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마우스 RAW264.7 세포에 대한 비지 추출물의 항염증 활성
Anti-Inflammatory Effect of Biji (Soybean curd residue) on LPS-Stimulated RAW264.7 Cells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31 no.2, 2018년, pp.117 - 123  

박수빈 (안동대학교 생약자원학과) ,  송훈민 (안동대학교 생약자원학과) ,  김하나 (안동대학교 생약자원학과) ,  박광훈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약용자원연구소) ,  손호준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약용자원연구소) ,  엄유리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약용자원연구소) ,  박지애 (안동대학교 생약자원학과) ,  정진부 (안동대학교 생약자원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비지는 대두 가공 시 생산되는 부산물로 대부분 폐기되고 있는 실정이지만, 최근 비지를 유용한 자원으로 이용하기 위한 기능성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비지의 항염증에 대한 연구가 미비하여 본 연구진은 비지추출물이 마우스 대식세포인 RAW264.7에 LPS에 의한 염증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비지추출물은 NF-${\kappa}B$와 p38의 활성 억제를 통해 만성염증 유발인자인 NO, iNOS, $PGE_2$, COX-2, TNF-${\alpha}$ 및 IL-$1{\beta}$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비지는 독성과 부작용이 적은 항염증 관련 식의약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evaluated anti-inflammatory effect of biji in LPS-stimulated RAW264.7 cells. Biji inhibited the generation of NO and $PGE_2$ through the suppression of iNOS and COX-2 expression. In addition, biji attenuated the expression of TNF-${\alpha}$ and IL-$1{\be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비지는 대두 가공 시 생산되는 부산물로 대부분 폐기되고 있는 실정이지만, 최근 비지를 유용한 자원으로 이용하기 위한 기능성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비지의 항염증에 대한 연구가 미비하여 본 연구진은 비지추출물이 마우스 대식세포인 RAW264.7에 LPS에 의한 염증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비지추출물은 NF-κB와 p38의 활성 억제를 통해 만성염증 유발인자인 NO, iNOS, PGE2, COX-2, TNF-α및 IL-1β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본 연구는 비지의 항염증 관련 식의약 소재 적용을 위해 기초 자료를 확보하고자 비지 추출물의 세포기반 항염증 활성을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지란? 비지(Biji)는 두부 또는 두유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생산되는 부산물로 제조과정에서 대두로부터 수용성물질이 빠져나간 상태이지만 인체에 유용한 성분이 남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Kim et al., 1996).
비지가 대부분 폐기물로 처리되는 이유는? , 1996). 그러나 비지는 동물용 사료로 일부 활용되고 있으나 쉽게 부패되어 대부분은 폐기물로 처리되고 있는 실정이다(Kim et al., 1996).
염증을 줄이기 위한 항염증제의 종류는? 현존하는 항염증제는 히드로코르티손, 베타메타손 등의 스테로이드계와 아스피린, 이부르로펜 등의 비스테로이드계로 이들 항염증제는 위염, 신장염, 심장질환 등의 부작용을 초래하여 천연으로부터 안전한 항염증 관련 식의약소재 개발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Makins and Ballinger, 2003; Dogne et al.,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ogdan, C. 2001. Nitric oxide and the immune response. Nat. Immunol. 2:2907-2916. 

  2. Choi, M.S., J.I. Kim, J.B. Jeong, S.B. Lee, J.N. Jeong, H.J. Jeong, E.W. Seo, T.Y. Kim, O.J. Kwon and J.H. Lim. 2011. Suppressive effect of by-product extracts from soybean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expression of obesity-related genes in 3T3-L1 adipocytes. J. Life Sci. 21:358-367. 

  3. Delgado, A.V., A.T. McManus and J.P. Chambers. 2003. Production of tumor necrosis factor- ${\alpha}$ , Interleukin 1- ${\beta}$ , interleukin 2, and interleukin 6 by rat leukocyte subpopulations after exposure to substance. Proc. Neuropeptides. 37:355-361. 

  4. Dogne, J.M., J. Hanson, C. Supuran and D. Pratico. 2006. Coxibs and cardiovascular side-effects: from light to shadow. Curr. Pharm. Des. 12:917-975. 

  5. Dong, C., R.J. Davis and R.A. Flavell. 2002. MAP kinases in the immune response. Annu. Rev. Immunol. 20:55-72. 

  6. DuBois, R.N., M. Tsujii and P. Bishop. 1994.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a growth factor-inducible cyclooxygenase gene from rat intestinal epithelial cells. Am. J. Physiol. 266:822-827. 

  7. Gi, X., X. Liang, G. Luo, Q. Yu, H. Li, D. Wang, R. Li and X. Deng. 2010. Regulation of inflammatory mediators in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RAW 264.7 cells by 2"-hydroxy-3"-en-anhydroicaritin involves down-regulation of NF-kappa B and MAPK expression. Int. Immunopharmacol. 10:995-1002. 

  8. Gracie, J.A., R.J. Forsey, W.L. Chan, A. Gilmour, B.P. Leung, M.R. Greer, K. Kennedy, R. Carter, X.O. Wei, D. Xu, M. Field, A. Foulis, F.Y. Liew and I.B. Mclnnes. 1999. A proinflammatory role for IL-18 in rheumatoid arthritis. J. Clin. Invest. 104:1393-1401. 

  9. Harris, S.G., J. Padilla, L. Koumas, D. Ray and R.P. Phipps. 2002. Prostaglandins as modulators of immunity. Trends Immunol. 23:144-150. 

  10. Kim, D.S., M.H. Seol and D.H. Kim. 1996. Changes in quality of soybean curd residue as affected by different drying methods. J. Korean Soc. Food Nutr. 25:453-459. 

  11. Kinne, R.W., R. Bruer, B. Stuhlmller, E. Palombo-Kinne and G.R. Burmester. 2000. Macrophages in rheumatoid arthritis. Arthritis Res. 2:189-202. 

  12. Laskin, D. and K.J. Pendino. 1998. Macrophages and inflammatory mediators in tissue injury. Annu. Rev. Pharmacol. 35:655-677. 

  13. Lee, H.N., D.Y. Lim, S.S. Lim, J.D. Kim and J.H.Y. Park. 2011. Anti-inflammatory effect of ethanol extract from Eupatorium japonicum. Korean J. Food Sci. Technol. 43:65-71. 

  14. Makins, R. and A. Ballinger. 2003. Gastrointestinal side effects of drugs. Expert Opin. Drug Saf. 2:421-429. 

  15. Mariathasan, S. and D.M. Monack. 2007. Inflammasome adaptors and sensors: intracellular regulators of infection and inflammation. Nature Reviews. Immunology. 7:31-40. 

  16. Matsumoto, K., Y. Watanabe and S.I. Yokoyama. 2007. Okara, soybean residue, prevents obesity in a diet-induced murine obesity model. Biosci. Biotechnol. Biochem. 71:720-727. 

  17. Moynagh, P.N. 2005. The NF-kappaB pathway. J. Cell Sci. 118:4589-4592. 

  18. Namkoong S., S.A. Jang, E.H. Sohn, J.P. Bak, E. Sohn, H.J. Koo, W.J. Yoon, J.E. Kwon, Y.J. Jeong, X. Meng, H.S. Han and S.C. Kang. 2015. Comparative study of Litsea japonica leaf and fruit extract on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Korean J. Plant Res. 28(2):145-152. 

  19. Park, S.M., S.H. Byun, Y.W. Kim, I.J. Cho and S.C. Kim. 2012. Inhibitory effect of Mori Folium ethanol extract on proinflammator mediator in lipopolysaccharide-activated RAW264.7 cells. Kor. J. Herbology 27(3):31-38. 

  20. Shi, M., Y. Yang, D. Guan, Y. Zhang and Z. Zhang. 2012. Bioactivity of the crude polysaccharides from fermented soybean curd residue by Flammulina velutipes. Carbohydr. Polym. 89:1268-1276. 

  21. Smith, W.L., E.A. Meade and E.L. DeWitt. 1994. Pharmacology of prostaglandin endoperoxide synthase isozymes 1 and 2. Ann. NY. Acad. Sci. 714:136-142. 

  22. Wu, G. and S.M. Morris. 1998. Arginine metabolism: nitric oxide and beyond. Biochem. J. 336:1-17. 

  23. Yun, J.W. 2010. Possible anti-obesity therapeutics from nature. A review. Phytochemistry 71:1625-1641. 

  24. Zedler, S. and E. Faist. 2006. The impact of endogenous triggers on trauma-associated inflammation. Curr. Opin. Crit. Care. 12:595-60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