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기요양기관 시설장의 노인 응급상황 인식 및 대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Emergency Coping Ability of the Elderly in Long-term Care Facilitie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5, 2020년, pp.325 - 336  

김순옥 (신한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장기요양기관에서 서비스를 총괄하고 있는 시설장을 대상으로 노인 응급상황에 대한 인식 및 대처능력을 파악하여 시설장의 응급상황 대처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및 정책자료 개발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대상자는 노인요양시설 및 재가센터 시설장 192명이며, 자료수집은 2019년 3.15~4.20,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cheffe, Multiple linear regression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시설장의 응급상황 경험은 97.4%로 높았고, 응급상황 인식도 6.16점, 정답률 62%로 중간정도 수준이였고, 응급상황 대처능력은 평균 69.61±13.537점 이었다. 응급상황 경험과 응급상황 대처능력(r=-.202, p=.005)은 음의 상관관계, 응급상황 대처능력 영향 변수는 장기요양기관 유형(β=8.253, p<.001)이었다. 연구결과를 근거로 시설장 대상 응급교육 적용 시 장기요양기관 유형을 고려하여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할 필요가 있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dentified the perception and coping ability of an emergency involving the elderly for facility directors in charge of service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and used it as basic data for developing educational programs and policy data for improving the ability of emergency facilities. Th...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지금까지 장기요양기관에서 발생하는 응급관련 연구를 살펴보면 최일선에서 노인을 돌보고 있는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응급상황 대처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관련 연구는 다수 수행되었으나, 시설장을 대상으로 응급상황에 대한 인식도를 파악하거 나, 응급상황 대처능력 정도를 평가하는 연구는 수행된 바가 없다[21,22].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장기요양기관 시설장을 대상으로 응급상황 인식도 및 대처능력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여 시설장의 응급상황 대처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및 정책자료 개발 시 기초자료로 활용함과 동시에 궁극적으로 장기요양기관 현장의 응급상황 대처능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장기요양기관 시설장의 응급상황 경험 및 응급상황 인식도, 응급상황 대처능력을 파악하고, 시설장의 응급상황 대처능력에 영향 요인을 확인해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장기요양기관에서 서비스를 총괄하고 있는 시설장을 대상으로 노인 응급상황에 대한 인식 및 대처 능력을 파악하여 시설장의 응급 상황 대처능력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장기요양서비스를 주도적으로 제공하고 있는 노인요양시설과 재가센터의 운영을 총괄하는 장기요양기관 시설장의 응급상황 경험 및 인식도, 응급상황 대처능력을 파악하여 시설장의 응급상황 대처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및 정책자료 개발 시 기초자료로 활용함과 동시에 궁극적으로 장기요양기관 현장의 응급상황 대처능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고자 실시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장기요양보험 제도는 급여 종류에 따라 어떻게 등급을 나누어 제공되는가? 우리나라의 65세이상 노인인구 비율이 2026년 20% 를 넘어 초고령사회(Super-aged society)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되면서 급속한 고령화의 진전으로 인한 노인들의 부양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08년부터 노인장기요양 보험 제도가 시행되고 있다. 노인장기요양보험 제도는 급여종류에 따라 시설과 재가로 구분하여 노인들의 건강상태나 신체의존도를 기준으로 1~5등급으로 나누어 등급 상태에 따라 주로 1~2등급은 시설서비스, 3~5등급은 재가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1].
장기요양서비스 종사자들이 응급상황 시 갖춰야 할 역량은 무엇인가? 4%(502,233명)를 차지하고 있다[8-10]. 이처럼 시설이나 재가대상자 모두 장기요양보험 수혜자는 응급상황에 취약한 상태이므로 사고로 인한 부상과 질병의 악화를 미연에 방지하여, 이차적인 합병증 및 장애를 최소화하기 위해 장기요양기관 종사자는 노인에게 발생 가능한 응급상태를 인지하고, 응급처치를 수행할 수 있는 역량이 갖추어져 있어야한다 [11]. 실제 장기요양서비스 종사자들도 실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응급상황에 적극적으로 대처하는데 응급교육의 기회가 부족하다고 언급하면서 응급교육을 높이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12,13].
재가서비스는 무엇인가? 재가서비스는 시설에 입소하지 않고 익숙한 환경과 관계가 있는 가정에서 생활하는 노인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재가서비스 형태가 권장되고 있다 [1]. 이처럼 재가서비스 노인은 시설보다 상대적으로 중증도가 떨어지는 3~5등급이지만 1-2등급 대상자는 시설 및 재가서비스를 모두 수혜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시설과 유사한 응급상황이 발생될 수 있음을 간과 할 수 없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Y. K. Lee.(2018). Current Status of and Barriers to Home and Community Care in the Long-term Care System.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59, 77-89. Available at: http://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29713 

  2. P. A. Tabloski.(2010). Gerontological Nursing(2nd ed.).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Education 

  3. K. J. Lee, & N. C. Kim.(2002). Geriatric nursing(Revision 5th Edition). Seoul, Young Moon Publishing. 

  4. A. M. Sanford et al.(2015). An International Definition for "Nursing Hom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Directors Association, 16(3), 181-184. DOI: 10.1016/j.jamda.2014.12.013 

  5. K. B. Kim, H. K. Lee, & S. H. Sok.(2009).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Nursing Needs of the Elderly in Nursing Home, Journal of Korean Academic Community Health Nursing, 20(1), 1-11. UCI : G704-001647.2009.20.1.001 

  6. Y. G. Ro, W. D. Sun, J. Y. Yoon, J. W. Won, D. W. Lee, & D. H. Lee.(2010). A Study on the Role Establishment of Nursing Homes and Nursing Hospitals,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7. H. R. Kim.(2020). Geriatric nursing, Seoul, Hyumn Publishing. 

  8. J. S. Lee, E. J. Han, & I. O. Kang. (2011). The Characteristics and Service Utilization of Home Nursing Care Beneficiaries under the Korean Long Term Care Insuran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2(1), 33-44. DOI: 10.12799/jkachn.2011.22.1.33 

  9. Y. R. Cho, & K. Y. Lee. (2014). Current Prehospital Care Status, Knowledge, and Prehospital Care Confidence toward the Elderly among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The Kor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18(3), 19-35. http://dx.doi.org/10.14408/KJEMS.2014.18.3.019 

  10.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2014). Fire Administration Ddocuments and Statistics, Seoul. Available at: http://www.nema. go.kr 

  11. D. C. Uhm, & S. K. Sung (2009). A Study on the need for Emergency Care Education in Nursing Home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al Nursing Education, 15(1), 53-61. DOI:.org/10.5977/JKASNE.2009.15.1.053 

  12. R. A. Jablonski, S. W. Utz, R. Steeves, & D. P. Gray.(2007). Decisions about transfer from Nursing Home to Emergency Department.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39(3), 266-272. DOI: 10.1111/j.1547-5069.2007.00179.x 

  13. M. S. Lee. (2015). A Study on the method in dealing with Patients and Patient transfer process at the Elderly Care Facility before going to Emergency Depart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Seoul. 

  14. J. S. Kim.(2016). A Study on Facility Directors' Experience in the Operation of Elderly Medical and Welfare Faciliti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Baekseok University, Chungnam. 

  15. S. O. Kim, & S. H. Bae.(2019). Emergencies in Long-Term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in Korea: A Mixed-Methods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17(66), 1-11. Doi:10.3390/ijerph17010066 

  16.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2014). Long-term Care for Elderly Geriatric Care Manual, Seoul,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17. E. O. An.(2014). A Study on Effect of the CEO and Middle Manager's Leadership Styles at Social Welfare Organization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Social Worke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nam University, Jeonbuk. 

  18. B. Shoulders, C. Follett, & J. Eason, (2014). Enhancing Critical Thinking in Clinical Practice: Implications for Critical and Acute Care Nurses. Dimensions of Critical Care Nursing, 33(4), 207-214. Doi.org/10.1097/DCC.0000000000000053 

  19. M. J. Moon, & S. Lee (2019). Influencing Factors on Patient Safety Behaviors of Care Workers in Long Term Care Facilities. Journal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33(1), 98-108. Doi.org/10.5932/JKPHN.2019.33.1.98 

  20. H. M. Jung.(2014). A Study on the Leadership of Chiefs of Senior Care Facilities: - with priority given to biblical leadership-,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Baekseok University, Chungnam. 

  21. S. O. Kim, & S. Y. Kim, (2018). Experience of Emergency Situation and Experience of Education, First Aid Knowledge and Educational Needs of Caregivers. Journal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32, 288-303. Doi.org/10.5932/JKPHN.2018.32.2.288 

  22. S. Y. Kim, & S. O. Kim, (2018). Patient Safety Awareness and Emergency Response Ability perceived by Nursing Homes and Home Visiting Caregiver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4(4), 347-357. Doi.org/10.5977/jkasne.2018.24.4.347 

  23. H. H. Kim, & I. S. Lee, (2012). First Aid Knowledge and Education Needs of Ski Resort Workers.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16(1), 103-115. Doi.org/10.14408/KJEMS.2012.16.1.103 

  24. K. H. Hwang, & O. C. Lee.(2017). Factors Affecting Safety Awareness and Emergency Response Capability among Employees of Public Facilities. Crisis, 13, 1-12. Doi.org/10.14251/crisisonomy.2017.13.8.1 

  25. I. S. Ko, H. S. Kang, K. H. Kim, & K. S. Park. (2013). Management and Perceived Difficulties of Caregiver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and Nurses in the Emergency Room Regarding Transition of Care for Elderly Resident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y Nursing, 15(3), 227-235. 

  26. Y. G. Pyeon.(2015). Effect of the Elderly Long-term Care Service on the Family Conflict.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am University, Gwangju. 

  27. H. S. Oh, & H. R. Ahn.(2005).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Patients Visiting the Emergency, Korean Journal of Research in Gerontology, 14, 51-61. 

  28. Ministry Health and Welfare.(2018). Training Guidelines for Elderly Caregivers. Retreived from http://www.mohw.go.kr/react/sch/index.jsp 

  29. S. T. Kim, & Y. I. Kim.(2018). Long-term Care Insurance Statistics Annual Report 2017. Seoul,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30. S. O. Kim.(2019). Comparison of Emergency Experience and First Aid Knowledge, Emergency Coping Ability, Educational Experience and Educational Needs of Facilities and Home Caregiver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33(3), 390-408. Doi.org/10.5932/JKPHN.2019.33.3.390 

  31. K. H. Park.(2016). A Comparative Study on Task Performance and Educational Needs of the Care Workers at Long-term and Home Care Service Cent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32. E. J. Lee. (2011). A Study on Exploring Strategies of Nursing Home to Manage Residents' Condition Changes: SWOT Analysi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33. E. H. Hwang, D. Y.Jung, M. J. Kim, K. H. Kim, & S. J. Shin. (2012). Comparison of Frequency and Difficulty of Care Helper Jobs in Long Term Care Facilities and Client Home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6(1), 101-112. Doi.org/10.5932 

  34. P. Dalawari, J. Duggan, V. Vangimalla, M. Paniagua, & E. S. Armbrecht. (2011). Patient transfer forms enhance Key Information between Nursing Homes and Emergency Department. Geriatric Nursing, 32(4), 270-276. Doi.org/10.1016/j.gerinurse.2011.05.001 

  35. N. G. Lee, D. O. Kim, & B. R. Choi, (2017). First Aid Knowledge and Education Requirements of Physical Therapists, The Kor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21(2), 103-113. Doi.org/10.14408/KJEMS.2017.21.2.103 

  36. H. S. Kim.(2015). The Analysis of Rate of Recognition of the Knowledge and Education in First Aid for Prospective Staff in Sports Industry, Journal of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9(4), 165-176. 

  37. S. H. Yi. (2019). Effects of First Aid Training Program on Child Care Teachers' Coping Intentions and Knowledge in the Case of Emergency Situation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9(5), 464-471. Doi.org/10.5392/JKCA.2019.19.05.464 

  38. S. P. Chung, T. Sakamoto, S. H. Lim, M. H. M.Ma, T. L.Wang, F.Lavapie, et al. (2016). The 2015 Resuscitation Council of Asia(RCA) Guidelines on Adult Basic Life Support for Lay Rescuers. Resuscitation, 105, 145-148. Doi.org/10.1016/j.resuscitation.2016.05.02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