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생들의 태도 특성 분석을 통한 학생 집단 구분에 대한 연구: TIMSS 2015 결과를 중심으로
Investigating Korean Students' Different Profiles of Affective Constructs and Engagements: A Latent Profile Analysis on TIMSS 2015 원문보기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v.21 no.3, 2018년, pp.207 - 225  

황지현 (아이오와대학교) ,  고은성 (전주교육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지난 10년간 이루어진 국제비교연구들에 따르면 우리나라 학생들은 높은 수학 학업 성취도에 비해 정의적 요인과 교사특성에 대한 지각에서 부정적인 결과를 보이고 있다. 이런 일반적인 결과에 더해, 본 연구는 TIMSS 2015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학생들의 정의적 특성 및 교사 특성에 대한 지각에 대해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잠재 프로파일 분석을 사용하여 학생들의 정의적 요인 및 교사특성에 대한 지각과 관련하여 질적으로 다른 다섯 그룹들을 발견하였다. 그 중에서 정의적 요인들에 비해 교사특성에 대한 지각에서 상대적으로 더 부정적인 결과를 보이는 두 그룹에 좀 더 주목할 필요가 있다. 각 그룹의 서로 다른 특징은 그룹에 속하는 학생들의 정의적 측면 및 교사특성에 대한 지각을 향상시키기 위해 서로 다른 접근 방법을 취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이를 위해 학업 성취도뿐만 아니라, 정의적 특성 및 교사특성에 대한 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과 관련된 후속 연구가 필요함을 제안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arge-scale international comparison studies for a decade have shown Korean students' negative affective constructs and engagement. In addition to this general finding, this research aimed to provide details in Korean students' affective constructs and engagement. With the latent profile analysis,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우리나라 학생들의 다차원적인 정의적 요인들과 교사특성에 대한 학생의 지각 내에서 드러나는 특징을 분석하여 학생 집단을 구분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기본적으로 수학에 대한 정의적 측면과 교사특성에 대한 지각에서 우리나라 학생들의 모집단은 질적으로 다양한 집단의 학생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질적 차이는 학생들의 설문 조사 결과를 통해 관찰 가능하다고 가정한다.
  • 본 연구는 정의적 요인과 교사특성에 대한 학생의 지각의 측면에 기초하여 우리나라 학생들을 수학 교과에 대한 태도 특성에 따라 구분하기 위해, 정의적 요인들에 대한 선행연구와 교사특성에 대한 학생의 지각에 대한 선행연구를 반영한다.
  • 이를 위해 기본적으로 수학에 대한 정의적 측면과 교사특성에 대한 지각에서 우리나라 학생들의 모집단은 질적으로 다양한 집단의 학생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질적 차이는 학생들의 설문 조사 결과를 통해 관찰 가능하다고 가정한다. 본 연구는 정의적 측면과 교사특성에 대한 지각에서 다양한 특성을 지닌 학생들의 집단을 잠재 프로파일 분석(latent profile analysis, LPA)을 사용하여 구분하고, 각 집단이 보이는 서로 다른 특징들을 살펴본다. 이러한 각 그룹의 서로 다른 특징은 우리나라 학생들의 수학교과에 대한 태도 특성 개선을 위한 다양한 연구의 시작점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본 연구에서는 또한 수학교과에서 나타나는 학생들의 집단별 태도 특성을 조사하는데 있어 앞서 논의된 정의적 특성뿐만 아니라 교사특성에 대한 학생의 지각에서 나타나는 특성을 포함한다. 이는 정의적 요소와 교수 참여에 대한 태도가 학생과 교사간의 상호작용에 바탕을 두고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는 연구에 기인한다(Stroet, Opdenakker, & Minnaert, 2013).
  • 그러나 교사특성에 대한 학생의 지각이 어떻게 학생들의 정의적 특성과 함께 학생들의 수학교과에 대한 태도 특성을 형성하는지에 대한 조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학에 대한 정의적 요인들과 수학교과에서 학생들이 지각하는 교사특성을 종합하여 학생들의 수학교과에 대한 집단별 태도 특성을 분석한다.
  • 본 연구에서는 학생의 수업 참여를 분석하는 데 있어, 학생과 교사의 상호작용 속 행동 및 표현 자체보다는 교사특성에 대해 학생들의 지각에 주목하고자 한다. 교사가 교실의 사회적 맥락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때 교사가 어떠한 의도를 가지고 학생들에게 행동하고 표현하는지가 중요하다(Simon,1995).
  • 뿐만 아니라, 연구자들은 학생들의 여러 외적 특성들, 예를 들면 학업성취도, 성별, 학년, 지역 특성에 따라 학생들의 정의적 특성이 다름을 확인하고 그에 적합한 교과 내용을 제공하고 교수-학습 전략을 사용할 것을 제안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모두 학생 개개인이 지닌 정의적 특성을 최대한 포착하고, 이를 반영한 수학 교수를 제공함으로써 학생들의 정의적 특성을 개선하고 수학 학습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노력이다.
  • 그러나 이 때 교사의 행동 및 표현 자체보다는 이에 대해 학생들이 어떻게 지각하고 있는가가 더 중요하다(이미영, 2007). 이에 수학교과에서 교사의 행동에 대한 학생의 지각 역시 수학교과에 대한 학생들의 태도 특성과 분리될 수 없는 것으로, 본 연구에서는 정의적 요인들과 함께 이를 학생들의 수학교과에 대한 태도 특성을 구성하는 요소로 간주한다.

가설 설정

  • 본 연구는 우리나라 학생들의 다차원적인 정의적 요인들과 교사특성에 대한 학생의 지각 내에서 드러나는 특징을 분석하여 학생 집단을 구분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기본적으로 수학에 대한 정의적 측면과 교사특성에 대한 지각에서 우리나라 학생들의 모집단은 질적으로 다양한 집단의 학생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질적 차이는 학생들의 설문 조사 결과를 통해 관찰 가능하다고 가정한다. 본 연구는 정의적 측면과 교사특성에 대한 지각에서 다양한 특성을 지닌 학생들의 집단을 잠재 프로파일 분석(latent profile analysis, LPA)을 사용하여 구분하고, 각 집단이 보이는 서로 다른 특징들을 살펴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학교육연구가 다양한 요인들에 관심을 가지는 이유는 무엇인가? 학생의 수학 학습의 결과는 학생의 인지적 역량에 의해서만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정의적(affective) 측면을 포함한 다양한 요인으로부터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 알려지면서(Singh, Granville, &Dika, 2002), 수학교육연구는 그 다양한 요인들에 관심을 가져왔다. 그 대표적인 것으로 정의적 요인(Di Martino & Zan, 2010; Mcleod, 1994)과 수학교사의 특성에 대한 학생들의 지각(Newmann,Wehlage, & Lamborn, 1992; Singh et al.
수학교육에서 정의는 무엇인가? 수학교육에서 정의(affect)는 인지적 측면과 정서적 측면 사이의 상호작용으로 알려져 있으며 (Mcleod, 1994), 최근 몇 년 동안 정의적 측면에 대한 관심이 급속하게 증가해 왔다. 학생들은 수학을 배울 때, 정서 상태가 어떠한가에 따라 도전적인 문제를 해결하는데 적극적일 수도 있으며, 아니면 어려움에 직면했을 때 그들의 인지 과정을 완전히 멈추어버릴 수도 있다(Di Martino & Zan, 2010).
학생의 수학 학습의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는 무엇이 있는가? 학생의 수학 학습의 결과는 학생의 인지적 역량에 의해서만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정의적(affective) 측면을 포함한 다양한 요인으로부터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 알려지면서(Singh, Granville, &Dika, 2002), 수학교육연구는 그 다양한 요인들에 관심을 가져왔다. 그 대표적인 것으로 정의적 요인(Di Martino & Zan, 2010; Mcleod, 1994)과 수학교사의 특성에 대한 학생들의 지각(Newmann,Wehlage, & Lamborn, 1992; Singh et al., 2002; Skinner & Belmont, 1993; Skinner, Furrer,Marchand, & Kndermann, 2008; Stroet, Opdenakker, & Minnaert, 2013)을 들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2)

  1. 김소희(2015). 수학적.수학외적 의사소통을 통한 수업이 학생의 인지적.정의적 영역 발달에 미치는 효과.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정원, 김병숙(2004). 학생이 지각한 교사특성과 학문적 자아개념 및 학습태도와의 관계. 아동교육, 13(2), 253-262. 

  3. 김희진(2014). 놀이를 활용한 수학 학습이 중학생의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박맹구(2001). 중.고등학생이 지각한 교사행동과 자아개념 및 학습태도와의 관계 연구.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이미영(2007). 초등학생의 교사 행동지각, 학업성취 관련 변인 및 학업 성취도의 관계.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이민찬, 길양숙(1998). 수학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정의적 특성의 학년별 변화 및 성별, 성취집단별 차이.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A 수학교육, 37(2), 147-158. 

  7. 이영선(2017).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수학 수업이 학생들의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함수내용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이영주(1999).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정의적 특성, 수학적 문제해결력, 추론능력간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이종필(2010). 중학교3 학년 학생 수학학습의 도.농간 정의적 특성 연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이종희, 김선희(2010).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수학 정의적 성취의 차이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14(4), 759-785. 

  11. 이희숙, 정제영, 선미숙(2016). 교육자원 투입에 따른 청소년의 학업성취 효과에 대한 메타적 접근-교사변인을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23(4), 425-450. 

  12. 조광규(1997). 교사행동에 대한 학생의 지각이 학습동기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주미경(2010).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 개선을 위한 수업 원리 및 사례.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 개선 방안 탐색 세미나 연구자료 ORM2010-58(pp.139-154). 

  14. 최권, 전민재, 안효영, 진하늘, 도승이(2013). 중학생이 지각한 교사 및 교우 관계가 수업참여를 매개로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아시아교육연구, 14(4), 281-306. 

  15. 최지혜(2014). 교사 지도성이 초등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다층분석. 초등교육연구, 27(3), 163-187. 

  16.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16). 수학.과학성취도 추이 변화 국제비교 연구: 결과분석. 연구보고 RRE 2016-15-1. 

  17. Akaike, H. (1987). Factor analysis and AIC. Psychometrika, 52(3), 317-332. doi:10.1007/BF02294359 

  18. Akey, T. M. (2006). School context, student attitudes and behavior, and academic achievement: An exploratory analysis. New York, NY: MDRC. 

  19. Atweh B., Clarkson P., & Nebres B. (2003). Mathematics education in international and global contexts. In: Bishop A.J., Clements M.A., Keitel C., Kilpatrick J., Leung F.K.S. (eds), Second international handbook of mathematics education: Springer International Handbooks of Education(pp. 158-229). Dordrecht, Netherlands: Springer 

  20. Celeux, C., & Soromenho, G. (1996). An entropy criterion for assessing the number of clusters in a mixture model. Journal of Classification, 13, 195-212. 

  21. Choi, K., Choi, T., & McAninch, M. (2012). A comparative investigation of the presence of psychological condition in high achieving eighth graders from TIMSS 2007 mathematics. ZDM Mathematics Education, 44, 189-199. 

  22. Coppola, C., Di Martino, P., Pacelli, T., & Sabena, C. (2012). Primary teachers' affect: a crucial variable in the teaching of mathematics. Nordic Studies in Mathematics Education, 17(3-4), 101-118. 

  23. Di Martino, P., & Zan, R. (2010). 'Me and maths': Towards a definition of attitude grounded on students' narratives. Journal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13, 27-48. doi:10.1007/s10857-009-9134-z 

  24. Di Martino, P., & Zan, R. (2011). Attitude toward mathematics: A bridge between beliefs and emotions. ZDM Mathematics Education, 43, 471-482. doi:10.1007/s11858-011-0309-6 

  25. Di Martino, P., & Zan, R. (2015). The construct of attitude in mathematics education. In B. Pepin & B. Roesken-Winter (Eds.), From beliefs to dynamic affect systems in mathematics education: Exploring a mosaic of relationships and interactions (pp. 51-72). Cham, Switzerland:Springer. 

  26. Eklof, H. (2007). Self-concept and valuing of mathematics in TIMSS 2003: Scale structure and relation to performance in a Swedish setting. Scandinavi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51(3), 297-313. 

  27. Grunschel, C., Patrzek, J., & Fries, S. (2013). Exploring different types of academic delayers: Alatent profile analysis. Learning and Individual Differences, 23, 225-233. doi:10.1016/j.lindif.2012.09.014 

  28. Lo,Y., Mendell, N.R., & Rubin,D.B. (2001). Testing the number of components in a normal mixture. Biometrika, 88(3), 767-778. doi:10.1093/biomet/88.3.767 

  29. Ma, X., & Kishor, N. (1997). Asses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 toward mathematics and achievement in mathematics: A meta-analysis.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28(1), 26-47. 

  30. Marsh, H. W., Ludtke, O., Trautwein, U., & Morin, A. J. S. (2009). Classical la tent profile analysis of academic self-concept dimensions: Synergy of person-and variable-centered approaches to theoretical models of self-concept.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Multidisciplinary Journal, (2), 191-225. doi:10.1080/10705510902751010 

  31. Martin, M. O., Mullis, I. V. S., & Hooper, M. (Eds.). (2016). Methods and Procedures in TIMSS 2015. Chestnet Hill, MA: TIMSS & PIRLS International Study Center, Lynch School of Education, Boston College and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valuation of Educational Achievement (IEA). 

  32. McLachlan, G. J. (1987). On bootstrapping the likelihood ratio test stastistic for the number of components in a normal mixture. Journal of the Royal Statistical Society. Series C (Applied Statistics), 36(3), 318-324. 

  33. Mcleod, D. B. (1992). Research on affect in mathematics education: A reconceptualization. In D. A. Grows (Ed.), Handbook of research o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pp. 575-596). New York, NY: Macmillan. 

  34. Mcleod, D. B. (1994). Research on affect and mathematics learning in the JRME: 1970 to present.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25(6), 637-647. 

  35. Mullis, I. V. S., & Martin, M. O. (Eds.). (2013). TIMSS 2015 Assessment Framework. Chestnut Hill, MA: TIMSS & PIRLS International Study Center, Boston College. 

  36. Muthen, L., & Muthen, B. (1998). MPlus (version 7.3) [Computer software]. Los Angeles, CA: Muthen & Muthen. 

  37. Newmann, F. M., Wehlage, G. G., & Lamborn, S. D. (1992). The significance and sources of student engagment. In F. M. Newmann (Ed.), Student engagement and achievement in American secondary schools(pp. 11-39). New York, NY: Teachers' College Press. 

  38. Opdenakker, M.-C., Maulana, R., & den Brok, P. (2012). Teacher-student interpersonal relati onships and academic motivation within one school year: Developmental changes and link age. School Effectiveness and School Improvement, 23(1), 95-119. doi:10.1080/09243453.2011.619198 

  39. Papanastasiou, C., & Papanastasiou, E. C. (2006). Modeling mathematics achievement in Cypr us. In S. J. Howie & T. Plomp (Eds.), Contexts of learning mathematics and science: Lessons learned from TIMSS(pp. 113-125). New York, NY: Routledge 

  40. Schwabe, L., & Wolf, O. T. (2010). Learning under stress impairs memory formation. Neurobiology of Learning and Memory, 93(2), 183-188. doi:10.1016/j.nlm.2009.09.009 

  41. Schwarz, G. (1978). Estimating the Dimension of a Model. The Annals of Statistics, 6(2), 461-464. 

  42. Sclove, S. L. (1987). Application of model-selection criteria to some problems in multivariate analysis. Psychometrika, 52(3), 333-343. doi:10.1007/BF02294360 

  43. Shen, C., & Tam, H. P. (2008). The paradoxical relationship between student achievement and self-perception: A cross-national analysis based on three waves of TIMSS data. Educational Research and Evaluation, 14(1), 87-100. doi: 10.1080/13803610801896653 

  44. Simon, M. A. (1995). Reconstructing mathematics pedagogy from a constructivist perspective.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26(2), 114-145. 

  45. Singh, K., Granville, M., & Dika, S. (2002). Mathematics and science achievement: Effects of motivation, interest, and academic engagement.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95(6), 323-332. doi:10.1080/00220670209596607 

  46. Skinner, E. A., & Belmont, M. J. (1993). Motivation in the classroom: Reciprocal effects of teacher behavior and student engagement across the school year.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5(4), 571-581. 

  47. Skinner, E. A., Furrer, C., Marchand, G., & Kndermann, T. (2008). Engagement and disaffection in the classroom: Part of a larger motivational dynamic?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00(4), 765-781. doi:10.1037/a0012840 

  48. Stroet, K., Opdenakker, M.-C., & Minnaert, A. (2013). Effects of need supportive teaching on early adolescents' motivation and engagement: A review of the literature. Educational Research Review, 9, 65-87. doi:10.1016/j.edurev.2012.11.003 

  49. Thomson, S., & Fleming, N. (2004). Summing it up: Mathematics achievement in Australian schools in TIMSS 2003. (TIMSS Australia Monograph No. 6). Camberwell, Australia: Australian Council for Educational Research. 

  50. Wilkins, J. L. M. (2004). Mathematics and science self-concept: An international investigation. The Journal of Experimental Education, 72(4), 331-346. doi:10.3200/JEXE.72.4.331-346 

  51. Yoshino, A. (2012).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cept and achievement in TIMSS 2007:A comparison between American and Japanese students. International Review of Education, 58(2), 199-219. 

  52. Zan, R., Brown, L., Evans, J., & Hannula, M. S. (2006). Affect in mathematics education: An introduction.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63, 113-121. doi:10.1007/s10649-006-9028-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