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야외지질학습장으로써 서낭바위 일대의 지질학적 가치
Geological Values of Seonangbawi Area as A Geological Field Course Site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39 no.2, 2018년, pp.164 - 177  

길영우 (전남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  최돈원 (강원도청 환경과) ,  (전남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  정우철 (전남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  조윤수 (전남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  정려진 (전남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다양한 지질명소가 국내에 분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질명소를 야외학습장으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상세한 지질조사를 통해 서낭바위 일대를 야외학습장으로 활용 가능하게 하는데 있다. 서낭바위는 강원도 죽왕면 송지호해수욕장 부근에 위치하며, 송지호에서 남동쪽으로 약 1km 떨어져 있다. 서낭바위 일대는 중생대 백악기 속초화강암과 이를 부정합으로 충적층이 덮고 있는 단순한 암석분포를 보인다. 서낭바위 일대는 초중등학생과 일반인들에게 화강암 암상, 구성광물, 풍화과정뿐만 아니라, 절리(N50E/80SW, N40W/84NW), 단층(N42W/83SW), 엽리(N32E/54SE), 암맥(N35E/40SE, N26W/63SW)과 같은 지질구조와, 토르, 타포니, 그루부, 나마와 같은 지형들을 학습할 수 있는 장소이다. 그러므로 서낭바위 일대는 작은 규모의 공간에서 여러 지질 및 지형학적 현상들을 학습하고 서낭바위의 성인을 토론할 수 있는 최적의 야외학습장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ven though various geological attractions are distributed domestically, the geological attractions are rarely utilized as field course sit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Seonangbawi area as the field course site after geological investigations are carried out in detail. Seonangbawi is loc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13)에 의해 처음 제시되었으나, 연구 당시 이들은 상세한 지질조사를 수행 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상세한 서낭바위 일대 지질조사를 바탕으로 서낭바위 일대의 지질학적 가치를 부각하여 초중등 학생의 자유학기제 및 일반인의 지질관광 체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이 연구결과가 활용 가능하게 하는데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서낭바위는 어디에 위치하는가? 이 연구의 목적은 상세한 지질조사를 통해 서낭바위 일대를 야외학습장으로 활용 가능하게 하는데 있다. 서낭바위는 강원도 죽왕면 송지호해수욕장 부근에 위치하며, 송지호에서 남동쪽으로 약 1km 떨어져 있다. 서낭바위 일대는 중생대 백악기 속초화강암과 이를 부정합으로 충적층이 덮고 있는 단순한 암석분포를 보인다.
서낭바위는 어떻게 붙여진 이름인가? 1). 서낭바위는 바닷가의 풍습에 의해 기도처로 활용되고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서낭바위는 국가지질공원으로 2014년에 인증되어 강원평화지역 국가지질공원 내 송지호해안 지질 명소 중 하나가 되었다.
서낭바위 일대는 작은 규모의 공간에서 여러 지질 및 지형학적 현상들을 학습하고 서낭바위의 성인을 토론할 수 있는 최적의 야외학습장인 이유는 무엇인가? 서낭바위 일대는 중생대 백악기 속초화강암과 이를 부정합으로 충적층이 덮고 있는 단순한 암석분포를 보인다. 서낭바위 일대는 초중등학생과 일반인들에게 화강암 암상, 구성광물, 풍화과정뿐만 아니라, 절리(N50E/80SW, N40W/84NW), 단층(N42W/83SW), 엽리(N32E/54SE), 암맥(N35E/40SE, N26W/63SW)과 같은 지질구조와, 토르, 타포니, 그루부, 나마와 같은 지형들을 학습할 수 있는 장소이다. 그러므로 서낭바위 일대는 작은 규모의 공간에서 여러 지질 및 지형학적 현상들을 학습하고 서낭바위의 성인을 토론할 수 있는 최적의 야외학습장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hn, K.S., 2013, Potential as a geological field course of Mt. Geumdan located in Gwangju, Korea.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4, 235-248. (in Korean) 

  2. Cho, K.-S., Byeon, H.-Y., and Kim, C.-B., 2002, Development of geological field courses and the effect of field study on the affective domain in science and on achievement of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3, 649-658. (in Korean) 

  3. Cho, K.-S., Ryan, W.-H., Shin, S.-S., Oh, J.-M., and Chung, D.-H., 2012,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eaching materials for geological fieldwork in Jeokbyeokgang area, Gyeokpo, Byeonsa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3, 658-671. (in Korean) 

  4. Choi, E.-K., Kim, S.-W., Kim, I.-S., and Lee, K.-H., 2012, A study on the chemical index of alteration of igneous rocks.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28, 41-54. 

  5. Choi, Y.-S., Choi, J.-R., Kim, C.-J., and Soe, S.-U., 2017, Understanding of group modeling process with geological field trip applied on social-construction of scientific model: focusing on constraints.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8, 303-320. (in Korean) 

  6. Jayawardena, U.S. and Izawa, E., 1994, Application of present indices of chemical weathering for precambrian metamorphic rocks in Sri Lanka. Bulletin of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Engineering Geology, 49, 55-61. 

  7. Kim, Y.B., Chwae, U., and Hwang, S.K., 2010, Geological report of the Changamjeom Sheet, scale 1:50,000.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80 p. (in Korean) 

  8. Kim, G.-W. and Lee, K.-Y., 2011, Developing web-based virtual geological field trip by using flash panorama and exploring the ways of utilization: A case of Jeju Island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2, 212-224. (in Korean) 

  9. Kim, H.S., Ham, Ho.S., and Lee, M.W., 2013,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geological field study sites in the area of igneous rocks.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4, 274-285. (in Korean) 

  10. Lee., C.-I. and Cho, W.-S., 1999, A review on the development of a field survey education model for earth science curriculum.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0, 295-307. (in Korean) 

  11. Lee., C.Z. and Cheong, S.W., 2005, Development of learning place for geologic field survey around the Duta mountain, Chungbuk, Korea.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6, 41-57. (in Korean) 

  12. Nesbitt, H.W. and Young, G.M., 1982, Early Proterozoic climates and plate motions inferred from major element chemistry of lutites. Nature, 299, 715-717. 

  13. Nesbitt, H.W. and Young, G.M., 1984, Prediction of some weathering trends of plutonic and volcanic rocks based on thermodynamic and kinetic considerations. Geochemica et Cosmochemica Acta, 48, 1523-1534. 

  14. Noh, B.-S., Ryang, W.-H., and Cho, K.-S., 2009, The responses of elementary teachers and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for geological fieldwork in the area of Mai mountain.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0, 869-882. (in Korean) 

  15. Park, J.-M., Ryang, W.-H., and Cho, K.-S., 2007,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eaching aids for geological fieldwork based on Chaeseokgang area, Buan-gun, Jeonbuk, Korea.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8, 747-761. (in Korean) 

  16. Park, J.-M., Ryang, W.-H., Cho, K.-S., and Kim, S.B., 2009,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eaching materials for geological fieldwork in the area of Bongwhabong, Buan-gun, Jeonbuk, Korea.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0, 883-896. (in Korean) 

  17. Song, K.Y., Park, S.I., and Cho, D.L., 2011, Geological report of the Sokcho-Yangyang sheet, scale 1:50,000.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81 p. (in Korean) 

  18. Sunwoo, C., Ryu, D.-W., Kim, H.-M., and Kim, K.-S., 2011, Study on the geotechnical characteristics of granite in Korea and their correlation with rock classification method.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21, 205-215. 

  19. Streckeisen, A., 1974, Classification and nomenclature of plutonic rocks: Recommendations of the IUGS subcommission on the systematics of igneous rocks. Geologische Rundschau, 63, 773-78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