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강원지역 산림유존목의 분포, 동태 및 생육임분의 구성적 특성
A Study on the Distribution and Dynamics of Relict Forest Trees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Forest Stands in Gangwon Province, Korea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32 no.2, 2018년, pp.165 - 175  

신준환 (동양대학교 대학원 산림비지니스전공) ,  이철호 (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 ,  배관호 (경북대학교 생태환경시스템학부) ,  조용찬 (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 ,  김준수 (자연과숲연구소) ,  조준희 (자연과숲연구소) ,  조현제 (자연과숲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강원지역 산지에 자연적으로 성립하여 잔존하고 있는 산림유존목(가슴높이 줄기둘레 300cm이상)의 체계적 보전 및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분포실태와 생장특성 그리고 생육임분의 구성적 특성 등)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금번 조사에서는 강원지역 산지에서 모두 19종 434개체(침엽수 4종 228개체, 활엽수 15종 206개체)의 산림유존목이 분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주목이 전체의 약 46.7%인 203개체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줄기둘레는 평균 404cm(침엽수 373cm, 활엽수 421cm)이었고, 설악산 피나무 복간목이 1,113cm로 가장 크게 났다. 수고와 수관폭은 각각 평균 15.4m, 10.0m이었다. 입지특성은 수종별로 다소 차이가 있지만 해발고도는 대개 1,000m이상, 사면경사도는 $25^{\circ}$이상, 사면방위는 북향, 미세지형은 사면상부 등에서 상대적 출현빈도가 높은 경향이었다. 산림유존목 생육임분의 단위면적당($/100m^2$) 구성적 특성을 보면, 총피도는 평균 294%(최대 475%), 출현종수는 평균 36종(최대 60종), 종다양성 지수(H') 평균 2.560(최대 3.593), 그리고 수관울폐도는 평균 84.8%(최대 94.6%), 그리고 흉고단면적(/ha)은 평균 $52.7m^2$(최대 $116.4m^2$; 산림유존목 개체 $30.0m^2$, 기타 교목성 개체 $22.7m^2$)로 나타났다. 한편, 강원지역 산림유존목 개체의 동태 유형을 추정한 결과, 생육환경과 교란강도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으나 "후계수가 낮은 밀도이지만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유형(신갈나무, 전나무, 피나무, 산돌배)", "후계수가 완전히 단절된 유형(소나무)", "후계수가 최근 또는 상당기간 단절된 유형(분비나무, 굴참나무, 박달나무)", 그리고 "후계수가 주기적으로 단절과 공급이 반복되는 유형(호랑버들, 졸참나무)"등 크게 4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such as distribution status, growth characteristics, and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forest stands for the systematic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relict forest trees (stem girth of 300cm or larger) established naturally in Gangwon Provi...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산림유존목 개체의 잠재적 풍부성이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다고 생각되는 강원지역 산지에 분포하는 산림유존목의 실태를 파악함과 아울러 그 생육임분의 구성적 특성을 분석하여, 향후 강원지역 산림생태계의 온전성과 유전적 다양성을 지속적으로 담보하기 위한 급원으로서 그 체계적 보전 및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 이와 같은 산림유존목의 가치와 기능을 지속적으로 담보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현재 우리나라 산림지역에 남아 있는 모든 산림유존목의 잔존 실태를 객관적으로 파악하여 적절한 보호대책을 수립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산림유존목의 체계적 보전 및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 수집을 위하여 다른 지역에 비하여 산세가 비교적 복잡하게 발달되어 있고 접근성이 좋지 않아 산림유존목의 잠재적 수도(abundance)가 상대적으로 풍부할 것으로 판단되는 강원지역 산림을 대상으로 산림유존목의 분포 실태와 입지 특성 그리고 그 생육 임분의 구성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금번조사에서는 강원지역 산림에서 모두 19종 434개체가 분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들의 가슴높이 줄기둘레는 평균 404㎝이었고, 최대목은 설악산 피나무 복간목으로 줄기둘레가 1,113㎝로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림유존목의 독특한 생태적 역할은 무엇인가? , 2009; Larson and Franklin, 2010; van Wagtendonk and Moore, 2010; Remm and Lõhmus, 2011; Laurance, 2012; Lutz et al., 2012), 생육지 주변 생태환경의 골격을 이루는수문체계와 양료순환 등 무기환경을 개선하고 유지함과 아울러 탄소격리, 미기후 조절, 야생생물 서식지 제공 등 다양한 생태적 역할을 하고 있으며(Brown et al., 1995; Clark and Clark, 1996; Martin et al.
사용된산림유존목은 무엇인가? 북미와 유럽에서는 크고 오래된 나무를 “Big Trees”,“Ancient Trees”, 그리고 “Veteran Trees”라 부르고 있으며 대개 수령 150년이상 또는 가슴높이 줄기둘레 300㎝이상을 기준으로 하고있다(Franklin, 2012; Douglas, 2012). 본 연구에서 사용된산림유존목(relict forest trees)의 정의는 국내에서 아직 학술적 용어로 정립되어 있지는 않지만 대개 생활권 주변에 인위적으로 성립하여 잔존하고 있는 크고 오래된 나무를 지칭하는 ‘노거수’와는 달리, 산림 지역에서 자연적으로 성립하여 잔존하고 있는 흉고둘레 300㎝이상이 되는 큰나무를 일컫는다(Korea Forest Service, 2016; Cho et al., 20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Blicharska, M. and G. Mikusinski(2014) Incorporating social and cultural significance of large old trees in conservation policy. Conservation Biology 28: 1558-1567. 

  2. Braun-Blanquet, J.(1964) Pflanzensoziologie: Grundzuge der Vegetationskunde(3rd ed.). Springer-Verlag, Wien, 865pp. 

  3. Brown, I.F., L.A. Martinelli, W.W. Thomas, M.Z. Moreira, C.A.C. Ferreira and R.A. Victoria(1995) Uncertainty in the biomass of Amazonian forests: An example from Rondonia, Brazil.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75(1-3): 175-189. 

  4. Camarero, J.J., E. Gutierrez, M.-J. Fortin, E. Ribbens(2005) Spatial patterns of tree recruitment in a relict population of Pinus uncinata: forest expansion through stratified diffusion. Journal of Biogeography 32 (11): 1979-1992. 

  5. Cecile, J., L.R. Silva and M. Anand(2013) Old trees: large and small. Science 339(6122): 904-905. 

  6. Chao, K.-J., O.L. Phillips, A. Monteagudo, A. Torres-Lezama and R.V. Martinez(2009) How do trees die? Mode of death in northern Amazonia. Journal of Vegetation Science 20: 260-268. 

  7. Cho, H.J., C.H. Lee, J.H. Shin, K.H. Bae, Y.C. Cho and J.S. Kim(2016) Diversity, Spatial Distribution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Relict Forest Trees in South Korea.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5(4): 401-41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Clark, D.B. and D.A. Clark(1996) Abundance, growth and mortality of very large trees in Neotropical lowland rain forest.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80: 235-244. 

  9. Douglas, M.(2012) Big, old trees in decline wolrdwide. http://www.livescience.com/25310-big-trees-in-decline.html(2016. 8. 15.). 

  10. Fedrigoa, M., S. Kasela, L.T. Bennettb, S.H. Roxburghc and C.R. Nitschkea(2014) Carbon stocks in temperate forests of southeastern Australia reflect large tree distribution and edaphic conditions.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334(15): 129-143. 

  11. Franklin, J.F.(2012) The importance of Big, Old Trees. https://www.americanforests.org/blog/the-importance-of-big-oldtrees/(2017.10.15.). 

  12. Harmon, M.E., K. Cromack and B.G. Smith(1987) Coarse woody debris in mixedconifer forests, Sequoia National Park, California. Canadian Journal of Forest Research 17: 1265-1272. 

  13. Harmon, M.E., C.W. Woodall, B. Fasth and J. Sexton(2008) Woody detritus density and density reduction factors for tree species in the United States: a synthesis. General Technical Report NRS-29, Northern Research Station, USDA Forest Service. 84pp. 

  14. Harvey, C.A. and W.A. Haber(1988) Remnant trees and the conservation of biodiversity in Costa Rican pastures. Agroforestry Systems 44(1): 37-68. 

  15. Keeton, W.S. and J.F. Franklin(2005) Do remnant old-growth trees accelerate rates of succession in mature Douglas-fir forests? Ecological Monographs 75: 103-118. 

  16. Kim, J.S. and T.Y. Kim(2011) Woody Plants of Korean Peninsula. Dolbegae, Paju. (In Korean) 

  17. Korea Forest Service(2017) Korean Plant Names Index. http://www.nature.go.kr/kpni/SubIndex.do (2017.12.1.). (In Korean) 

  18. Korea Forest Service(2016) Conservation and management technique for forest relict trees(I).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 of forestry technology. 1 st Research Report. 55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Larson, A.J. and J.F. Franklin(2010) The tree mortality regime in temperate old-growth coniferous forests: the role of physical damage. Canadian Journal of Forest Research 40: 2091-2103. 

  20. Lee, T.B.(2003) Coloured flora of Korea, Hyangmunsa press, Seoul, 910pp. (in Korean) 

  21. Laurance, W.(2012) How the mighty are fallen. New Scientist 213: 39-41. 

  22. Lindenmayer, D.B., W. Blanchard, L. McBurney, D. Blair, S. Banks, G.E. Likens, J.F. Franklin, W.F. Laurance, J.A. Stein and P. Gibbons(2012a) Interacting factors driving a major loss of large trees with cavities in a forest ecosystem. PLoS One 7(10): e41864. 

  23. Lindenmayer, D.B., W.F. Laurance and J.F. Franklin(2012b) Global decline in large old trees. Science 338: 1305-1306. 

  24. Lindenmayer, D.B., W. Laurance, W.F. Franklin, G.E. Likens, S.C. Banks, W. Blanchard, P. Gibbons, K. Ikin, D. Blair, L. McBurney, A.D. Manning and J.A.R. Stein(2014b) New policies for old trees: averting a global crisis in a keystone ecological structure. Conservation Letters 7: 61-69. 

  25. Lindenmayer, D.B.(2016) The importance of managing and conserving large old trees: a case study from Victorian Mountain Ash Forests. The Royal Society of Victoria 128: 64-70. 10.1071/RS16006. 

  26. Lindenmayer, D.B. and W.F. Laurance(2016) The ecology, distribution,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large old trees. Biological Reviews 92(3): 1434-1458. doi: 10.1111/brv.12290. 

  27. Lutz, J.A., A.J. Larson, M.E. Swanson and J.A. Freund(2012) Ecological Importance of Large-Diameter Trees in a Temperate Mixed-Conifer Forest. PLoS ONE 7(5): e36131. 

  28. Martin, T.A., K.J. Brown, J. Kucera, F.C. Meinzer, D.G. Sprugel and T.M. Hinckley(2001) Control of transpiration in a 220-year old Abies amabilis forest.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152: 211-224. 

  29. Maharramova, E.(2015) Genetic diversity and population structure of the relict forest trees Zelkova carpinifolia (Ulmaceae) and Pterocarya fraxinifolia (Juglandaceae) in the South Caucasus. Freie Universitat Berlin. Doctoral thesis, 123pp. 

  30. Mattias, E., E. Anna-Maria and V. Marc-Andre(2016) The importance of large-tree retention for the persistence of old-growth epiphytic bryophyte Neckera pennata in selection harvest systems.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372: 143-148. 

  31. Meyer, M.D., D.A. Kelt and M.P. North(2005) Nest trees of northern flying squirrels in the Sierra Nevada. Journal of Mammalogy 86: 275-280. 

  32. Miehe, G., S. Miehe, M. Will, L. Opgenoorth, L. Duo, T. Dorgeh and J. Liu(2008) An inventory of forest relicts in the pastures of Southern Tibet (Xizang A.R., China). Plant Ecology 194(2): 157-177. 

  33. Petit, R.J., A. Hampe and R. Cheddadi(2005) Climate change and tree phylogeography in the Mediterranean. Taxonomy 54: 877-885. 

  34. Phillips, N.G., T.N. Buckley and D.T. Tissue(2008) Capacity of old trees to respond to environmental change. Journal of Integrative Plant Biology 50: 1355-1364. 

  35. Qgis Development Team(2015) Qgis ver. 2.18.4 program. http://qgis.org/ko/site/(2017.1.7.) 

  36. Rambo, T. and M. North(2009) Canopy microclimate response to pattern and density of thinning in a Sierra Nevada forest.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257: 435-442. 

  37. Remm, J. and A. Lohmus(2011) Tree cavities in forests - the broad distribution pattern of a keystone structure for biodiversity.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262: 579-585. 

  38. Sillett, S.C. and R. Van Pelt(2007) Trunk reiteration promotes epiphytes and water storage in an old-growth redwood forest canopy. Ecological Monographs 77: 335-359. 

  39. Stalgoll, K., D.B. Lindenmayer, E. Knight, J. Fischer and A.D. Manning(2012) Large trees are keystone structures in urban parks. Conservation Letters 5:115-122. 

  40. Stephenson, N.L., A.J. Das, R. Condit, S.E. Russo, P.J. Baker, N.G. Beckman, D.A. Coomes, E.R. Lines, W.K. Morris, N. Ruger, E. Alvarez, C. Blundo, S. Bunyavejchewin, G. Chuyong, S.J. Davies, A. Duque, C.N. Ewango, O. Flores, J.F. Franklin, H.R. Grau, Z. Hao, M.E. Harmon, S.P. Hubbell, D. Kenfack, Y. Lin, J.R. Makana, A. Malizia, L.R. Malizia, R.J. Pabst, N. Pongpattananurak, S.H. Su, I-F. Sun, S. Tan, D. Thomas, P.J. van Mantgem, X. Wang, S.K. Wiser and M.A. Zavala(2014) Rate of tree carbon accumulation increases continuously with tree size. Nature 507: 90-93. 

  41. van Wagtendonk, J.W. and P.E. Moore(2010) Fuel deposition rates of montane and subalpine conifers in the central Sierra Nevada, California, USA.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259: 2122-213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