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의 운동참여, 근육량, 근력 및 인지기능과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Exercising Activity, Muscle Mass, Muscular Strength and Cognitive Function in the Elderly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9 no.5, 2018년, pp.219 - 229  

최재원 (중앙대학교 스포츠과학부) ,  유하나 (중앙대학교 스포츠과학부) ,  이현우 (중앙대학교 스포츠과학부) ,  강성구 (중앙대학교 스포츠과학부) ,  정혜연 (중앙대학교 스포츠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서울 경기에 거주하며 운동에 참여하는 65세 이상 274명을 대상으로 노인의 운동참여, 근육량, 근력과 인지기능의 정량적 지표를 토대로 이들 간의 관계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자료수집은 연구대상자의 운동참여(참여 빈도, 참여 시간), 근육량, 근력(상지근력, 하지근력), 인지기능(한국판 간이정신상태검사, 숫자 바로 읽기, 숫자 거꾸로 읽기)을 측정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일련의 타당성 있는 연구절차를 통하여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운동참여, 근육량, 근력, 인지기능 간에는 통계적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운동참여는 근육량, 근력, 인지기능에 정적(+) 영향력을 나타내었다. 셋째, 노인의 근육량은 근력, 인지기능에 통계적 유의한 정적(+) 영향력을 나타내었다. 넷째, 노인의 근력은 인지기능에 정적(+) 영향력을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Exercising Activity, muscle mass, Muscular strength and cognitive function of 274 elderly people aged 65 years and older living in Seoul and Gyeonggi-do As for the data collection methods, were measured the Exercising Activity, mus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노인의 운동참여, 근육량, 근력이 인지기능 간의 관계를 정량적 자료를 토대로 규명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체적 연구 목적을 설정하고 목적에 따라 결과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서울·경기에 거주하며 운동에 참여하는 65세 이상 274명을 대상으로 노인의 운동참여, 근육량, 근력과 인지기능의 정량적 지표를 토대로 이들 간의 관계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운동참여, 근육량, 근력과 인지 기능과의 관련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노인의 운동참여,  근육량, 근력, 인지기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여 그 관계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 이러한 제한점을 반영하여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인지기능과 관련하여 그들의 운동참여, 근육량, 근력을 정량적으로 측정하여 이를 기초로 노인의 인지기능과의 관련성을 규명해보고자 한다. 이러한 본 연구의 수행은 노인의 인지기능을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며 노인의 인지기능 활성화를 위한 예측 인자들의 과학적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의 신체활동 감소는 어떠한 체력 수준의 저하로 이어지는가? 노년기에는 연령의 증가로 노화를 촉진하고 노화 현상은 노인의 신체활동 감소로 귀결된다. 또한 노인의 신체활동 감소는 일반적으로 근육량의 감소와 근력의 저하로 나타나며 이는 근력, 근지구력, 순발력, 유연성과 같은 노인의 일상생활에 필수적 요인인 체력 수준의 저하로 이어진다[3].
노인의 복지와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노화, 건강 체력 저하, 인지기능 저하와 관련하여 임상학적 효과를 보이는 비약물적 수단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는 이유는? 특히 노인의 노화로 인한 체력감소와 그로 인한 노인의 신체활동 감소는 서로 상호작용하여 노인의 전반적 삶의 질을 하락시킨다. 더불어 노인의 자연적 노화는 신체기능 저하에 국한하지 않고 인지기능장애와 불안감, 우울증과 같이 정신건강 요인들에 직접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되고 있다[4]. 따라서 노인의 복지와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노화, 건강 체력 저하, 인지기능 저하와 관련하여 임상학적 효과를 보이는 비약물적 수단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숫자 외우기 검사란? 2) 숫자 외우기 검사(Digit span test) 숫자 외우기 검사는 즉각적인 숫자 회상 능력의 폭을 측정하는 검사로 바로 따라 외우기(Forward)와 거꾸로 따라 외우기(Backward)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의집중력과 작업기억을 평가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각각 만점은 16점이다[2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E. J. Jung, 1st Author et al. (2017). Development of longevity fitness age for successful aging in elderly. Korean Journal of Sport Science, 28(1), 26-36. 

  2. Statistics Korea. (2014). Estimated future population: 2013-2040. Statistics Korea, 2-11. 

  3. I. H. Lee & H. S. Kang. (2016). Association of health physical fitness and serum vitamin D with global cognitive performance in older persons. The Korean Society of Living Environmental System, 23(2), 217-224. 

  4. M. Gebretsadik & S. Jayaprabhu & G. T. Grossberg. (2006). Mood disorders in the elderly. Medical Clinics of North America, 90(5), 789-805. 

  5. R. O. Roberts & Y. E. Gada & D. S. Knopman & R. H. Cha & V. S Pankratz & Boeve, B. F. (2008). The Mayo Clinic study of aging: design and sampling, participation, baseline measures and sample characteristics. Neuroepidemiology. 30(1). 58-69. 

  6. O. L. Lopez & J. T. Becker & R. A. Sweet. (2005). Non-cognitive symptoms in mild cognitive impairment subjects. Neurocase, 11(1), 1355-4794. 

  7. G. A .Park & M. H. Oh. (2016). Relationships between Cognitive Function and Self Efficacy. Health Behavior of the Elderly Participation to Physical Activity, 20(1), 189-210. 

  8. J. Chodosh & D. Miller-Martinez & C. Aneshensel & R. Wight & A. Karlamnagla. (2010). Depressive symptoms, chronic diseases, and physical disabilities as predictors of cognitive functioning trajectories in older Americans. Journal of American Geriatric Society, 58, 2350-2357. 

  9. T. Luck & M. Luppa & S. Briel & H. Matschinger & HH. Konig & S. Bleich. (2010). Mild cognitive impairment incidence and risk factors: Results of the Leipzig Longitudinal study of the aged. Journal of American Geriatric Society, 58(4), 1903-1910. 

  10. J. S. Park & Y. W. Lee & H. S. Kim. (2015). Cognitive Impairment risk factors in elder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y Nursing, 17(3), 121-130. 

  11. C. Wang & T. Lu & W. Liao & P. Yuan Kuo & H. Chuang. (2009). Cigarette's electroencephalogram activation evidence for age-related decline in the anterior attention system. Neuropsychology, 11, 421-427. 

  12. E. H, Ha. (2010). The influencing factors of cognitive impairment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at home. Ph.D, thesis. Chungang University. 

  13. S. J, Kim. (2015). Association betwwn living arrangements and depression among community-dwelling elderly. Ph.D,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Jeollanam-do. 

  14. J. W. Choi & M. U. Chun & S. G. Kang. (2017).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physical activity type of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12), 431-444. 

  15. B. Y. Chung & J. Y. Han (2016). The Effect of Exercise on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Elderly: Systematic Review and Meta Analysis. Korea Data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7(5), 1375-1387. 

  16. D. G. Taekema & J. Gussekloo & J. A. B. Maier & R. G. Westendrop & A. J. de-Craen. (2010). Handgrip strength as a predictor of functional psychological and social health. A prospective population-based study among the oldest old. Age and Ageing, 39(3), 331-337. 

  17. A. Soumare & B. Tavernier & A. Alperovitch & C. Tzourio & A. Elbaz. (2009). A cross-sectional and longitudinal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walking speed and cognitive function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people. The Journal of Gerontology Series. A. Biological Science Medical Sciences, 64(10), 1058-1065. 

  18. C. Sattler & K. I, Erickson & P. Toro & J. Schrader. (2011). Physical fitness as a protective factor for cognitive impairment in a prospective population-based study in Germany. Journal of Alzheimer's Disease, 26(4), 709-718. 

  19. K. M, Um & Y. S. Bae. (2009). The comparison study of the mental function and functional fitness in facility-dwelled older person.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43, 93-110. 

  20. Y. S, Kim, 1st Author et al. (2013).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function and physical fitness of rural elderly people.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33(4), 727-739. 

  21. J. S. Chung. (2011). Effect of leg strength on flexibility, balance and gait characteristics in elderly woman. The Journal of Growth and Development, 19(3), 233-239. 

  22. L. McCarthy & L. Dolovich &, M. Haq & L. Thabane & J. Kaczorowski. (2010). Frequency of risk factors that potentially increase harm from medications in older adults receiving primary care. The Journal of clinical Pharmacology, 14(3), 283-290. 

  23. C. J. Liu & N. K. Latham. (2010). Progressive resistance strength training for improving physical function in older adults.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8(3), 2759-2768. 

  24. K. S. Nair. (2005). Aging muscle. The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81, 953-963. 

  25. M. F. Folstein & S. E. Folstein & P. R. McHugh. (1975). "Mini-mental state": a practical method for grading the cognitive state of patients for the clinician.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12(3), 189-198. 

  26. Y. C. Kwon & J. H. Park. (1989). 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MMSE-K). Part I: development of the test for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y Assoc, 28, 125-35. 

  27. Y. W. Kang. (2006). A study on the elderly norms of K-MMSE.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5(2), 1-12. 

  28. Y. W. Kang & J. H. Chin & D. L. Na. (2002). A study on the elderly norms of Memorize numbers test.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1(3), 911-922. 

  29. S. M. Yang & K, Y. Jeong & J. S. Choi. (2017). Effects of social activities on cognitive function by gender difference among older adults: A nine-year longitudinal analysis in South Korea.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72(3), 225-250. 

  30. S. M. Kim & Y. J. Lee & H. J. Kim. (2009). Effect of resistance training on joint flexibility and muscle strength of upper extremities of elderly with impaired cognition.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9(3), 987-1000. 

  31. H. Kollegger & C. Baumfather & C. Wober & W. Oder & L. Deecke. (1992). Spontaneous body sway as a function of sex, age and vision: Posturographic study in 30 healthy adults. European Journal of Neurology, 32, 253-259. 

  32. W. W. Spirduso & K. L. Francis & P. G, Macrae. (2005). Physical dimensions of aging(2nd ed.). Champaign-urbana. IL: Human Kinetics Publishers. 

  33. G. S. Yi & M. K. Oh & H. G. Kim & J. A. Kang & J. Y. Kim (2011). Relationship between body composition and bone mineral density in elderly, Journal of Clinical Geriatrics, 12(4), 160-169 

  34. D. E. R. Warburton & N. Gledhil & A. Quinney. (2001). Musculoskeletal fitness and health. Canadian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2, 217-237. 

  35. S. J. Colcombe & A. F. Kramer & K. L. Erickson. & P. Scalf. (2005). The implications of cortical recruitment and brain morphology for individual differences in inhibitory function in aging humans. Psychology and aging, 20(3), 363. 

  36. A. Raggi & S. Iannacoone & A. Marcome & V. Cinex & P. Ortelli & A. Nonis & M. C. Giusti. & S. F. Cappa. (2007). The effecs of a comprehensive rehabilitation program of Alzheimer's disease in a hospital setting. Behavioral Neurology, 18(1), 1-6. 

  37. C. S. Kim. (2015). Relationship Among Muscle Weight and Bone Mineral Density and Physical Fitness in Elderly Women. The Korean Society of Living Environmental System, 22(1), 46-57. 

  38. J. W. Choi & M. U. Chun & S. G. Kang. (2017).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Physical Activity Type of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12). 

  39. C. I. Lee & K. J. Hong & W. W. Lee. (2014). The Effects of Participating Senior Exercise Program on Successful Aging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Lifestyle Changes. Korea Academy of Care Management 13, 47-67. 

  40. L. L. ji. (2002) Exercise­induced modulation of antioxidant defense. Annals of the New York Academy of Sciences, 959(1), 82-92. 

  41. A. K. Desai & G. T. Grossberg & D. N. Sheth. (2004).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patients with Dementia. CNS drugs, 18(13), 853-875. 

  42. D. R, Royall & E. C, Kaufer & D. Kaufer & P. Malloy & K. L, Coburn & K. J. Black. (2009). The cognitive correlates of functional status: A review from the Committee on Research of the Americ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The Journal of Neuropsychiatry and Clinical Neurosciences, 19(3), 249-265. 

  43. N, H. Kim, 1st Author et al. (2011). Depression is associated with Sarcopenia, Not central obesity in elderly Korean men. Americ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ety, 59(11), 2062-2068. 

  44. B. R. Hwang, 1st Author et al. (2010). Investigation of sarcopenia and it's association with cardiometabolic risk factor in elderly subjects. Annals of Geriatric Medicine and Research, 14(3), 121-130. 

  45. S. Lee & T. N. Kim & S. H. Kim. (2012). Sarcopenia obesity is more closely associated with knee osteoarthritis than is nonsarcopenic obesity: A cross-sectional study. Arthritis & Rheumatism, 64, 3947-3954. 

  46. W. C. Stephen & I. Janssen. (2009). Sarcopenic-obesity and cardiovascular disease risk in the elderly. Journal of Nutrition Health Aging, 13(50), 460-466. 

  47. R. M. Lima & L. M, Bezerra & H. T, Rabelo & M. A, Silva& A. J. Silva & M. Bottaro & R. J. Oliveira.(2009). Fat-free mass, strength, and sarcopenia are related to bone mineral density in older women. Journal of Clinical Densitom, 12(1), 35-4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