 12(1) (2003), 33-50. 

  32. SONG O. S., (The) conditions and teachers' perception of traditional play activities in kindergartens, MS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2004. 송오숙, 전통놀이에 대한 유치원교사의 인식과 활용실태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4. 

  33. YU A. J., Early Childhood Education of Korean Traditional Society,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2015. 유안진, 한국 전통사회의 유아교육,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