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재배지역 및 고도에 따른 블랙초크베리 'Nero'의 수체 생육 및 과실 특성
Tree Growth and Fruit Characteristics of 'Nero' Black Chokeberry According to Different Cultivation Regions and Altitudes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31 no.2, 2018년, pp.136 - 148  

원정연 (충북대학교 원예학과) ,  신현석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원예학과) ,  오영재 (충북대학교 원예학과) ,  한현대 (충북대학교 원예학과) ,  권의석 (충북농업기술원 원예연구과) ,  김대일 (충북대학교 원예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재배지와 고도에 따른 블랙초크베리 'Nero'의 생육 시기, 수체 생육 및 과실 특성을 구명하여 육종 및 재배 생리 연구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2014년 재배지별 블랙초크베리 생육 시기 및 수체 생육은 네 재배 지역(단양, 옥천, 영동, 금산)의 기상 환경에 관계없이 유사했다. 재배지별 과실특성은 십립중과 안토시아닌 함량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는데 이는 각각 전정방법과 관수 등의 재배 기술과 수확 전 일교차 급증의 영향으로 추측되었다. 2014년과 2015년 고도별 블랙 초크베리 'Nero'의 생육 시기 및 수체 생육은 유사하게 나타났지만, 과실 특성은 기온이 높은 저지대(117 m)에서 생산된 과실의 가용성고형물이 고지대(342 m)보다 높았던 반면, 산도는 고지대가 높았다. 안토시아닌 함량은 2014년과 2015년 8월 중순까지 증가하다가 고도별로 차이는 있으나 이후부터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재배지와 고도별 블랙초크베리 'Nero'의 수체 생육 및 생육 시기는 차이가 없어 국내 환경에서 재배가 용이한 것으로 생각되며, 수확 시기별 과실 특성을 고려할 때 단양 지역의 블랙초크베리의 최적 수확 시기는 8월 8-19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basic tree growth and fruit characteristics of 'Nero' black chokeberry (Aronia melanocarpa) depending on the different cultivation regions and altitudes in 2014, 2015. Tree growth and change of developmental stages of 'Nero' were similar regardless of meteorol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최근 블랙초크베리의 재배가 급증하고 있는 충청 지역 주산지 5농가의 블랙초크베리 ‘Nero’를 대상으로 재배지(단양, 옥천, 영동, 금산)와 해발고도(342 m, 117 m)에 따른 기상환경의 차이가 수체 생육 및 과실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분석하여 국내 환경적응성을 구명하고, 블랙초크베리 고품질 재배 및 생리 연구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 재배지와 고도에 따른 블랙초크베리 ‘Nero’의 생육 시기, 수체 생육 및 과실 특성을 구명하여 육종 및 재배·생리 연구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블랙초크베리란 무엇인가? 블랙초크베리(Aronia melanocarpa)는 배나무아과 아로니아속으로 분류되는 낙엽활엽관목으로 2009년 국내에 도입되었다(RDA, 2015). 블랙초크베리는 프로안토시아니딘, 클로로겐산,네오클로로겐산, 안토시아닌, 타닌과 같은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Kulling and Rawel, 2008; Wu et al.
재배지별 블랙초크베리의 십립중과 안토시아닌 함량의 차이가 나타난 이유는? 2014년 재배지별 블랙초크베리 생육 시기 및 수체 생육은 네 재배 지역(단양, 옥천, 영동, 금산)의 기상 환경에 관계없이 유사했다. 재배지별 과실특성은 십립중과 안토시아닌 함량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는데 이는 각각 전정방법과 관수 등의 재배 기술과 수확 전 일교차 급증의 영향으로 추측되었다. 2014년과 2015년 고도별 블랙초크베리 ‘Nero’의 생육 시기 및 수체 생육은 유사하게 나타났지만, 과실 특성은 기온이 높은 저지대(117 m)에서 생산된 과실의 가용성고형물이 고지대(342 m)보다 높았던 반면, 산도는 고지대가 높았다.
블랙초크베리의 특징은? 블랙초크베리(Aronia melanocarpa)는 배나무아과 아로니아속으로 분류되는 낙엽활엽관목으로 2009년 국내에 도입되었다(RDA, 2015). 블랙초크베리는 프로안토시아니딘, 클로로겐산,네오클로로겐산, 안토시아닌, 타닌과 같은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Kulling and Rawel, 2008; Wu et al.,2004), 중성 및 산성 토양에서도 재배가 가능해 환경적응성이 뛰어나고 유기재배가 가능한 작물로 알려지면서(Kask, 1987; McKay, 2001) 국내 재배면적은 2013년 336.4 ha, 2014년 1,10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Atanassova, M. and V. Christova-Bagdassarian. 2009. Determination of tannins content by titrimetric method for comparison of different plant species. J. Univ. Chem. Technol. Metall. 44:413-415. 

  2. Blumthaler, M., W. Ambach and W. Rehwald. 1992. Solar UV-A and UV-B radiation fluxes at two alpine stations at different altitudes. Theor. Appl. Climatol. 46:39-44. 

  3. Bolling, B.W., R. Taheri, R. Pei, S. Kranz, M. Yu, S.N. Durocher and M.H. Brand. 2015. Harvest date affects aronia juice polyphenols, sugars and antioxidant activity, but not anthocyanin stability. Food Chem. 187:189-196. 

  4. Brand, M. 2010. Aronia: Native shrubs with untapped potential. Arnoldia 67:14-25. 

  5. Brown, D.S. 1953. The apparent efficiencies of different temperatures for the development of apricot fruit. Amer. Soc. Hort. Sci. Proc. 62:173-183. 

  6. Cho, C.H., D.G. Choi and J.H. Song. 2010. Effect on fruit quality and harvest time of 'Hongro' apples in cultivation areas. Kor. J. Hort. Sci. Technol. 28:92. (Abstr.) 

  7. Cho, H.R., Y.S. Zhang, K.H. Han, H.J. Cho, J.H. Ryu, K.Y. Jung, K.R. Cho, A.S. Ro, S.J. Lim, S.C. Choi, J.I. Lee, W.K. Lee, B.K. Ahn, B.H. Kim, C.Y. Kim, J.H. Park and S.H. Hyun. 2012. Soil physical properties of arable land by land use across the country. Kor. J. Soil Sci. Fert. 45:344-352. 

  8. Elgar, H.J., C.B. Watkins and N. Lallu. 1999. Harvest date and crop load effects on a carbon dioxide-related storage injury of ‘Braeburn’ apple. HortScience 34:305-309. 

  9. Erf, J.A. and J.T.A. Proctor. 1987. Changes in apple leaf water status and vegetative growth as influenced by crop load. J. Amer. Soc. Hort. Sci. 112:617-620. 

  10. Forshey, C.G. 1982. Effects of fruiting, pruning, and nitrogen fertilization on shoot growth of 'Empire' apple trees. J. Amer. Soc. Hort. Sci. 107:1092-1097. 

  11. Giusti, M.M. and R.E. Wrolstad. 2001. Characterization and measurement of anthocyanins by UV-visible spectroscopy: In Wrolstad, R.E. and S.J. Schwartz (eds.), Current Protocols in Food Analytical Chemistry. Wiley, New York, NY (USA) pp. 19-31. 

  12. Hardin, J.W. 1973. The enigmatic chokeberries (Aronia, Rosaceae). Bull. Torrey Bot. Club 100:178-184. 

  13. Hulme, M., Z.C. Zhao and T. Jiang. 1994. Recent and future climate change in East Asia. Intl. J. Climatol. 14:637-658. 

  14. Jackson, J.E. 1984. Effects of cropping on tree vigour. Acta Hort. 146:83-87. 

  15. Jeppsson, N. 2000. The effects of fertilizer rate on vegetative growth, yield and fruit quality, with special respect to pigments, in black chokeberry (Aronia melanocarpa) cv. 'Viking'. Sci. Hort. 83:127-137. 

  16. Jeppsson, N. and R. Johansson. 2000. Changes in fruit quality in black chokeberry (Aronia melanocarpa) during maturation. J. Hort. Sci. Biotechnol. 75:340-345. 

  17. Kask, K. 1987. Large-fruited black chokeberry (Aronia melanocarpa). Fruit Var. J. 41:47. 

  18. Kawecki, Z. and Z. Tomaszewska. 2006. The effect of various soil management techniques on growth and yield in the black chokeberry (Aronia melanocarpa Elliot). J. Fruit Ornam. Plant Res. 14:67-73. 

  19. Kim, J.H. 1990. Principles in pomology. 3rd ed., Hyangmunsa, Seoul, Korea. 

  20. Kim, J.H., J.C. Kim, K.C. Ko, K.R. Kim and J.C. Lee. 2006. Fruit Science General. 4th ed., Hyangmunsa, Seoul, Korea. 

  21. Kim, J.K. and H.H. Seo. 2007. Causes of tree vigor weakening and occurrence of deformed fruit in 'Hongro' apple tree. Kor. J. Sci. Technol. 25:408-412. 

  22. Kim, S.O., U. Chung, S.H. Kim, I.M. Choi and J.I. Yun. 2009. The suitable region and site for 'Fuji' apple under the projected climate in South Korea. Kor. J. Agr. Forest Meteorol. 11:162-173. 

  23. Kulling, S.E. and H.M. Rawel. 2008. Chokeberry (Aronia melanocarpa) - A review on the characteristic components and potential health effects. Planta Med. 74:1625-1634. 

  24. Lee, H.C. 1999. Physiological and ecological factor affecting fruit coloration and color enhancement in Malus domestica Borkh. cv. 'Fuji'. Department of Horticulture, Ph.D. Thesis, Seoul Natl. Univ., Korea. 

  25. Lee, S.H., Y.S. Kwon, I.J. Kim T.J. Kim, H.H. Kim and D.I. Kim. 2012.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meterological condition and 'Fuji' apple fruit characteristics in Chungbuk, Korea. J. Kor. Soc. Intl. Agr. 24:51-59. 

  26. Lindsey, A.A. and J.E. Netman. 1956. Use of official weather date in spring time temperature analysis of an Indiana phenological record. Ecology 37:812-823. 

  27. Marguery, P. and B.S. Sangwan. 1993. Sources of variation between apple fruits within a season and between seasons. J. Hort. Sci. 68:309-315. 

  28. McKay, S.A. 2001. Demand increasing for aronia and elderberry in North America. New York Fruit Quarterly 9:2-3. 

  29. Mladin, P., G. Mladin, E. Oprea, M. R?dulescu and C. Nicola. 2011. Variability of the anthocyanins and tannins in berries of some Lonicera caerulea var. kamchatica, Aronia melanocarpa and Berberis thunbergii var. atropurpurea genotypes. Scientific Papers R.I.F.G. Pitesti. 27:38-42. 

  30. Mowat, A.D. and A.P. George. 1994. Persimmon. Handbook of environmental physiology of fruit crops. Volume I: Temperate crops. CRC Press, Boca Raton, FL (USA) pp. 209-232. 

  31. Mowat, A.D., A.P. George and R.J. Collins. 1997. Macro-climatic effects on fruit development and maturity of non-astringent persimmon (Diospyros kaki L. cv. Fuyu). Acta Hort. 436:195-202. 

  32. Nakano, R., K. Yonemori, A. Sugiura and I. Kataoka. 1997. Effect of gibberellic acid and abscisic acid on fruit respiration in relation to final swell and maturation in persimmon. Acta Hort. 436:203-214. 

  33. Park, Y.M. and T.M. Yoon. 2005. Storage potential of early- season cultivar 'Tsugaru' apples based on consumer acceptance after marketing simulation. J. Kor. Soc. Hort. Sci. 46:176-182. 

  34. Park, Y.M., T.M. Yoon and M.G. Hwang. 2005. Analysis of storage method and marketing temperature effects on the storage potential of mid-season apple cultivar 'Hongwol'. Kor. J. Hort. Sci. Technol. 23:49-55. 

  35. Ryugo, K. 1969. Seasonal trends of titratable acids, tannins and poly phenolic compounds and cell wall constituents in oriental pear fruit (Pyrus serotina Rehd.). J. Agric. Food Chem. 17:43-47. 

  36.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2012.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 Standards of Research, Investigation, and Analysis. RDA, Jeonju, Korea. 

  37.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2015. Aronia. RDA, Jeonju, Korea. 

  38. Shu, Z.H., C.C. Chu, L.J. Hwang and C.S. Shieh. 2001. Light, temperature, and sucrose affect color, diameter, and soluble solids of disks of wax apple fruit skin. HortScience 36:279-281. 

  39. Strik, B., C. Finn and R. Wrolstad. 2003. Performance of chokeberry (Aronia melanocarpa) in Oregon, USA. Acta Hort. 626:439-443. 

  40. Taira, S., M. Ono and N. Matsumoto. 1997. Reduction of persimmon astringency by complex formation between pectin and tannins. Postharvest Biol. Technol. 12:265-271. 

  41. Tomana, T. 1983. The effect of environmental temperatures on fruit maturing. J. Kor. Soc. Hort. Sci. 24:276-288. 

  42. Ubi, B.E., C. Honda, H. Bessho, S. Kondo, M. Wada, S. Kobayashi and T. Moriguchi. 2006. Expression analysis of anthocyanin biosynthetic genes in apple skin: Effect of UV-B and temperature. Plant Sci. 170:571-578. 

  43. Won, J., H. Shin, Y. Oh, H. Han, K. Kim, S. Oh and D. Kim. 2017. Comparison of quality and cell enlargement of 'Nero' black chokeberry fruits according to different soil water conditions. Korean J. Plant Res. 30:88-95. 

  44. Wu, X., L. Gu, R.L. Prior and S. McKay. 2004. Characterization of anthocyanins and proanthocyanidins in some varieties of ribes, aronia and sumbucus and their antioxidant capacity. J. Agric. Food Chem. 52:7846-7856. 

  45. Xie, R., L. Zheng, S. He, Y. Zheng, S. Yi and L. Deng. 2011. Anthocyanin biosynthesis in fruit tree crops: Genes and their regulation. Afr. J. Biotechnol. 10:19890-19897. 

  46. Yun, S.H. and J.T. Lee. 2001. Climate change impacts on optimum periods of rice plant and its countermeasure in rice cultivation. Kor. J. Agric. For. Meteorol. 3:55-7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