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령자 정보접근성 향상을 위한 스마트 공공서비스 지표
The Improvement Index of Smart Public Services to Advance Information Accessibility for the Elderly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5, 2018년, pp.43 - 53  

김미연 (서울디지털대학교 디자인학부 생활환경디자인전공) ,  변성준 (세종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개방된 공공 데이터를 기반으로 안전, 노령화, 재난재해, 복지, 주택, 경제, 도시환경, 교통 등 삶의 질 향상 및 생활지원을 위한 공공서비스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네트워크 확산과 일상생활의 필수품인 스마트폰은 공공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 역할을 하고 있다. 과학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수명은 늘어나고 여러 사회적 여건 변화와 저출산 고령화 문제로 고령계층이 비대해지는 사회구조로 변화되고 있다. 그러나 정보접근이 쉽지 않은 노약자는 모바일폰을 통해 제공되는 공공서비스의 접근성과 활용도가 매우 낮고 휴대기기를 다루는데 미숙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고령층의 상태조건을 재분류하고 고령자를 위해 제공되는 사례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파악한다. 또한 기존 인터페이스 설계의 핵심항목 위계를 정리하여 노인 정보접근성 향상을 위한 공공서비스 설계의 개선지표를 도출하고 모바일 기기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public service for the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and life support such as safety, aging, disaster, welfare, housing, economy, urban environment, traffic etc are actively developed based on open public data, and the spread of the network and the necessity of everyday life, smartphone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그 동안 등안시 되었던 정보취약계층인 고령자의 정보접근이 보장되어야 한다는 필요성과 함께 최근 가속화되는 고령화 현상으로 확대되는 노년범위를 하나의 시민계층으로 보고, 스마트 사회 진입에 따라 스마트폰이라는 모바일 기기의 플랫폼을 이용하는 고령자들에게 스마트 공공서비스의 활용과 혜택범위를 넓히고자한다. 궁극적으로는 공공서비스 이용성을 높여 의료, 복지, 여가 생활 서비스 등의 지원으로 고령자 삶의 질 향상은 물론 은퇴 후 적극적인 사회활동 참여를 유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고령계층의 노동력과 경험으로 쌓인 노하우를 적극 사회에 환원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그 동안 등안시 되었던 정보취약계층인 고령자의 정보접근이 보장되어야 한다는 필요성과 함께 최근 가속화되는 고령화 현상으로 확대되는 노년범위를 하나의 시민계층으로 보고, 스마트 사회 진입에 따라 스마트폰이라는 모바일 기기의 플랫폼을 이용하는 고령자들에게 스마트 공공서비스의 활용과 혜택범위를 넓히고자한다. 궁극적으로는 공공서비스 이용성을 높여 의료, 복지, 여가 생활 서비스 등의 지원으로 고령자 삶의 질 향상은 물론 은퇴 후 적극적인 사회활동 참여를 유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와의 차별화된 방안으로 고령자의 신체적, 정신적 능력을 고려하여 설계할 수 있는 정보접근성 지표를 제안하고자 한다.
  • 궁극적으로는 공공서비스 이용성을 높여 의료, 복지, 여가 생활 서비스 등의 지원으로 고령자 삶의 질 향상은 물론 은퇴 후 적극적인 사회활동 참여를 유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고령계층의 노동력과 경험으로 쌓인 노하우를 적극 사회에 환원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한다. 본 연구의 방법은 고령자의 정보화 현황과 신체능력, 인지능력을 고려하고 기존에 제공되는 노인계층을 위한 공공서비스 사례 분석을 통하여 ‘고령자 정보접근성 향상을 위한 공공서비스 개선 지표’를 제시한다.
  • 첫째, 인지적 요소의 경우 정보를 정확히 이해할 수 있는가의 문제로 고령자들이 쉽게 알아볼 수 있는 정보의 형태와 텍스트가 적절히 조합되었는지를 고려한다. 또한 정보를 얻기 위해 매체를 사용하는 반응속도, 즉 매체를 즉시적으로 작동할 수 있게 결정하는 부분으로 그에 적합하게 인터페이스가 구성되어있는가를 고려해 본다.
  • 향후 후속 연구를 통하여 고령자나 장애인의 정보활용능력정도에 따른 단계적 설계가이드라 인을 구축하고, 인지적, 신체적, 물리적 작용에 대한 구체 적인 현상범위와 오류 개선체계에 대해 파악하고자한다. 또한 제시한 정보접근성 향상을 위한 개선지표 항목에 따른 정량적인 범위와 세부사항을 정의하여 보다 실질적인 서비스 설계를 통한 공공서비스 이용 활성화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본 연구방법은 스마트 기기를 통해 제공되는 노인을 위한 공공서비스를 대상으로 하며, 디지털 기기에 익숙한 기성세대가 아닌 65세에 이상 고령자를 대상으로 이들의 신체적 상황이나 인지 문제로 발생할 수 있는 정보접근성 문제에 대한 특성을 파악한다. 현재 많은 분야에서 정보격차를 줄이기 위한 정보접근성의 향상 방안에 대해 논의되고 있는데,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기본적인 일상생활을 위해 고령자들이 모바일기기를 통해 이용하는 스마트 공공 서비스의 설계지표를 설정하고, 서비스 설계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방법은 스마트 기기를 통해 제공되는 노인을 위한 공공서비스를 대상으로 하며, 디지털 기기에 익숙한 기성세대가 아닌 65세에 이상 고령자를 대상으로 이들의 신체적 상황이나 인지 문제로 발생할 수 있는 정보접근성 문제에 대한 특성을 파악한다. 현재 많은 분야에서 정보격차를 줄이기 위한 정보접근성의 향상 방안에 대해 논의되고 있는데,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기본적인 일상생활을 위해 고령자들이 모바일기기를 통해 이용하는 스마트 공공 서비스의 설계지표를 설정하고, 서비스 설계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마트폰의 상용화가 확산됨에따라 변화된 환경은 어떠한가? 전 세계적으로 스마트폰의 상용화가 확산되고 이로 인해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던 정보 습득의 장벽이 무너지고 있으며, 다양한 생활지원서비스가 모바일폰을 통하여 제공되고 있다. 이런 환경에서 청장년층은 익숙한 네트워크와 컴퓨팅 환경에 대한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스마트폰을 쉽게 받아들이는 반면, 정보소외계층의 경우 스마트폰 사용에 소극적일 수밖에 없고, 정보접근이 어려워 정보격차1) 가 더욱 가중되어 사회·문화적 빈곤으로 이어지고 있다[1].
스마트폰의 상용화가 확산됨에 따라 정보소외계층은 어떤 문제를 겪고 있는가? 전 세계적으로 스마트폰의 상용화가 확산되고 이로 인해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던 정보 습득의 장벽이 무너지고 있으며, 다양한 생활지원서비스가 모바일폰을 통하여 제공되고 있다. 이런 환경에서 청장년층은 익숙한 네트워크와 컴퓨팅 환경에 대한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스마트폰을 쉽게 받아들이는 반면, 정보소외계층의 경우 스마트폰 사용에 소극적일 수밖에 없고, 정보접근이 어려워 정보격차1) 가 더욱 가중되어 사회·문화적 빈곤으로 이어지고 있다[1]. 특히 현대사회는 소득증대와 생활개선, 보건의료수준 향상 등에 따른 고령화 현상의 심화로 인해 인구 전체의 고령화뿐만 아니라 노동력의 고령화, 고령자의 고령화에 따른 사회경제적 문제가 심각해질 것으로 우려된다[2].
고령층이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제공받고 있는 공공서비스는 어떻게 나눌 수 있는가? 고령층이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제공받고 있는 공공서비스는 크게 두 가지 종류로 구분되는데, 하나는 고령층이 서비스를 직접 사용하는 것이 아니고 모바일 기기의 위치정보를 통해 제3자가 고령자의 정보를 알 수 있는 것이고 또 하나는 본인이 직접 사용하여 생활의 질을 높여주는 서비스로 나뉜다. 후자의 경우 고령층 본인이 직접 사용하는 공공서비스는 대개 의료, 복지, 건강, 커뮤니티, 일자리 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해주며, 고령자 삶의 질을 높이는데 직접적으로 기여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S. H. Chung & W. T. Kim. (2014). A Study on Improvement of Smart-phone Use for Senior: Improvement plans in perspectives of bodily perception and understanding of terms, Concepts and technologies, Society of Design Convergence, 13(2), 277-295. 

  2. K. C. Jang. (2016). Economic impact of low fertility and aging, Weekly KDB Report, Korea Development Bank, 1-11. 

  3. M. R. Kim, T. W. Kim & J. H. Kim. (2009).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Intention of Silver Generation to Use Internet,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nternet Information, 10(1), 145-158. 

  4. S. T. Kim. (2017), Eliminate Information Access Barriers for the Disabled and Elderly,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Press releases, 19 January. 

  5. Y. Y. Yoon & Y, L. Kim. (2016), Elderly statistics, Statistic Korea, 13-18. 

  6. C. Y. Song. (2016), Information accessibility is 'corporate responsibility, not social responsibility': Minister of ICT and Future Planning, 2015 Information Accessibility Survey, Announcement of Results, MSIP Press Releases, 16, February. 

  7. Y. O. Yoon & S. Y. Kim. (2015), Population and Prospects of the World and Korea, Statistic Korea, 1-16. 

  8. J. H. Shin. (2015), Media use of retirement age, KISDI STAT REPORT, 15-05. 

  9. 2012-2016 Investigate Smartphone Usage and Smart Watch. (2016). KISDI Stat Report 15-05, Hankook Cal-Lab, 20 July. 

  10. T, Phiriyapokanon. (2011). Is a big button interface enough for elderly users?: Towards user interface guidelines for elderly users, Master's thesis of Malardalen university, 4-15. 

  11. M. Y. Kim, D. J. Seo, J. B. Byun & J. K. Kang. (2015), ICT-based Living in the Contact Type Service Model for Self-life Support of the Elderly Living Alone: ELA(The Elderly Living Alone) Service Model,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4), 25-38. 

  12. Y. R. Kim. (2014), Interior Coloring Plan for Space Ability Improvement of the General Welfare Institution of the Aged, Master's Thesis, Dongduk Women's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Design, p.10. 

  13. J. P. Berkowitz & S. P. Casali. (1990), Influence of age on the ability to hear telephone ringers of different spectral content, In Proceedings of the Human Factors Society Annual Meeting, 34(2), 132-136. 

  14. R. W. Huey, D. S. Buckley & N. D. Lerner, (1996). Audible performance of smoke alarm sounds,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rgonomics, 18(1), 61-69. 

  15. A. Badre. (2002), Shaping Web usability: interaction design in context, Addison-Wesley Professional. 

  16. W. W. Huh & J. E. Kim. (2011), A Study of Smartphone UI Design Guideline for the Elderly, Info design Issue 29, Society of Design Convergence, 3-14. 

  17. Fontrillo(accessed Aug., 24, 2017), http://www.fontrillo.com/ 

  18. Big Launcher(accessed Aug., 24, 2017), http://biglauncher.com/ko/ 

  19. ANDRIOD SCREEN READER(accessed Nov., 29, 2017), http://codefactoryglobal.com/app-store/mobile-accessibility/ 

  20. H. J. Kyun. (2017), Home screen for elderly children customized smartphone comes out, Yonhap News Agency, http://www.yonhapnews.co.kr/it/2013/09/14/2405000000AKR20130914036300017.HTML(accessed Sept, 15, 2017) 

  21. H. S. Choi. (2013), Smart-phone for the elderly, this is not it, http://www.bloter.net/archives/164593(accessed Nov., 29, 2017) 

  22. H. Y. Kim. (2013), Handicapped Persons and Internet: Comparing Web Accessibility Evaluation Tool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1(10), 373-378. 

  23. Web accessibility compliance, the beginning of a world without discrimination, Korea Web Accessibility Evaluation Center(2012), http://www.ablenews.co.kr/CampaignAd/KwaccSilwel/Index.aspx?PageNo1&Seq20(accessed Nov., 29, 2017) 

  24. Understanding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vironment, Web Soul Lab(accessed Nov., 29, 2017), http://www.websoul.co.kr/accessibility/define.asp 

  25. J. H. Hyun & S, I. Kim. (2006), The Actual Situation and Improvement about Web Accessibility of Domestic and Overseas Administrative Agencies, KADO Issue Report, Korea Agency for Digital Opportunity and Promotion, 3(7), 11-16. 

  26. K. S. Kang. (2006), Status and Tasks of Welfare Information Accessibility, Welfare Column, https://www.bokjiro.go.kr/nwel/welfareinfo/livwelnews/news/retireveExpertDetail.do?srchListType305&searchWrd&srchKeyCode&pageUnit10&pageIndex45&dataSid121318(accessed Aug., 2, 2017) 

  27. J. I. Song. et al. (2016). Mobile application content accessibility guidelines 2.0, KS X 3253: 2016, KCS(Korea Communications Standard)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