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3D프린터를 활용한 교구 개발 프로그램이 예비유아특수교사의 보편적 학습설계 인식 변화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융합적 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in teaching material Development Program Using 3D Printer on the Recognition of Universal Design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Pre-service Teacher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9 no.5, 2018년, pp.113 - 119  

이승훈 (한국교통대학교 유아특수교육학과) ,  주교영 (서울정애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3D 프린터를 활용한 교구개발 프로그램이 예비유아특수교사의 보편적 학습설계 인식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연구대상은 3D 프린터를 활용한 교구개발 프로그램에 참가한 예비유아특수교사 30명이었으며, 보편적 학습설계에 대한 설문을 중재프로그램 적용 전과 후에 실시하여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예비특수교사들은 3D 프린터를 활용한 교구 개발 프로그램을 통해 보편적 학습설계의 4개 하위영역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보편적 학습 설계 인식 향상을 위해 3D 프린터를 이용한 직접적 교구개발 경험이 매우 효과적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예비유아교사에게 교구개발 경험은 수업설계 능력 향상을 위해 중요하며, 그들에게 다양한 요구를 지닌 학생 지도를 위하여 최신 기술을 활용한 교구개발 실습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participating in teaching material development program using 3D printer on the recognition of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pre-service teacher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30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장애학생을 포함한 다양한 학습자의 교육에 대한 보편적 학습설계 중 개별화된 교육을 위한 교재・교구를 제작하는 프로그램을 통하여 예비교사들의 보편적 학습설계에 대한 인식 차이를 비교・분석함으로써 예비유아특수교사 양성과정에서 보편적 학습설계에 대한 인식을 향상 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 이 연구는 3D프린터를 활용한 교재・교구 제작 프로그램이 예비특수교사의 보편적 학습설계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3D 프린터를 활용한 교구제작 프로그램이 예비유아특수교사들의 보편적 학습설계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연구대상자들에게 오리엔테이션을 실시하고 사전 검사를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3D 프린터를 활용한 교구 개발 프로그램이 예비유아특수교사들의 보편적 학습설계 인식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것이다. 연구결과 3D 프린터를 활용한 교구개발 프로그램이 예비 특수교사의 보편적 학습설계에 대한 교육과정 및 교육환경의 필요성 인식 수준, 교재 및 교구 다양화의 필요성 인식 수준, 교수 및 학습방법 다양화의 필요성 인식 수준, 인지 및 정서적 지원의 필요성인식 수준 등 4가지 영역에서 모두 효과적으로 향상되었음을 검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CAST에서 보편적 설계의 원리를 학습환경에 적용하려는 이유는 무엇인가? 미국의 응용특수공학센터(Center for Applied Special Technology, 이하 CAST)에서는 교육기회 확장을 위해 장애인을 포함한 모든 사람에게 테크놀로지 사용을 주장하였고[3], 이후 CAST는 UD원리를 학습 환경에 적용하는 방안을 보다 적극적으로 탐색하였다[4]. CAST에서는 교육장면에서 다양한 요구를 가진 학습자를 지원하기 위해 교사는 분명한 목표와 개별화된 교과내용, 방법, 평가 등을 계획할 수 있어야 하며, 차별화된 교수법을 기반으로 보편적 학습설계에 대해 인식하고 있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보편적 설계는 무엇인가? 장애학생을 위한 교육이 특수교육에서 일반교육 안으로 들어오면서 학교현장에서 장애학생들이 일반교육과정에 접근・참여하여 전반적인 발달과 진보(progress)가 가능하도록 돕는 효과적인 교수적 지원(instructional support)에 대한 요구가 크다[1]. 교수적 지원이 필요한 학생들과 비장애 학생들 모두의 학습권을 보장하는 방법으로 주목받고 있는 것이 보편적 설계(Universal Design,이하 UD)다. UD는 건축분야에서 처음 제시된 개념으로 주변 환경에 대한 개조나 추가적인 별도 설계가 없어도 모든 사람이 최대한 편리하고 융통성 있게 사용할 수 있도록 디자인하는 공학적 개념이다[2].
건축분야에서 UD는 어떤 개념인가? 교수적 지원이 필요한 학생들과 비장애 학생들 모두의 학습권을 보장하는 방법으로 주목받고 있는 것이 보편적 설계(Universal Design,이하 UD)다. UD는 건축분야에서 처음 제시된 개념으로 주변 환경에 대한 개조나 추가적인 별도 설계가 없어도 모든 사람이 최대한 편리하고 융통성 있게 사용할 수 있도록 디자인하는 공학적 개념이다[2]. 미국의 응용특수공학센터(Center for Applied Special Technology, 이하 CAST)에서는 교육기회 확장을 위해 장애인을 포함한 모든 사람에게 테크놀로지 사용을 주장하였고[3], 이후 CAST는 UD원리를 학습 환경에 적용하는 방안을 보다 적극적으로 탐색하였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Y. J. Park. (2016). Instructional Adaptation and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in Special Education: A Comparative Literature Review. Special Education Research, 15(3), 251-280. DOI :10.18541/ser.2016.08.15.3.251 

  2. Bowe, F. G. (2000). University design in education. Westport, CT: Bergin & Garvey. 

  3. CAST. (2004). Planning for all learners(PAL) toolkit. Wakefield, MA: Author. 

  4. N. J. Kim & J. H. Woo. (2016). Theoretical Study on the Conceptual Expansion and Implementation Process on UDL Applying.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55(3), 205-224. 

  5. K. G. Han.(2014). Awareness of Special School Teachers on UDL Application. The Journal of Special Children Education, 16(4), 83-102. 

  6. N. H. Im. (2012). Perception of Need and Actual Levels Analysis about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of Elementary Teacher. Master dissertation. Daegu University, Daegu. 

  7. H. M. Jang. (2014). A study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about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Master dissertation. Kongju University, Kongju. 

  8. Y. W. Jung. (2014). Analysis of Pre-service Mainstreaming Teacher' Perception of Universal Learning Design and Their Education Need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4(6), 23-40. 

  9. J. B. Park. (2012). Secondary Reserve Teacher' Recognition of Inclusive Education. Special Education Research, 11(1), 171-188. 

  10. K. O. Im., J. E. Park. & M. J. Kim. (2018).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 and Equipment in Special Education. Seoul : Hakjisa Publishing. 

  11. J. S. Park. (2017). Investigating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 of making teaching material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18(6), 418-430. 

  12. C. H. Ahn. (2014). 3D Printer. Seoul : Code Media Publishing. 

  13. D. I. Kim, J. Y. Son & S. K. Youn. (2008). Usability Testing of e-Learning applying Universal Design -Focusing on visual, hearing, and physical disabilities-. Th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Theory and Practice, 9(2), 97-127. 

  14. R. L. Mace. (1985). Universal design: Barrier free environments for everyone. Designers West, 33(1), 147-152. 

  15. Korean National Institute of Special Education. (2009). The Dictionary of Special Education. Seoul : Hau Publishing. 

  16. H. J. Kwon. (2012). The Effects of Science Class Applied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on Science Achievement and Academic Engagement of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and on Teachers'-Students' Performance in a General Middle School.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7. H. J. Myung. (2016). A study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Needs Perception and Actual Levels about Teaching-Learning Applied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Master dissertation.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Changwon. 

  18. H. K. Lee. (2015). A study of 3D Printing Technology adaption for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for young children. Children's media Study, 14(4). 247-263. 

  19. J. S. Kim, J. A. Park. (2015). An analysis of the kindergarten learning materials for free choice activity and outdoor play: manufacture, purchase, and utilizatio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35(2), 143-163. DOI : 10.18023/kjece.2015.35.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