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세유체반응기를 이용한 core/shell 연속 합성 시스템을 이용한 CdSe/ZnS 양자점 합성 및 분석
Synthesis and analysis CdSe/ZnS quantum dot with a Core/shell Continuous Synthesis System Using a Microfluidic Reactor 원문보기

한국분말야금학회지 = Journal of Korean Powder Metallurgy Institute, v.25 no.2, 2018년, pp.132 - 136  

홍명환 (고등기술연구원 신소재공정센터) ,  주소영 (고등기술연구원 신소재공정센터) ,  강이승 (고등기술연구원 신소재공정센터) ,  이찬기 (고등기술연구원 신소재공정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re/shell CdSe/ZnS quantum dots (QDs) are synthesized by a microfluidic reactor-assisted continuous reactor system. Photoluminescence and absorbance of synthesized CdSe/ZnS core/shell QDs are investigated by fluorescence spectrophotometry and online UV-Vis spectrometry. Three reaction conditions, 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두번째 미세유체반응기에서 합성 된 CdSe/ZnS 양자점은 장비에 장착이 된 UV-vis 분광계를 이용하여 광 흡수도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였으며 합성 후 CdSe/ZnS 양자점에 대해서 PL분석을 하였다. 단일 미세유체반응기를 이용한 실험에서는 하나의 주사기 펌프와 하나의 미세유체반응기를 이용하여 CdSe core 합성 후 vial에서 교반을 통하여 ZnS shell 전구체와 혼합 후 다시 주사기 펌프와 미세유체반응기를 이용하여 ZnS shell을 coating 하였다. 합성 조건에 따른 양자점 특성 변화를 관찰하고자 반응시간 2 조건, CdSe core와 ZnS shell 전구체 부피 비율 9 조건, 반응온도 2 조건, 총 36 조건의 연속 반응 시스템을 이용한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표 1에 그 실험 조건을 나타내었다.
  • 두번째 미세유체반응기에서 합성 된 CdSe/ZnS 양자점은 장비에 장착이 된 UV-vis 분광계를 이용하여 광 흡수도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였으며 합성 후 CdSe/ZnS 양자점에 대해서 PL분석을 하였다.
  • 반응 온도, 반응시간, ZnS/CdSe 비율을 조절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또한, UV-vis 흡광도 분석 및 photoluminescence(PL) 분석을 통하여 공정 조건에 따른 흡광 파장, 발광 파장, FWHM, 양자 효율의 특성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합성과 동시에 실시간으로 UV-vis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합성 후 샘플의 PL을 측정하였다.
  • 합성 조건에 따른 양자점 특성 변화를 관찰하고자 반응시간 2 조건, CdSe core와 ZnS shell 전구체 부피 비율 9 조건, 반응온도 2 조건, 총 36 조건의 연속 반응 시스템을 이용한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표 1에 그 실험 조건을 나타내었다. 반응 시간은 미세유체반응기의 길이를 통하여 조절하였으며 CdSe와 ZnS 전구체 비율은 펌프를 통한 투입 속도를 조절하여 제어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외부환경 노출을 차단하고 별도의 혼합 과정이 필요 없는 core/shell 연속 합성 시스템을 구축하여 CdSe/ZnS 양자점을 합성하였다. 반응 온도, 반응시간, ZnS/CdSe 비율을 조절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또한, UV-vis 흡광도 분석 및 photoluminescence(PL) 분석을 통하여 공정 조건에 따른 흡광 파장, 발광 파장, FWHM, 양자 효율의 특성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합성과 동시에 실시간으로 UV-vis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합성 후 샘플의 PL을 측정하였다.
  • 본 실험에 앞서 core/shell 연속 합성 시스템과 비교를 위하여 단일 미세유체 반응기를 이용한 CdSe core 및 CdSe/ZnS core/shell 실험을 진행하여 각 반응온도 및 반응 시간에 따라 최대 양자 효율을 나타내는 조건의 PL 분석 결과를 그림 2에 나타내었다. CdSe의 경우 PL peak은 517 nm에서 나타났으며 양자 효율은 79.
  • 본 연구에서는 미세유체반응기가 포함된 core/shell 연속 합성 시스템을 이용하여 성공적으로 CdSe/ZnS core/shell 양자점을 합성 할 수 있었다. UV-vis 흡광도와 PL 측정을 통하여 합성 조건 변화에 따른 shell coating 후 광학적 특성의 변화를 관찰 할 수 있었으며 합성 온도가 높을 때 흡광 및 발광 peak가 낮은 온도에 비해 red-shift 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본 연구에서는 연속 반응 시스템의 효과를 보기 위하여 단일 미세유체반응기와 core/shell 연속 반응이 가능한 연속 반응 시스템을 이용하여 CdSe/ZnS 양자점을 합성하였으며 그림 1에 본 실험에 사용된 연속 반응 시스템의 개략도를 나타내었다. 그림 1에서 볼 수 있듯이, 연속 합성 시스템은 2개의 주사기 펌프, 2개의 히팅맨틀에 의해 가열되는 실리콘 오일 중탕, 2개의 미세유체반응기, 실시간 UV-Vis 분광분석기로 이루어져 있다.
  • 하지만 단일 미세유체반응기를 이용한 core/shell 합성의 경우, core 합성 후 shell 전구체와 혼합하는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이때 외부환경으로의 노출 및 생산성 저하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외부환경 노출을 차단하고 별도의 혼합 과정이 필요 없는 core/shell 연속 합성 시스템을 구축하여 CdSe/ZnS 양자점을 합성하였다. 반응 온도, 반응시간, ZnS/CdSe 비율을 조절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 단일 미세유체반응기를 이용한 실험에서는 하나의 주사기 펌프와 하나의 미세유체반응기를 이용하여 CdSe core 합성 후 vial에서 교반을 통하여 ZnS shell 전구체와 혼합 후 다시 주사기 펌프와 미세유체반응기를 이용하여 ZnS shell을 coating 하였다. 합성 조건에 따른 양자점 특성 변화를 관찰하고자 반응시간 2 조건, CdSe core와 ZnS shell 전구체 부피 비율 9 조건, 반응온도 2 조건, 총 36 조건의 연속 반응 시스템을 이용한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표 1에 그 실험 조건을 나타내었다. 반응 시간은 미세유체반응기의 길이를 통하여 조절하였으며 CdSe와 ZnS 전구체 비율은 펌프를 통한 투입 속도를 조절하여 제어하였다.
  • 형성 온도 250°C일 때 흡광 peak는 530 nm에서 535 nm의 범위에서 확인하였으며 270°C일때는 542 nm에서 547 nm의 범위에서 250°C 대비 장파장에서 흡광 peak를 확인하였다.

대상 데이터

  • CdSe/ZnS core/shell 양자점 합성 실험을 위하여 Cd와 Se, ZnS 전구체를 제조하였다. 우선, Cd 전구체는 50 ml의 3-neck 플라스크에 cadmium acetate dihydrate (Cd(CH 3COO)2 ·2H2O, 대정화금, 98%) 0.
  • 015 mol/l이다. Cd와 Se 전구체 제조 후 Cd 와 Se 전구체와 함께 dodecylamine (DDA, Sigma-Aldrich Corp., 98%) 2 g을 혼합하여 CdSe 전구체를 준비하였다.
  • 3 g을 혼합 후 아르곤 분위기에서 180°C,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준비하였다. Se 전구체는 selenium powder (Sigma-Aldrich Corp., 99.99%) 0.00075 mol, trioctylphosphine (TOP, Sigma-Aldrich Corp., 97%) 0.0075mol, ODE 17 g을 혼합 후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준비하였다. 제조된 Cd와 Se 전구체 내 이온의 농도는 각각 0.
  • ZnS 전구체는 TOP 10 ml에 Zinc diethyldithiocarbamate (ZDEC, Sigma-Aldrich Corp., 97%) 0.0005 mol을 혼합 후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준비하였다.
  • 우선, Cd 전구체는 50 ml의 3-neck 플라스크에 cadmium acetate dihydrate (Cd(CH 3COO)2 ·2H2O, 대정화금, 98%) 0.0003 mol, oleic acid (CH3(CH2)7CH=CH(CH2)7 COOH, Sigma-Aldrich Corp., 90%) 0.0015 mol, 1-octadecene (ODE, Sigma-Aldrich Corp., 90%) 19.3 g을 혼합 후 아르곤 분위기에서 180°C,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준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세유체반응기는 어떤 특성이 있는가? 입자크기 제어의 한계 극복을 위하여 연속흐름공정이 가능한 미세유체반응기(microfluidic reactor)에 대한 연구가 최근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13-17]. 미세유체반응기는 반응 온도 및 시간을 정확하게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우수한 반응 제어, 높은 생산 신뢰성 그리고 높은 안정성 등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16-20]. 이러한 미세유체반응기를 사용하여 양자점을 제조하게 되면, 각 전구체의 주입 속도와 혼합 조건의 제어가 가능하여 양자점의 입자크기 조절 및 균일한 입도 제조의 재현성을 확보할 수 있다.
CdSe/ZnS core/shell 양자점 함성 시 어떤 조건일 때 최고 양자효율을 나타냈는가? 또한, ZnS 전구체 비율에 따라 양자 효율은 모든 조건에서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경향을 확인 하였으며 반응온도 250°C에서 270°C 대비 높은 양자 효율을 나타냈다. 최고 양자 효율은 반응온도 250°C, 반응시간 10 sec, ZnS/CdSe 비율 0.05일 때 98.3% 였으며 이때 발광 peak 파장은 547 nm였다. 이는 단일 미세유체반응기를 이용한 결과에서 최대 양자 효율 조건의 발광 peak 파장과 동일하지만 양자 효율이 약 4.
단일 미세유체반응기를 이용한 core/shell 합성의 경우 생길 수 있는 문제는? 이러한 미세유체반응기를 사용하여 양자점을 제조하게 되면, 각 전구체의 주입 속도와 혼합 조건의 제어가 가능하여 양자점의 입자크기 조절 및 균일한 입도 제조의 재현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하지만 단일 미세유체반응기를 이용한 core/shell 합성의 경우, core 합성 후 shell 전구체와 혼합하는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이때 외부환경으로의 노출 및 생산성 저하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외부환경 노출을 차단하고 별도의 혼합 과정이 필요 없는 core/shell 연속 합성 시스템을 구축하여 CdSe/ZnS 양자점을 합성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K. Kim, J. Y. Woo, D. C. Lee, J. Lee, S. Jeong and D. Kim: Sci. Rep., 7 (2017) 43581. 

  2. H. McDaniel, N. Fuke, N. S. Makarov, J. M. Pietryga and V. I. Klimov: Nature, 4 (2013) 2887. 

  3. L. Sun, J. J. Choi, D. Stachnik, A. C. Bartnik, B. Hyun, G. G. Malliaras, T. Hanrath and F. W. Wise: Nat. Nanotechnol., 7 (2012) 369. 

  4. T. P. A. Ruberu, N. C. Nelson, I. I. Slowing and J. J Vela: J. Phys. Chem. Lett., 3 (2012) 2798. 

  5. S. Taniguchi, M. Green, S. B. Rizvi and A. Seifalian: J. Mater. Chem., 21 (2011) 2877. 

  6. D. J. Norris, N. Yao, F. T. Charnock and T. A. Kennedy: Nano Lett., 1 (2001) 3. 

  7. C. B. Murray, D. J. Norris and M. G. Bawendi: J. Am. Chem. Soc., 115 (1993) 8706. 

  8. W. R. Ware and B. A. Baldwin: J. Chem. Phys., 43 (1965) 1194. 

  9. B. O. Dabbousi, J. Rodriguez-Viejo, F. V. Mikulec, J. R. Heine, H. Mattoussi, R. Ober, K. F. Jensen and M. G. Bawendi: J. Phys. Chem. B, 101 (1997) 9463. 

  10. Y. Wang and Y. Xia: Nano Lett., 4 (2004) 2047. 

  11. N. S. A. Eom, T. Kim, Y. Choa and B. S. Kim: J. Korean Powder Metall. Inst., 19 (2012) 442. 

  12. H. Zhang, X. Peng, L. Sun and F. Liu: MATEC Web of Conferences, 26 (2015) 01006. 

  13. A. Jahn, J. E. Reiner, W. N. Vreeland, D. L. DeVoe, L. E. Locascio and M. Gaitan: J. Nanopart. Res., 10 (2008) 925. 

  14. J. W. Hong and S. R. Quake: Nat. Biotechnol., 21 (2003) 1179. 

  15. A. Abou-Hassan, O. Sandre and V. Cabuil: Angew. Chem. Int. Ed., 49 (2010) 6268. 

  16. J. B. Edel, R. Fortt, J. C. deMello and A. J. deMello: ChemComm, 10 (2002) 1136. 

  17. E. M. Chan, R. A. Mathies, and A. P. Alivisatos: Nano Lett., 3 (2003) 199. 

  18. J. I. Park, A. Saffari, S. Kumar, A. Gunther and E. Kumacheva: Annu. Rev. Mater. Res., 40 (2010) 415. 

  19. A. J. Demello, Nature, 442 (7101) 394. 

  20. D. N. Adamson, D. Mustafi, J. X. Zhang, B. Zheng and R. F. Ismagilov: Lab Chip, 6 (2006) 1178. 

  21. A. V. Baranov, Yu. P. Rakovich, J. F. Donegan, T. S. Perova, R. A. Moore, D. V. Talapin, A. L. Rogach, Y. Masumoto, and I. Nabiev: Phys. Rev. B 68 (2003) 165306. 

  22. H. Zhu, N. Song and T. Lian: J. Am. Chem. Soc., 132 (2010) 15038. 

  23. H. Zhu, A. Prakash, D. N. Benoit, C. J. Jones and V. L. Colvin: Nanotechnology. 21 (2010) 25560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