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양궁 슈팅 시 균형성과 운동학적 요인이 양궁 점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alance and Kinematic Factors on Archery Score during Archery Shooting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9 no.5, 2018년, pp.239 - 246  

안형승 (한국체육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양궁 슈팅 시 양발의 균형성과 상지 분절 및 관절의 운동학적 분석을 실시하여 점수에 따른 차이를 비교분석 하였다. K대학교 엘리트 양궁선수 9명을 피험자로 선정하였으며, 70 m 거리에서 122 cm 표적지에 각각 3발씩 5엔드를 반복 측정하였다. 7대의 적외선 카메라(Qualisys, sweden)와 2대의 지면반력기(Kistler, Switerland)를 사용하여 상지 분절 및 관절의 움직임과 힘의 작용점(center of pressure [COP])를 산출하였다. 연구결과 양궁 선수가 8점을 쐈을 때, 9-10점을 쐈을 때보다 드로잉 암(drawing-arm)의 팔굽관절 운동범위와 왼발의 좌우 COP 범위가 크게 나타났다(p<.05). 양궁 경기에서 고득점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균형성이 요구되며, 특히 슈팅하는 순간 활을 지지하는 왼발의 균형성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또한 활을 지지하는 드로잉 암의 팔굽관절 움직임을 최소화하는 것이 안정적인 슈팅에 도움이 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balance of the both legs and the kinematic analysis of the upper limb segments and joints during archery shooting and compared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scores. 9 K-university elite archery athletes participated. Each archer was asked to shoot 3-shots and 5-end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양궁 슈팅 시 세 가지 점수 수준에 따른 인체 움직임의 차이를 분석하고, 고득점에서 나타나는 동작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실시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상지 분절의 중심이동 변위와 관절의 방향별 각도 및 각속도, 압력중심위치의 이동변위와 선속도를 산출하였다.
  • 본 연구는 양궁 슈팅 시 세 가지 점수 수준에 따른 인체 움직임의 차이를 판별하고, 고득점에서 나타나는 동작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실시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상지 분절의 중심이동 변위와 관절의 방향별 각도 및 각속도, 압력중심위치의 이동변위와 선속도를 측정하여 득점요인의 특징을 찾고자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양궁 점수에 따라 슈팅 동작 시 양발의 균형성과 상지 각 관절의 움직임과 각속도의 차이를 분석하고 고득점을 획득하기 위한 방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양궁 슈팅 동작에서 점수에 따른 양발의 균형성과 상지의 분절 및 관절의 움직임과 각속도의 차이를 분석하고 고득점을 획득하기 위한 전략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2가지 연구문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화살의 오차범위를 줄이기 위해 제어가 필요한 요인은 무엇인가? 이것은 양궁에서 화살의 오차범위가 슈팅 순간의 작은 오차나 흔들림에도 큰 영향을 받으며, 화살의 비행거리가 멀어질수록 크게 나타나는 특성으로 인하여 슈팅 순간의 움직임이 기록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2]. 반복적인 움직임이 나타나는 양궁의 슈팅동작은 일관성과 안정성이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화살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하여 적절한 힘의 배분과 자세의 균형, 안정된 호흡 등이 필요하고 이러한 요인들의 조화는 경기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3,4]. 이렇듯 양궁은 선수 개인의 신체적, 정신적 요인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으며, 주변 환경에서 오는 다양한 변수에도 민감하게 반응하여 경기의 흐름이 바뀔 수 있는 까다로운 종목이라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J. S. Kim & J. S. Baek. (2013). Life and Physical Activity of Korea Archery Frontier Seok, Bong-geun.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51(1), 11-23. 

  2. J. P. Kim. (2000). The Correlation of the Physical Stability and the Performance of Archers in Non-shooting and Shooting. Korean Journal of Sports Biomechanics, 10(1), 133-147. 

  3. J. H. Kim. & H. Y. Kim. (2005). Kinematic Analysis on the Release Movement for Expert Archers.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action, 44(4), 415-424. 

  4. T. McGuine. (2006). Sports Injuries in High School Athletes: a Review of Injury-risk and Injury-prevention Research. Clinical journal of sport medicine, 16(6), 488-499. DOI: 10.1097/01.jsm.0000248848.62368.43. 

  5. J. H. Kim. K. C. Kim. & H. S. An (2015). Comparisons between Expert and Non-expert Players' Balance in Compound Bow of Archery. Sport Science, 33(1), 11-18. 

  6. C. S. Ha. M. H. Shin. & B. G. Kim. (2006). Analysis of Ground Reaction Force Set Up to Shooting Position for Improve Performance Archers. Korean Journal of Sports Science, 15(1), 817-828. 

  7. J. P. Kim. (2008). The Effect of Balance Exercise on Postural Control and Shooting Record in Archers. Korean Journal of Sports Biomechanics, 18(2), 65-74. DOI: 10.5103/KJSB.2008.18.2.065. 

  8. J. H. Kim. (2010). Evaluation on Kinematic Factors of the Upper Limbs during Throwing in Archery. Korean Journal of Sports Science, 19(3), 1391-1398. 

  9. J. H. Yi. C. K. Hah. J. S. Ryu. & K. C. Kim. (2007). Evaluation on Motion Features of the World's Second Archer during Back-Tension in Archery. Korean Journal of Sports Biomechanics, 17(3), 197-207. DOI: 10.5103/KJSB.2007.17.3.197. 

  10. H. S. An. & J. S. Ryu. (2017). Influence of Kinematic Factors for the Upper Limbs Affect Record during Extending in Archery. The Korea Journal of Sport, 15(3), 817-826. 

  11. C. K. Hah. & J. H. Yi. (2008). Evaluation on Kinematic Factors Affecting Scores of Olympic Round Game during the Follow Through in Archery. Korean Journal of Sports Biomechanics, 18(1), 227-234. DOI: 10.5103/KJSB.2008.18.1.227. 

  12. H. Shinohara. & Y. Urabe. (2017). Analysis of Muscular Activity in Archery: a Comparison of Skill Level. The Journal of Sports Medicine and Physical Fitness. DOI: 10.23736/S0022-4707.17.07826-4. 

  13. B. W. Kooi. (1998). Bow-arrow Interaction in Archery. Journal of Sports Sciences, 16(8), 721-731. DOI: 10.1080/026404198366353. 

  14. J. Stuart. & J. Atha. (1990). Postural Consistency in Skilled Archers. Journal of Sports Sciences, 8(3), 223-234. DOI: 10.1080/02640419008732148. 

  15. Korea Archery Association. (2018). Archery Introduction: The rule of archery: Techniques: Basic posture. Korea Archery Association(Online). https://www.archery.or.kr/archer/archer/technique/posture.do. 

  16. J. S. Ryu. (2010). Effects of Quiet Standing and Walking with High-heeled Shoe on the Balance. Korean Journal of Sport Biomechanics, 20(4), 479-486. DOI: 10.5103/KJSB.2010.20.4.479. 

  17. J. S. Ryu. S. H. Yoo. S. K. Park. & S. H. Yoon. (2012). Comparisons between Skilled and Less-skilled Players' Balance in Hakdariseogi. Korean Journal of Sport Biomechanics, 22(1), 55-63. DOI: 10.5103/KJSB.2012.22.1.055. 

  18. S. H. Yoo. & J. S. Ryu. (2012). Comparison between the Balance of Skilled and Less-Skilled Players during Successful and Failed Front Kick and Turning Side Kick Motions. Korean Journal of Sport Biomechanics, 22(3), 285-293. DOI: 10.5103/KJSB.2012.22.3.285. 

  19. R. J. Doyle. E. T. Hsiao-Wechsler. B. G. Ragan. & K. S. Rosengren. (2007). Generalizability of Center of Pressure Measures of Quiet Standing. Gait & Posture, 25(2), 166-171. DOI: 10.1016/j.gaitpost.2006.03.004. 

  20. L. Rocchi. L. Chiari. & A. Cappello. (2004). Feature Selection of Stabilometric Parameters Based on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Medical and Biological Engineering and Computing, 42(1), 71-79. 

  21. N. Tanaka. A. Ishikawa. M. Yoshihira. & K. Hase. (2007). Relationship between Leg Muscle Activities and Medial-lateral Balance in Tandem Stance. Clinical Neurophysiology, 118(9), e198. DOI: 10.1016/j.clinph.2007.05.045. 

  22. D. A. Winter. F. Prince. J. S. Frank, C. Powell. & K. F. Zabjek. (1996). Unified Theory Regarding A/P and M/L Balance in Qquiet Stance. Journal of Neurophysiology, 75(6), 2334-2343. DOI: 10.1152/jn.1996.75.6.2334. 

  23. H. Ertan. B. Kentel. S. T. Tumer. & F. Korkusuz. (2003). Activation Patterns in Forearm Muscles during Archery Shooting. Human Movement Science, 22(1), 37-45. DOI: 10.1016/S0167-9457(02)00176-8. 

  24. H. Ertan. A. R. Soylu. & F. Korkusuz. (2005). Quantific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FITA Scores and EMG Skill Indexes in Archery. Journal of Electromyography and Kinesiology, 15(2), 222-227. DOI: 10.1016/j.jelekin.2004.08.004. 

  25. A. R. Soylu. H. Ertan. & F. Korkusuz. (2006). Archery Performance Level and Repeatability of Event-related EMG. Human Movement Science, 25(6), 767-774. DOI: 10.1016/j.humov.2006.05.002. 

  26. S. N. Nam. & S. W. Park. (2014). The Effect of EEG and Physiological Changes to Participation in Progressive Relaxation Technique of The University Archery Player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1), 467-473. DOI: 10.14400/JDPM.2014.12.1.467. 

  27. S. W. Yun. & J. H. Kang. (2017). Effects of Scapular Dynamic Stabilization Exercise Applying EMG Biofeedback on Upper Trapezius, Pectoralis Major and Serratus Anterior Activities.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8(2), 61-65. DOI: 10.22156/CS4SMB.2017.7.4.15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