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기요양시설 거주노인의 치매 여부에 따른 신체활동수준과 관련 요인: 개인 및 기관 특성의 영향
Current Status and Factors Related to Physical Activity of Older Nursing Home Residents with and without Dementia: Effects of Individual and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원문보기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 보건행정학회지, v.28 no.4, 2018년, pp.392 - 401  

전승연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학과) ,  김홍수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Physical activity (PA) is critical for maintaining the health and well-being of older people in community and also institutional setting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PA and related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factors among older nursing home resident...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의 대표성 있는 장기요양시설 거주노인 표본을 이용하여 상세한 건강 및 기능상태 정보와 함께 신체활동수준을 파악하고, 개인 특성과 시설 특성의 영향을 치매 유무군으로 나누어 살펴봄으로 신체활동 취약 노인군인 시설 거주노인을 위한 신체활동 중재의 정책적 근거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국내 장기요양시설 거주노인의 신체활동수준과 개인 특성과 기관 특성의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이차자료를 활용한 횡단면연구이다. 본 연구의 이론적 틀은 장기요양시설 거주자의 신체 활동에 영향을 주는 방해요인과 촉진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개인적 및 환경적 요소로 살펴본 Kalinowski 등[19]의 연구와 노인의 신체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개인적 요인, 사회환경적 요인, 물리환경적 요인으로 살펴본 Kang과 Kim [33]의 연구에 기반하였다.
  • 선행문헌 고찰을 바탕으로 거주노인의 신체활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력과 시설 특성을 살펴보았다. 시설인력으로 물리치료사 유무는 시설 내 물리치료사가 있는지 여부로 측정하였다.
  • 본 연구의 이론적 틀은 장기요양시설 거주자의 신체 활동에 영향을 주는 방해요인과 촉진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개인적 및 환경적 요소로 살펴본 Kalinowski 등[19]의 연구와 노인의 신체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개인적 요인, 사회환경적 요인, 물리환경적 요인으로 살펴본 Kang과 Kim [33]의 연구에 기반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장기요양시설 거주노인의 신체활동 관련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개인 특성으로 인구사회학적 변수와 건강 관련 변수와 사회적 관계 관련 변수를, 시설 특성으로 인력과 시설의 물리적 특성을 선정하여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 시설 거주노인들을 위한 건강정책 마련이 시급한 이유는? 본 연구결과는 장기요양시설 거주자의 40% 정도가 신체활동이 거의 없거나 활동이 가능한 거주노인도 신체활동이 거의 없는 것을 보고한 국외 연구들의 결과와 일관된다[13-16]. 따라서 이들 연구의 제안처럼 한국 시설 거주노인들에게도 신체활동증진을 위한 다각도의 중재 개발과 이를 뒷받침할 건강정책 마련이 시급함을 시 사한다.
장기요양시설 거주노인의 신체활동이 가지는 긍정적인 효과는? 신체활동은 장기요양시설 거주노인의 삶의 질의 중요한 구성요소라고 알려져 있고[8], 보행능력 증진, 기분 향상, 문제행동 감소, 좌식시간 감소 등의 긍정적 효과가 있음이 보고된 바 있다[6].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는 건강한 노인뿐 아니라 거동능력이 저하된 상태를 포함한 모든 노인에게 신체활동을 권장하고 있으며, 건강상의 이유로 인하여 권고되는 수준의 신체활동 수행이 어려운 경우, 능력과 기능상태가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가능한 신체적으로 활동적인 삶을 살아야 함을 명시하고 있다[9].
유럽 장기요양시설에서 노인의 케어에 있어 주요한 목표 중 하나는? 한국보다 먼저 고령화를 경험하고 오랜 기간 장기요양제도를 운영해온 외국의 경우 장기요양시설 거주노인의 삶의 질 향상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장기요양서비스에서 제공되는 노인케어의 주요한 흐름은 노인에게 일상생활 지원을 넘어, 노인이 갖고 있는 잔존기능을 최대한 유지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 것으로 변화하고 있다[4]. 유럽 장기요양시설에서는 노인의 케어에 있어 주요한 목표 중 하나가 기능상태를 유지하는 것임을 명시하고 있다[5]. 외국에서는 치매 등으로 인해 인지기능이 저하된 노인을 포함한 장기요양시설 거주노인에게 잔존기능을 유지하고 최대한 활용하며 살 수 있도록 돕는 기능에 초점을 둔 케어(function focused care)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고 있는데[6,7], 이는 기능 중심의 케어와 신체활동 보장을 핵심적으로 다루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Sunwoo D, Kang E, Hwang J, Lee Y, Kim H, Choi ID, et al. Performance evaluation and improvement on long-term care insurance [Internet]. Sejong: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6 [cited 2018 Mar 17]. Available from: http://repository.kihasa.re.kr:8080/handle/201002/20930. 

  2.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6 Long-term care insurance statistical yearbook. Wonju: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7. 

  3. Sunwoo D, Choi J, Yoo K, Jang S, Kim S. Improvement in evaluation and management system of long-term care quality in Korea [Internet]. Sejong: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3 [cited 2018 Mar 17]. Available from: http://repository.kihasa.re.kr:8080/handle/201002/11303. 

  4. World Health Organization. The world report on ageing and health [Internet].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5 [cited 2017 Nov 17]. Available from: http://www.who.int/ageing/publications/world-report-2015/en/. 

  5. De Souto Barreto P, Morley JE, Chodzko-Zajko W, H Pitkala K, Weening-Djiksterhuis E, Rodriguez-Manas L, et al. Recommendations on physical activity and exercise for older adults living in long-term care facilities: a taskforce report. J Am Med Dir Assoc 2016;17(5):381-392. DOI: https://doi.org/10.1016/j.jamda.2016.01.021. 

  6. Resnick B, Galik E, Boltz M. Function focused care approaches: literature review of progress and future possibilities. J Am Med Dir Assoc 2013;14(5):313-318. DOI: http://doi.org/10.1016/j.jamda.2012.10.019. 

  7. Resnick B, Galik E. Using function-focused care to increase physical activity among older adults. Annu Rev Nurs Res 2013;31:175-208. DOI: https://doi.org/10.1891/0739-6686.31.175. 

  8. Kane RA. Long-term care and a good quality of life: bringing them closer together. Gerontologist 2001;41(3):293-304. DOI: https://doi.org/10.1093/geront/41.3.293. 

  9. World Health Organization. Global recommendations on physical activity for health [Internet].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0 [cited 2017 Nov 17]. Available from: http://www.who.int/iris/bitstream/10665/44399/1/9789241599979_eng.pdf. 

  10. Mor V, Branco K, Fleishman J, Hawes C, Phillips C, Morris J, et al. The structure of social engagement among nursing home residents. J Gerontol B Psychol Sci Soc Sci 1995;50(1):P1-P8. DOI: https://doi.org/10.1093/geronb/50b.1.p1. 

  11. Chen YM, Li YP. Motivators for physical activity among ambulatory nursing home older residents. Scientific World Journal 2014;2014:329397. DOI: https://doi.org/10.1155/2014/329397. 

  12. Benjamin K, Edwards N, Caswell W. Factors influencing the physical activity of older adults in long-term care: administrators perspectives. J Aging Phys Act 2009;17(2):181-195. DOI: https://doi.org/10.1123/japa.17.2.181. 

  13. Ruuskanen JM, Parkatti T. Physical activity and related factors among nursing home residents. J Am Geriatr Soc 1994;42(9):987-991. DOI: https://doi.org/10.1111/j.1532-5415.1994.tb06593.x. 

  14. Kolanowski A, Buettner L, Litaker M, Yu F. Factors that relate to activity engagement in nursing home residents. Am J Alzheimers Dis Other Demen 2006;21(1):15-22. DOI: https://doi.org/10.1177/153331750602100109. 

  15. MacRae PG, Schnelle JF, Simmons SF, Ouslander JG. Physical activity levels of ambulatory nursing home residents. J Aging Phys Act 1996;4(3):264-278. DOI: https://doi.org/10.1123/japa.4.3.264. 

  16. Schmid A, Weiss M, Heseker H. Recording the nutrient intake of nursing home residents by food weighing method and measuring the physical activity. J Nutr Health Aging 2003;7(5):294-295. 

  17. Chen YM. Perceived barriers to physical activity among older adults residing in long-term care institutions. J Clin Nurs 2010;19(3-4):432-439. DOI: https://doi.org/10.1111/j.1365-2702.2009.02990.x. 

  18. De Guzman AB, Lacampuenga PE, Lagunsad AP. Examin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physical activity, cognition, fear of falling, and mobility limitation of Filipino in nursing homes. Educ Gerontol 2015;41(7):527-542. DOI: https://doi.org/10.1080/03601277.2014.986398. 

  19. Kalinowski S, Wulff I, Kolzsch M, Kopke K, Kreutz R, Drager D. Physical activity in nursing homes: barriers and facilitators: a cross-sectional study. J Aging Phys Act 2012;20(4):421-441. DOI: https://doi.org/10.1123/japa.20.4.421. 

  20. Benjamin K, Edwards N, Guitard P, Murray MA, Caswell W, Perrier MJ. Factors that influence physical activity in long-term care: perspectives of residents, staff, and significant others. Can J Aging 2011;30(2):247-258. DOI: https://doi.org/10.1017/S0714980811000080. 

  21. Choe MA, Kim JI, Chae YR, Jeon MY, You CH. Levels of physical activity and relationship of factors related to physical activity in Korean elderly. J Korean Gerontol Nurs 2004;6(1):99-106. 

  22. Park YH. Physical activity and sleep patterns in elderly who visited a community senior center. Taehan Kanho Hakhoe Chi 2007;37(1):5-13. DOI: https://doi.org/10.4040/jkan.2007.37.1.5. 

  23. Park S, Park YH. Predictors of physical activity in Korean older adults: distinction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J Korean Acad Nurs 2010;40(2):191-201. DOI: https://doi.org/10.4040/jkan.2010.40.2.191. 

  24. Lee HS, Ahn JS, Chun SH. Analysis of environmental correlates with walking among older urban adults.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11;39(2):65-72. DOI: https://doi.org/10.9715/kila.2011.39.2.065. 

  25. Paek HH, Lee HS. Factors related to physical activities of elderly with chronic disease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Korean Entertain Ind Assoc 2015;9(2):267-278. DOI: https://doi.org/10.21184/jkeia.2015.06.9.2.267. 

  26. Kang HK. Assessment of basic physical activity for elderly women in long-term care facilities. Korean Entertain Ind Assoc 2014;14(7):346-355. DOI: https://doi.org/10.5392/jkca.2014.14.07.346. 

  27. Kim JI. Prediction of quality of life among the elderly at c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according to health states, physical and cognitive functions, and social supports: focused on D metropolitan city. J Korea Acad Ind Coop Soc 2015;16(7):4656-4667. DOI: https://doi.org/10.5762/kais.2015.16.7.4656. 

  28. Oh HK, Lee SK, Sok SH, Kim KB. The relations among ADL, self-efficacy, and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institution residents. J East-West Nurs Res 2007;13(1):48-56. 

  29. Kwon. S. Study on the improvement of health and long-term care system for the elderly based on field survey and insurance data analysis. Wonju: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3. 

  30. Kim H, Jung YI, Sung M, Lee JY, Yoon JY, Yoon JL. Reliability of the interRAI long term care facilities (LTCF) and interRAI home care (HC). Geriatr Gerontol Int 2015;15(2):220-228. DOI: https://doi.org/10.1111/ggi.12330. 

  31. Carpenter I, Hirdes JP. Using interRAI assessment systems to measure and maintain quality of long-term care. In: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European Commission, editors. A good life in old age?: monitoring and improving quality in long-term care. Paris: OECD Publishing; 2013. pp. 93-139. 

  32. Kim H, Park YH, Jung YI, Choi H, Lee S, Kim GS, et al. Evaluation of a technology-enhanced integrated care model for frail older persons: protocol of the SPEC study, a stepped-wedge cluster randomized trial in nursing homes. BMC Geriatr 2017;17(1):88. DOI: https://doi.org/10.1186/ s12877-017-0459-7. 

  33. Kang SJ, Kim YH. The effect of individual, social, and physical environment variables on older adults' physical activity. Korean J Sport Psychol 2011;22(3):113-124. 

  34. Morris JN, Fries BE, Morris SA. Scaling ADLs within the MDS. J Gerontol A Biol Sci Med Sci 1999;54(11):M546-M553. DOI: https://doi.org/10.1093/gerona/54.11.m546. 

  35. Burrows AB, Morris JN, Simon SE, Hirdes JP, Phillips C. Development of a minimum data set-based depression rating scale for use in nursing homes. Age Ageing 2000;29(2):165-172. DOI: https://doi.org/10.1093/ageing/29.2.165. 

  36. Martin L, Poss JW, Hirdes JP, Jones RN, Stones MJ, Fries BE. Predictors of a new depression diagnosis among older adults admitted to complex continuing care: implications for the depression rating scale (DRS). Age Ageing 2008;37(1):51-56. DOI: https://doi.org/10.1093/ageing/afm162. 

  37. Schroll M, Jonsson PV, Mor V, Berg K, Sherwood S. An international study of social engagement among nursing home residents. Age Ageing 1997;26 Suppl 2:55-59. DOI: https://doi.org/10.1093/ageing/26.suppl_2.55. 

  38. Chogahara M, Cousins SO, Wankel LM. Social influences on physical activity in older adults: a review. J Aging Phys Act 1998;6(1):1-17. DOI: https://doi.org/10.1123/japa.6.1.1. 

  39. World Health Organization. mHealth: new horizons for health through mobile technologies: second global survey on eHealth.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1. 

  40. Kwan A. Using mobile technologies for healthier aging [Internet]. mHealth Alliance and Pfizer. 2012 [cited 2017 Apr 22]. Available from: http://www.mhealthknowledge.org/resources/using-mobile-technologyhealthier-aging.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