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명화차용 인터랙티브 광고와 인쇄광고가 개인의 조절초점 성향에 따른 기억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rt Infusion Interactive and Print Advertising on the Memory and Attitude According to the Reguratory Focu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5, 2018년, pp.455 - 461  

김민관 (중앙대학교 대학원 사진학과) ,  한광석 (남서울대학교 광고홍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명화 차용 광고의 유형(인터렉티브형/ 인쇄광고형)과 조절초점(촉진초점/ 예방초점) 간에 기억 효과와 광고태도 효과를 싱험을 통해규명하였다. $2{\times}2$ 피험자간 요인설계를 하여 Two Way MANOVA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명화 차용 광고 실험물은 '빈센트 반 고흐'의 '자화상'을 변형하여 조작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촉진초점 소비자들은 명화 차용 인터렉티브 광고를 인쇄광고보다 광고 관련 정보를 많이 기억하였으며, 광고 태도 역시 촉진초점 소비자들은 예방초점 소비자들과 비교하여 인터렉티브 광고를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예방초점 소비자들은 촉진초점 소비자들과 반대로 명화차용 인쇄광고를 인터렉티브 광고보다 제품 관련 정보를 회상하는 경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에 명화차용 광고를 기존 인쇄 광고나 방송 광고에서 확장하여 IT 기술과 접목한 인터렉티브 형태로 제작하여 흥미를 유발하여 기억과 태도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는 디지털 미디어를 통한 접근이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명화차용 광고를 인쇄 뿐 아니라 인터렉티브 미디어로 확장하여 실증적으로 연구되었다. 그러나 향후 연구에서는 명화광고의 유형을 다양화하여 실험을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the differences in advertising-related memory and product-related memory effects and ad attitudes between art infusion(interactive/ print advertising) and reguratory focus (promotion focus / prevention focus). Two - way MANOVA analysis was used for the factor analysi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먼저, 제품 특성(실용재/쾌락재)에 따른 명화 차용 광고 효과 연구이다. 실용재의 경우 소비자의 명화에 대한 긍정적인 연상이 명화 차용 제품에 전이되는 후광효과가 발현되지 않는 한편, 쾌락재는 그 효과가 극대화되는 것을 검증했다[7].
  • 본 연구는 명화 차용 광고의 유형(인터렉티브형/ 인쇄 광고형)과 조절초점(촉진초점/ 예방초점) 간에 광고 관련 기억과 제품 관련 기억 효과 차이와 광고 태도의 차이가 어떻게 차별적으로 나타나는지를 실증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에 2X2 피험자 간 요인설계를 하여 Two Way MANOVA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 본 연구는 명화차용 광고의 인터렉티브 광고와 인쇄 광고의 두 유형으로 구분하고 소비자들의 조절 초점 성향에 따라 명화차용 광고에서 제시되는 제품 관련 정보와 광고 관련 정보에 따라 어떠한 정보를 기억하여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명화차용 광고의 매체 확대 가능성과 커뮤니케이션 전략 수립의 기초를 수립하는데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이러한 관점에서 최근 마케팅과 커뮤니케이션 분야에서 가장 활발히 연구되는 조절 변인인 조절초점(regulatory focus)'에 주목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최근 마케팅 영역에서 빈번하게 사용되는 명화차용 광고의 효과를 인터렉티브 유형과 인쇄 광고 유형으로 구분하고 소비자들의 동기와 관련된 조절 초점 (촉진초점, 예방초점) 성향에 따라 기억과 태도에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실증적으로 살펴본 연구이다. 특히 기억 효과의 경우 단순히 전반적인 회상의 기억 효과가 아닌 제품 관련 기억 효과와 광고 관련 기억 효과를 구분 하여 명화 차용 광고의 효과를 보다 세부적으로 살펴보았다.
  • 본 연구는 명화차용 광고의 인터렉티브 광고와 인쇄 광고의 두 유형으로 구분하고 소비자들의 조절 초점 성향에 따라 명화차용 광고에서 제시되는 제품 관련 정보와 광고 관련 정보에 따라 어떠한 정보를 기억하여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명화차용 광고의 매체 확대 가능성과 커뮤니케이션 전략 수립의 기초를 수립하는데 목적이 있다.

가설 설정

  • H 1: 촉진초점 소비자들은 예방초점 소비자들과 비교 하여 광고 관련 회상이 높고 명화차용 인터렉티브 광고가 인쇄광고에 비해 광고 관련 정보를 더 많이 회상할 것이다.
  • H 2: 예방초점 소비자들은 촉진초점 소비자들과 비교 하여 제품 관련 회상이 높고 명화차용 인쇄 광고가 인터렉티브 광고에 비해 제품 관련 정보를 더 많이 회상할 것이다.
  • H 3: 촉진초점 소비자들은 예방초점 소비자들에 비해 명화차용 인터렉티브 광고에 대한 태도가 긍정 적으로 나타날 것이다.
  • H 4: 예방초점 소비자들은 촉진초점 소비자들에 비해 명화차용 인쇄 광고 태도가 긍정적으로 나타날 것이다.
  • 가설 1은 촉진초점 소비자들은 예방초점 소비자들과 비교하여 광고 관련 회상이 높고 명화차용 인터렉티브 광고가 인쇄광고에 비해 광고 관련 정보를 더 많이 회상할 것으로 예상하였다. 가설 검증 결과 광고 관련 회상은 촉진초점(M=4.
  • 가설 2는 예방초점 소비자들은 촉진초점 소비자들과 비교하여 제품 관련 회상이 높고 명화차용 인쇄 광고가 인터렉티브 광고에 비해 제품 관련 정보를 더 많이 회상할 것으로 예상하였다. 가설 검증 결과 제품 관련 회상은 촉진초점(M=4.
  • 가설 3은 촉진초점 소비자들은 예방초점 소비자들에 비해 명화차용 인터렉티브 광고 태도가 긍정적으로 나타날 것으로 예상하였다. 명화차용 인터렉티브 광고 태도는 촉진초점(M=6.
  • 가설 4는 예방초점 소비자들은 촉진초점 소비자들에 비해 명화차용 인쇄 광고 태도가 긍정적으로 나타날 것으로 예상하였다. 가설 검증 결과 광고태도의 경우 가설과 반대로 촉진초점(M=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터랙티브 광고의 특징은 무엇인가? 인터랙티브 광고는 소비자와 생산자간의 상호작용이 가능한 형태로 상품 및 서비스에 관한 표현물과 프로모션을 볼 수 있으며, 소비자가 능동적으로 광고정보의 탐색여부를 통제할 수 있는 특징을 갖고 있다[12]. 일반적으로 인터랙티브 광고는 소비자가 광고에 참여함으로써 광고 메시지의 파급력은 전통적인 일방향의 광고보다는 인상적이고 더 효과적인 것으로 간주되고 있다.
촉진초점 소비자와 예방초점 소비자는 어떤 차이점을 보이는가? 조절초점 이론에 따르면 소비자들은 어떤 행동을 하기에 앞서 특정 동기에 초점을 맞추려는 경향이 있으며 이러 한 개인의 성향 조절에 대한 초점은 촉진초점(promotion focus)과 예방초점(prevention focus)으로 구분된다고 하였다[4,5]. 촉진초점 소비자들은 목표를 추구하는 데 있어 긍정적 결과에 초점을 두고 기대하고 행동을 하지만 예방초점 소비자들은 부정적 결과에 초점을 두고 이를 회피하거나 예방하는 데 목적을 두고 행동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방초점 소비자들은 명화차용 인쇄광고를 인터렉티브 광고보다 제품 관련 정보를 회상하는 경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난 이유는 무엇인가? 그러나 광고태도는 반대로 촉진초점 소비자들에게서 긍정적인 태도가 형성되었으나 예방초점 소비자들의 광고태도는 부정적으로 형성되었다. 이는 예방초점 소비자들은 ‘안 전’이라는 목표 상태를 추구하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하거나 제품 선택에 있어서도 본인의 목표와 불일치하는 상태를 회피하고자 신중한 태도를 보이기 때문이다. 즉, 인터렉티브 광고는 흥미를 주는 경험을 제공하지만 제품 을 구매하는 데 있어 단순한 호기심이 아닌 제품 관련 정보를 습득하여 자신에게 필요한 정보만을 선택적으로 추구하는 경향이 높기 때문이다. 이에 즉시적이고 흥미 위주의 인터렉티브 광고보다는 제품 관련 속성 정보를 세밀하게 파악하여 선택적으로 지각할 수 있는 명화 차용 인쇄 광고에 기억 효과가 높게 나타났기 때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Y. S. Sung & Y. Ryoo. (2014). Art Infusion Effect in Product Design: The Roles of Art Popularity and Art Image. The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15(4), 601-629. 

  2. J. Storey. (1999). Cultural Consumption and Everyday Life. Oxford University Press. 

  3. J. E. Koo. (2017). TheInfluence of Visual Art on IntertemporalChoices.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28(4), 73-93. 

  4. E. T. Higgins. (1998). Promotion and Prevention: Regulatory Focus as a Motivational Principle. M. Zanna(ed.).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Vol. 30. NY: Academic Press. 

  5. E. T. Higgins. (1998). How Self-Regulation Creates Distinct Values: The Case of Promotion and Prevention Decision Making. Journal of Consumer Psychology, 12(3), 177-191. 

  6. H. Hagtvedt & R. H. Tukachinsky. (2005). The Use of Fine Art in Advertising: A Survey of Creatives and Content Analysis of Advertisements. Journal of Current Issues and Research in Advertising, 27(1), 93-107. 

  7. Y. S. Cheon & J. W. Jun. (2011). Halo Effects of Visual Art Advertising. The Korean Journal of Avertising, 22(1), 7-27. 

  8. D. M. Joo. (2009).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Marketing Advertising and Consumer Response. Doctoral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Seoul. 

  9. J. H. Kim. (2009). The Effect of the Ad with Art Image on the Consumers' Response. Journal of Public Relations, 13(1), 97-122. 

  10. I. L. Shin & S. W. Shim. (2011). The Study on Interactive Outdoor Advertising Acceptance Digital Signage Stikus Wall Case.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13(4), 391-432. 

  11. S. H. Lee. (2017). Influence of Traditional Media and New Media Communication on Lovemarks, Satisfaction and Behavior Intention of Foodservice Industr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80(1), 221-231. 

  12. S. H. Park. (2000). A Study on Internet Advertisement and Ad Usage Orientation. Journal of Korean Advertising, 48, 23-37. 

  13. A. Chernev. (2004). Goal-attitude Compatibility in Consumer Choice. Journal of Consumer Psychology, 14(1), 141-150. 

  14. B. T. Kim & J. M. Kim. (2003). A Study on the Online Advertising Effectiveness of a Product Fit, an Involvement toward the Website and a Click Act. Journal of Marketing Management Research, 8(3), 55-81. 

  15. S. H. Lee & J. Y. Tag. (2006).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 of Interactive TV Advertisement: Focusing on the Influence of Interaction Behavior and Results Variables.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71, 177-196. 

  16. D. H. Han & B. S. Park. (2010). The Acceptance and Effect of Interactive TV Advertising. Advertising Research, 6, 133-156. 

  17. E. Higgins & Tory. (1998). Promotion and Prevention: Regulatory Focus as a Motivational Principle.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30, 1-46. 

  18. E. T. Higgins & O. Tykocinski. (1992). Self-Discrepancies and Biographical Memory: Personality and Cognition at the Level of Psychological Situation. Personality & Social Psychology Bulletin, 18, 527-535. 

  19. N. Liberman & L. C. Molden, E. T. Higgins. (2001). Promotional and Prevention Focus on Alternative Hypothesis: Implications for Attributional Func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0(1), 5-18. 

  20. P. Lockwood. (2001). Could it happen to you? Predicting the impact of downward comparisons on the self.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2, 343-58. 

  21. B. J. Chun & J. M. Kim. (2017). A Study on the Viewing Attitude and Intention for Perceived Usefulness and Ease of use of Terrestrial UHD Broadcasting - Center for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ETAM.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80(1), 413-424. 

  22. H. J. Jang&G. Y. Noh. (2017). ExtendedTechnologyAcceptance Model of VR Head-Mounted Display in Early Stage of Diffus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5), 353-36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