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4차 산업혁명이 스마트 제조 역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on the Capability of Smart Manufacturing 원문보기

정보처리학회논문지. KIPS transactions on computer and communication systems 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v.7 no.5, 2018년, pp.111 - 118  

오원근 (동국대학교 경영정보학과) ,  김인재 (동국대학교 경영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4차 산업혁명이 미치는 제조업에 대한 영향은 국가별로 자국의 제조 경쟁력을 확보 또는 강화하려는 정책적 노력으로 확산되고 있다. 제조업에 대한 강화 정책은 필연적으로 스마트 제조에 대한 인력을 육성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한 스마트 제조 인력 육성을 목적으로 한 지식 영역 중에서 제품개발 전반적인 지식영역을 포괄하고 있는 제품수명주기 지식역량을 키우기 위한 교육커리큘럼에 대한 전문가들의 인식 차이를 살펴보았다. 전문가들은 현재 제품수명주기 지식의 교육커리큘럼에 대한 보완 필요성을 인지하였고, 디지털개발 및 생산, 신제품개발 영역에 대해서 향후 변화가 예상되고 중요하다고 인지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전문가 조사를 통해서 얻어진 제품수명주기 지식역량에 대한 인식 차이에서 향후 교육커리큘럼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ffect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on manufacturing are spreading by policies to secure or strengthen the manufacturing competitiveness of each country. Strengthening policies on manufacturing necessitate nurturing manpower for smart manufacturing. This study examines the difference of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의 목적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제조업 인력이 가져야 할 스마트 제조 역량 중 제품수명주기 지식역량에 대한 교육 커리큘럼에 전문가의 인식 차이를 알아보는 것이다. 그 결과를 기초로 과거 대량생산 패러다임에 맞춰서 효율성을 강조한 획일적인 교육커리큘럼을 벗어나서 대량생산 패러다임의 효율성을 갖추면서 고객의 가치를 최우선으로 하는 효과성을 강화하는 스마트 제조 패러다임에 맞는 교육커리큘럼이 무엇인지 제고하였다[2, 3].
  • 국가 정책에 맞게 제조업의 경쟁력을 갖춰가는 것도 필요하겠지만, 그 근간이 될 스마트 제조인력에 대한 교육을 강화하여 향후 벌어질 인재전쟁에 대비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스마트 제조 인력을 위한 역량 중에서 제품 개발의 핵심이 되는 제품수명주기 역량에 대한 전문가들의 인식 차이를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서 현재 만들어진 교육커리큘럼에 대한 보완과 개선방향에 대한 힌트를 얻고 향후 교육커리큘럼 개발에 필요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했다.
  • 설문의 목적은 현재 4차 산업혁명 기반의 스마트 제조를 위한 제품수명주기 지식 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커리큘럼에 대한 전문가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는 것이다. 그 목적에 맞게 연구를 진행할 수 있도록 설문의 대상을 제품수명주기 관리에 대한 전문가를 공급자와 수요자로 나눠서 선정을 했다.
  •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스마트 제조 인력을 위한 역량 중에서 제품 개발의 핵심이 되는 제품수명주기 역량에 대한 전문가들의 인식 차이를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서 현재 만들어진 교육커리큘럼에 대한 보완과 개선방향에 대한 힌트를 얻고 향후 교육커리큘럼 개발에 필요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했다. 영향도, 중요도, 기대 현업적용도가 높게 평가된 디지털개발 및 생산, 신제품개발에 대해서는 향후 구성될 교육커리큘럼에서는 제품수명주기 지식영역과 관련된 기술 변화에 따라서 좀더 민감하게 구성되어야 하고, 교육커리큘럼 내에서의 비중 및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전문가 설문을 통해서 얻어진 결과를 통해서 현재 제품수명주기 지식역량에 대한 교육커리큘럼에 대한 시사점을 찾아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제조업 경쟁력 강화 정책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정보통신과 소프트웨어 기술로 인한 영역 별 고도화와 영역 간 경계가 허물어지는 비선형적인 융합 시대에 과거의 경험만으로 미래의 변화를 예측하기란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혁명이라고 불릴 만한 급격한 변화를 예고한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하여 세계 여러 국가들은 인더스트리 4.0, 스마트 제조, 스마트 팩토리, 제조업 혁신 3.0 전략 등 제조업 경쟁력 강화 정책을 펼치고 있으며, 이것은 독일, 미국, 일본과 같은 전통적인 제조업 강국과 중국과 같은 신흥 제조업 국가들이 제조업에 대한 미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필연적인 결과물이다[2, 3]. 그리고, 국가 정책에 맞춰서 그에 맞는 스마트 제조 인력을 갖춰야 하는 것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한 국가의 제조 경쟁력을 결정할 주요 요인이 된다[2, 3].
4차 산업혁명이 미치는 제조업에 대한 영향은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가? 4차 산업혁명이 미치는 제조업에 대한 영향은 국가별로 자국의 제조 경쟁력을 확보 또는 강화하려는 정책적 노력으로 확산되고 있다. 제조업에 대한 강화 정책은 필연적으로 스마트 제조에 대한 인력을 육성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M. Chung, "The Summary and Implications of 2015 World Economic Forum," HRI, 2016. 

  2. S. H. Baek, "Smart manufacturing to prepare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Proceedings of KIEE, 65, pp.44- 48, 2016. 

  3. D. H. Ahn, "Report on the development of a professional training program for smart factory operation," KAICA, 2016. 

  4. KM Plus Consulting, "Analysis of educational performance using the latest education and training evaluation model," 2012. 

  5. H. S. Cho and Y. H. Ryu, "PLM Knowledge," BB Media, 2008. 

  6. W. Liu, Y. Zeng, M. Maletz, and D. Brisson, "Product lifecycle management: a survey," Proceedings of the ASME 2009 International Design Engineering Technical Conference & Computers and Information in Engineering Conference, IDETC/CIE. San Diego, California, USA, 2009. 

  7. J. B. Kim, "An Empirical Study on the Success Factors of Implementing Product Life Cycle Management Systems," Journal of KIISE: Software and Applications, pp.909-918, 2010. 

  8. J. K. Song and J. D. Kim, "An Effect of PLM Implementation on Quality Management and Business Performance: Based on User Activity Cycle," Academic Society of Global Business Administration, Vol.14, pp.205-231, 2017. 

  9. F. Ameri and D. Dutta, "Product lifecycle management: closing the knowledge loops," Computer-Aided Design and Applications, Vol.2, No.5, pp.577-590, 2005. 

  10. W. Cheung and D. Schaefer, "Product lifecycle management: state-of-the-art and future perspectives," Enterprise Information Systems for Business Integration in SMEs: Technological, Organizational, and Social Dimensions, pp. 37-55, 2009. 

  11. M. Grieves, "Product Lifecycle Management: Driving the Next Generation of Lean Thinking," McGraw Hill Professional, 2009. 

  12. A. J. Gupta, "Digital Product Lifecycle Management - The impact of digital on product innovation and product development," Accenture, 2014. 

  13. H. B. Jeon, "PLM and Product Lifecycle Optimization," Korean Journal of Computational Design and Engineering, Vol.18, No.1, pp.17-20, 2012. 

  14. S. Wang, J. Wan, D. Li, and C. Zhang, "Implementing Smart Factory of Industry 4.0: An Outlook," International Journal of Distributed Sensor Networks, Vol.12, No.1, 2016. 

  15. Y. Cho, "The strategy for Smart Factory of Korea in the era of the Industry 4.0," Journal of Computing Science and Engineering, pp.40-48, 20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