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9 no.5, 2018년, pp.113 - 119
이승훈 (한국교통대학교 유아특수교육학과) , 주교영 (서울정애학교)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participating in teaching material development program using 3D printer on the recognition of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pre-service teacher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30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CAST에서 보편적 설계의 원리를 학습환경에 적용하려는 이유는 무엇인가? | 미국의 응용특수공학센터(Center for Applied Special Technology, 이하 CAST)에서는 교육기회 확장을 위해 장애인을 포함한 모든 사람에게 테크놀로지 사용을 주장하였고[3], 이후 CAST는 UD원리를 학습 환경에 적용하는 방안을 보다 적극적으로 탐색하였다[4]. CAST에서는 교육장면에서 다양한 요구를 가진 학습자를 지원하기 위해 교사는 분명한 목표와 개별화된 교과내용, 방법, 평가 등을 계획할 수 있어야 하며, 차별화된 교수법을 기반으로 보편적 학습설계에 대해 인식하고 있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 |
보편적 설계는 무엇인가? | 장애학생을 위한 교육이 특수교육에서 일반교육 안으로 들어오면서 학교현장에서 장애학생들이 일반교육과정에 접근・참여하여 전반적인 발달과 진보(progress)가 가능하도록 돕는 효과적인 교수적 지원(instructional support)에 대한 요구가 크다[1]. 교수적 지원이 필요한 학생들과 비장애 학생들 모두의 학습권을 보장하는 방법으로 주목받고 있는 것이 보편적 설계(Universal Design,이하 UD)다. UD는 건축분야에서 처음 제시된 개념으로 주변 환경에 대한 개조나 추가적인 별도 설계가 없어도 모든 사람이 최대한 편리하고 융통성 있게 사용할 수 있도록 디자인하는 공학적 개념이다[2]. | |
건축분야에서 UD는 어떤 개념인가? | 교수적 지원이 필요한 학생들과 비장애 학생들 모두의 학습권을 보장하는 방법으로 주목받고 있는 것이 보편적 설계(Universal Design,이하 UD)다. UD는 건축분야에서 처음 제시된 개념으로 주변 환경에 대한 개조나 추가적인 별도 설계가 없어도 모든 사람이 최대한 편리하고 융통성 있게 사용할 수 있도록 디자인하는 공학적 개념이다[2]. 미국의 응용특수공학센터(Center for Applied Special Technology, 이하 CAST)에서는 교육기회 확장을 위해 장애인을 포함한 모든 사람에게 테크놀로지 사용을 주장하였고[3], 이후 CAST는 UD원리를 학습 환경에 적용하는 방안을 보다 적극적으로 탐색하였다[4]. |
Bowe, F. G. (2000). University design in education. Westport, CT: Bergin & Garvey.
CAST. (2004). Planning for all learners(PAL) toolkit. Wakefield, MA: Author.
N. J. Kim & J. H. Woo. (2016). Theoretical Study on the Conceptual Expansion and Implementation Process on UDL Applying.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55(3), 205-224.
K. G. Han.(2014). Awareness of Special School Teachers on UDL Application. The Journal of Special Children Education, 16(4), 83-102.
N. H. Im. (2012). Perception of Need and Actual Levels Analysis about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of Elementary Teacher. Master dissertation. Daegu University, Daegu.
H. M. Jang. (2014). A study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about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Master dissertation. Kongju University, Kongju.
Y. W. Jung. (2014). Analysis of Pre-service Mainstreaming Teacher' Perception of Universal Learning Design and Their Education Need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4(6), 23-40.
K. O. Im., J. E. Park. & M. J. Kim. (2018).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 and Equipment in Special Education. Seoul : Hakjisa Publishing.
J. S. Park. (2017). Investigating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 of making teaching material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18(6), 418-430.
C. H. Ahn. (2014). 3D Printer. Seoul : Code Media Publishing.
D. I. Kim, J. Y. Son & S. K. Youn. (2008). Usability Testing of e-Learning applying Universal Design -Focusing on visual, hearing, and physical disabilities-. Th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Theory and Practice, 9(2), 97-127.
R. L. Mace. (1985). Universal design: Barrier free environments for everyone. Designers West, 33(1), 147-152.
Korean National Institute of Special Education. (2009). The Dictionary of Special Education. Seoul : Hau Publishing.
H. J. Kwon. (2012). The Effects of Science Class Applied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on Science Achievement and Academic Engagement of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and on Teachers'-Students' Performance in a General Middle School.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H. J. Myung. (2016). A study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Needs Perception and Actual Levels about Teaching-Learning Applied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Master dissertation.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Changwon.
H. K. Lee. (2015). A study of 3D Printing Technology adaption for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for young children. Children's media Study, 14(4). 247-263.
J. S. Kim, J. A. Park. (2015). An analysis of the kindergarten learning materials for free choice activity and outdoor play: manufacture, purchase, and utilizatio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35(2), 143-163. DOI : 10.18023/kjece.2015.35.2.007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