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교 과학수업에서 학생의 사전질문 분석틀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tudent's Pre-question Framework for Analysisin Elementary Science Class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8 no.2, 2018년, pp.235 - 247  

강헌태 (고촌초등학교) ,  노석구 (경인교육대학교)

초록

학생의 사전질문은 교사에게 학생의 관심사와 수준을 제공해줄 뿐만 아니라, 교육의 수요자인 학생의 관점을 반영하여 교수-학습을 진행할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해주는 유용한 수단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학생의 사전질문을 효과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분석틀을 개발하고, 이 분석틀을 적용하여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초등과학 학습 단원과 관련된 학생의 사전질문을 분석하는 것이다. 개발된 분석틀은 지식형, 확장형, 호기심형 질문의 3개의 대범주로 구성되며, 각각의 범주에서 다시 몇 개의 하부 영역으로 세분된다. 개발된 분석틀을 이용하여 2009 개정 교육과정 초등과학 5, 6학년 학습 단원에서 제시한 학생사전질문 914개를 분석한 결과, 학년 및 학습 단원, 차시별로 분포하는 질문 유형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형별 질문의 비율에도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사전질문 분석틀을 통해 학습에 대한 학생의 요구를 파악하고 이를 반영한 학생 중심의 교수-학습의 방향을 제시하였으며, 추후 연구에서도 분석틀이 유의미한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ent's pre-questions (pre-class questions related to the learning contents) not only provide the teacher a gauge of the interest and level of the student, but also provide a useful means of providing clues to proceed with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생의 사전질문의 특징은 무엇인가? 학생의 사전질문은 교사에게 학생의 관심사와 수준을 제공해줄 뿐만 아니라, 교육의 수요자인 학생의 관점을 반영하여 교수-학습을 진행할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해주는 유용한 수단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학생의 사전질문을 효과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분석틀을 개발하고, 이 분석틀을 적용하여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초등과학 학습 단원과 관련된 학생의 사전질문을 분석하는 것이다.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목표를 이루기 위한 학습방안은 무엇입니까?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도 마찬가지로 과학 교육의 중심은 학생이라는 점을 명확히 하면서 자연현상 및 사물에 대하여 호기심과 흥미를 가지고, 과학의 핵심 개념에 대한 이해와 탐구 능력의 함양을 통하여, 개인과 사회의 문제를 과학적이고 창의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과학적 소양을 배양하는 것을 과학 교육의 목표로 삼고 있다(Korean Ministry of Education, 2018). 이러한 목표에 따라 활동중심 참여수업, 자기주도 학습, 자유탐구, 학생 능동수업 등과 같이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과 이에 적합한 교과서를 제시하면서 학생 중심의 학습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목표는 무엇입니까? 모든 교육의 중심에는 학생이 있고 이들의 성장을 위해 끊임없는 고민과 노력으로 보다 나은 교육과정과 교수법 등이 개발되고 있으며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발전해 오고 있다.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도 마찬가지로 과학 교육의 중심은 학생이라는 점을 명확히 하면서 자연현상 및 사물에 대하여 호기심과 흥미를 가지고, 과학의 핵심 개념에 대한 이해와 탐구 능력의 함양을 통하여, 개인과 사회의 문제를 과학적이고 창의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과학적 소양을 배양하는 것을 과학 교육의 목표로 삼고 있다(Korean Ministry of Education, 2018). 이러한 목표에 따라 활동중심 참여수업, 자기주도 학습, 자유탐구, 학생 능동수업 등과 같이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과 이에 적합한 교과서를 제시하면서 학생 중심의 학습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Bae, J., & Kim, J. (2008). Effects on generating and applicating of high-level questions in the elementary science instruction and learning. Biology Education, 36(4), 555-565. 

  2. Bae, S. (2017). The effect of assessing student-generated questions upon questioning performance(Doctoral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3. Chin, C. & Brown, D. E. (2000). Posing problems for open investigations: what questions do pupils ask? Research in Science & Technological Education, 20(1), 269-287. 

  4. Chin, C. & Brown. D. E. (2002). Student-generated question: a meaningful aspect of learning in sc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4(5), 521-549. 

  5. Cho, Y. (1988). Constructionism teaching-learning. Seoul: Science Education Publication Co. 

  6. Choi, E. (2006). Effect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science learning characteristics with asking question in science classes(Master's thesis). Bus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Busan. 

  7. Choi, S. & Yeo, S. (2011). Analysis of elementary students' question types in their science class. The Journal of Education, 24(1), 137-146. 

  8. Cuccio-Schirripa, S. & Steiner, H. E. (2000). Enhancement and analysis of science question level for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7(2), 210-224. 

  9. Dalgarno, B. (1998). Choosing learner activities for specific learning outcomes: A tool for constructivist computer assisted design. In C. McBeath & R. Atkinson (Eds.), Planning for Progress, Partnership and profile: Proceedings EdTech' 98. Perth: Australian Society for Educatioal Technology. 

  10. Donaldson, M. (1978). Children's minds. London: Fontana. Collins. 

  11. Elstgeest, J. (1985). The right question at the right time. In W. Harlen (ed.) Primary Science: Taking the Plunge, London: Heinemann, 36-46. 

  12. Finley, F. N. (1985). Variations in prior knowledge. Science Education. 69, pp. 697-706 

  13. Fosnot, C. T., (1996). Constructivism. theory, perspective, and practice, Teachers College Press, Avenue, New York. 

  14. Good, T. L., Slavings, R.L., Harel, K.H., & Emerson, H. (1987). Student passivity: a study of question asking in K-12 classrooms. Sociology of Education. 60, 181-199. 

  15. Kang, I. (2003). Constructionism of our time. Seoul: Moonum Publication Co. 

  16. Kang, I., & Choo, H. (2009). Re-conceptualization of the learner-centered education: the status quo of the in-service teacher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9(2), 1-34. 

  17. Kim, M., & Kim, H. (2007). The effects of authentic open inquiry on cognitive reasoning through an analysis of types of student-generated question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7(9), 930-943. 

  18. Kim, S., Yeo, S., & Woo, K. (1999a). The effect of the teaching enhancing students questioning - a study (I) on students' questioning activity in science clas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19(3), 377-388. 

  19. Kim, S., Yeo, S., & Woo, K. (1999b). Analysis of the patterns of students' questions - a study on students questioning activity in science classes (II).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19(4), 560-569. 

  20. King, A. (1994). Guiding knowledge construction in the classroom: effects of teaching children how to question and how to explain.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31(2), 338-368. 

  21.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2015). 2009 revised elementary school science curriculum explanation 6-2.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22.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2018). 2015 revised elementary school science curriculum explanation 3-1.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23. Lea, S. T., Stephenson, D., & Troy, J. (2003). Higher education students' attitudes to student centered learning: beyond' educational bulimia. Studies in Higher Education. 28(3), 321-334. 

  24. Lee, M. (2003). Factors affecting students' questioning and the types of questions in middle school science classes(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5. Lee, Y., Lee, T., Lim, S., & Kim, Y. (2015). Analysi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frequency and type relating to question in science class context. The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9(1). 59-79. 

  26. Maskill & Pedrosa de Jesus. (1997). Pupils' questions. alternative frameworks and the design of science teaching.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9(7). 781-199. 

  27. Paris, C., & Combs, B. (2006). Lived meanings: what teachers mean when they say they are learner-centered. Teacher and Teaching: Theory and Practice 12(5), 71-92. 

  28. Sadker & Cooper. (1974). Increasing student high-order questions. Elementary English, 51, 502-507. 

  29. Scardamalia, M. & Bereiter, C. (1992). Text-based and knowledge-based questioning by children. Cognition and Instruction, 9(3), 177-199. 

  30. Scott P., Asoko H., Driver R. & Emberton J. (1994) Working from children's ideas: an analysis of constructivist teaching in the context of a chemistry topic. In: P. Fensham R. Gunstone, & R. White (Eds.) The content of science. (pp. 201-220). London: Falmer. 

  31. White. R. T. & Gunstone (1992). Probing understanding, London: Falmer. 

  32. Yang, I. H., Oh, C. H., & Cho, H. J. (2007). Development of the scientific inquiry process model based on scientists’ practical work.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3(1), 1-16. 

  33. Yang, M. (1999). A critical understanding of the teacher's questioning : its characteristics. The Choong-Won Review of Humanities, 20(1), 61-7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