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건설공사 시공 VE 제도 인식조사에 기반한 개선방안
Improvement Plan based on Awareness Investigation of Construction VE System in Domestic Construction 원문보기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19 no.3, 2018년, pp.79 - 88  

박진영 (경북대학교 토목공학과) ,  서호형 (경북대학교 토목공학과) ,  김병수

초록

건설사업 VE는 크게 설계단계 VE와 시공단계 VE로 분류되며, 적용 시기가 빠를수록 그 효과가 향상된다. 이에 따라 설계단계 VE가 2000년에 법제화되어 활발하게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설계 VE 제도와 상호보완적일 수 있는 시공 VE의 활성화가 절실하다. 그동안 시공 VE 제도의 필요성, 기술개발보상제도의 개선, 시공 VE의 구체적인 실천방안 등을 제시하여 시공 VE의 활성화를 위해 많이 노력하였지만, 관련 법 규정의 미비로 인하여 효과적이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국내 현실을 인식하고 시공 VE의 활성화를 위해 국내외 시공 VE 제도를 비교 및 분석하고, 건설산업 각 분야 전문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국내 건설산업에 적합한 시공 VE 제도의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nstruction business VE is classified into design stage VE and construction stage VE. The faster the application, the better the effect. Therefore, the design stage VE was legislated in 2000 and actively applied. However, it is urgent to activate the construction VE, which is complementary to the 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시공 VE 문헌고찰, 국내외 시공VE 유사제도 분석 및 시공 VE 제도의 세부항목에 대하여 국내 건설 산업 각주체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 후 국내 건설 환경에 적합한 시공 VE 제도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 본 연구는 이러한 국내 현실을 인식하고 시공 VE의 활성화를 위해 국내외 시공 VE 제도를 비교 및 분석하고, 건설산업각 분야 전문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국내 건설산업에 적합한 시공 VE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범위는 건설 VE 중에서 시공단계에서의 VE 제도를 대상으로 하며 국내 시공 VE 유사제도 및 국외 시공 VE 관련 제도를 고찰하고 국내 시공 VE 제도의 문제점 분석과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으로 한다.
  • 예산성과금제도는 기관 및 부서가 비효율적 예산관행을 줄이거나 없애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현행 예산성과금제도는 개인의 인센티브를 위하여 자기 부서의 예산이 방만하게 운영되어 왔다는 것을 공표하는 것으로 인식되어 사회적으로 부정적으로 비추어 질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가설 설정

  • 네 번째, 기존 제도의 매뉴얼화가 필요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VE란 무엇인가? VE (Value Engineering)는 일정한 품질을 확보하면서, 최소의 비용으로 필요한 기능을 확보하기 위하여 행해지는 체계적인 노력이다(KDI, 2000). 국토교통부는 2000년 건설기 술진흥법 시행령 제75조에 ‘설계의 경제성 등 검토’조항을 삽입하여 설계단계부터 예산을 절감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미국과 일본에서 VE제도를 시행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국토교통부는 2000년 건설기 술진흥법 시행령 제75조에 ‘설계의 경제성 등 검토’조항을 삽입하여 설계단계부터 예산을 절감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또한, 미국 및 일본 등에서도 예산절감 효과를 거두기 위하여 VE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법제화된 설계 VE 제도와 상호보완적일 수 있는 시공 VE의 활성화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건설사업 VE는 크게 설계단계 VE와 시공단계 VE로 분류 되며, 적용 시기가 빠를수록 그 효과가 향상된다. 따라서 시공단계보다 설계단계에 적용하는 것이 원가절감과 품질향상에 매우 유리하다. 그러나 설계단계 VE는 설계 업무의 진행에 따라 단계별로 VE가 병행되어야 하지만 현실적으로 시간 적인 제약으로 인해 VE가 제대로 수행되지 못하고 있어 VE 의 적용 효과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미 법제화된 설계 VE 제도와 상호보완적일 수 있는 시공 VE의 활성화가 절실하다고 볼 수 있다(Lee (b),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Baek, I. C. (2002). "A Study on Consciousness and Survey on Construction VE." Proceeding of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3(6), pp. 1880-1883. 

  2. Construction Economy Research Institute of Korea (CERIK) (2003). Improvement of construction VE system to improve productivity of construction work, Research Report. 

  3. Copperman, William H. (1992). "Cost allowablity of using development dollars for value engineering change proposals (VECP's)" SAVE International Conference Proceedings, SAVE, pp. 13-15. 

  4. Gunther, S., and Ramsey, N. (2004). "Managing obsolescence: value engineering change proposal proves its worth." DEFENSE AT AND L, Defense Acquisition University, pp. 40-41. 

  5. Jung, S. B. (2008). "A study on the cooperative relationship for achieving VE in construction phase." Master Thesis, Hanyang University. 

  6. Kang, M. S. (2013). "A study on the construction management type construction VE for cost reduction." Master Thesis, Hanyang University. 

  7. Keom, J. D. (2010). "A review of the budget rebate system."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Local Government Studies, 22(1), pp. 51-71. 

  8. Kim, C. J. (2013). "A study on VE improvement plan of apartment house construction phase, Master's Thesis." Jeon-Nam University. 

  9. Kim, J. D. (2003). "Strategies and analytical for applied to construction VE in public sector."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10. Kim, S. Y., Lee, Y. L., and Yang, J. G. (2015). "How to evaluate alternatives by construction VE in construction work using GFI."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KICEM, 16(3), pp. 3-10. 

  11. Kim, Y. S., and Kim, Y. H. (2010). "Efficiency plan of design VE through construction VE case analysis of apartment housing construction."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KICEM, 11(4), pp. 59-67. 

  12. Ko, C. G. (2016). "A rationalization plan for application of construction VE system in domestic construction work." Master Thesis, Seokyung University. 

  13. Korea Construction Value Engineering Research Institute (KCVE) (2015). A study on improvement of construction VE and VE service cost criteria, Research Report. 

  14. Korea Development Institute (KDI) (2000). A study on VE methodology and system activation plan, Research Report. 

  15. Lambert, R. D. (2012). "Value analysis and the value engineering change proposal (VECP)." ANNUAL CONFERENCE OF SAVE INTERNATIONAL, pp. 379-383. 

  16. Land (1992). "Formatting value engineering study reports to gain approval." SAVE International Conference Proceedings, SAVE, pp. 17-24. 

  17. Lee, B. N. (2000). "Activation plan of technology development compensation system"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 Korea Construction & Engineering Association. 

  18. Lee, G. I. (a) (2011). "A study on improvement of site construction performance by employer construction VE." Master THesis, Ajou University. 

  19. Lee, H. S. (c) (2012). "A study on improvement of workability by applying construction VE: case study of tunnel excavation." Maser Thesis, Busan National University. 

  20. Lee, J. H. (d) (2012). "A study on the construction VE application case of east gimhae IC pure subsoil treatment method, Master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21. Lee, J. W. (2002).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domestic construction VE incentive program." Master Thesis, Chung-Ang University. 

  22. Lee, J. W., Choi, S. I., and Park, C. S. (2002).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domestic construction VE incentive program."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9(5), pp. 177-185. 

  23. Lee, K. O. (2009).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the building construction VE improvement." Master's Thesi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24. Lee, Y. L. (b) (2011). "Practical-based construction VE process improvement." Master Thesi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25.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MOSF) (2007). http://www.mosf.go.kr/ 

  26.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MOSF) (2016). It has saved the national finances like this. 

  27. Moon, K. S. (2014). "A study on improvement of tunnel utility-pipe conduit construction method through construction VE." Master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28. Seo, H. H. (2018). "A study on analysis and improvement of construction VE system." doctoral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9. Sgroi, Giuseppe (1994). "Value engineering requirement for the incentive value engineering program." KSAVE International Conference Proceedings, SAVE, pp. 71-73. 

  30. Song, H. J., Cha, Y. W., Lee, H. J., and Hyeon, C. T. (2016). "Basic study for VET / CM - dominance type construction VE process establishment." Proceeding of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pp. 233- 234. 

  31. Standing, N. A. (2001). Value management incentive programme, Thomas Telford. 

  32. UDOT, (1995). Value engineering manual of instruction, Utah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Engineering Services. 

  33. Woo, D. W. (2013). "A study on improvement of construction VE process using TRIZ." Master Thesis, Kyungil University. 

  34. Wi, J. S. (2014). "A study on improvement of construction VE in residential land development district." Master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Industrial Graduate School. 

  35. Yoon, J. M. (2012). "A study on improvement of site construct ability through employer construction VE." Master Thesis, Ajou University.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