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설계VE팀의 역량평가 체크리스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mpetency Evaluation Checklist of Design Phase VE Team 원문보기

건설관리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9 no.4 = no.44, 2008년, pp.154 - 162  

서하나 ((주)아이엠기술단 기술연구소) ,  이학기 (동아대 건축학부)

초록

건설교통부에서는 2006년부터 "설계의경제성등검토"를 총공사비 100억원 이상으로 확대 시행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건설공사의 예산낭비와 비효율적인 요인을 사전제거함에 따라 설계VE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제도적 뒷받침이나 기술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 설계VE는 수행과정에서 다수의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어 설계VE도입에 대한효과가 극대화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팀을 구성하여 설계VE의 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설계VE팀의 역량을 강화 할 수 있는 역량평가 체크리스트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설계VE팀의 특성에 따른 29개의 역량인자를 도출하였으며 팀 지식, 팀워크 스킬, 팀 태도로 구분하였다. 중요도에 따라 설계VE팀의 역량평가 항목으로 도출하고, 각평가항목에 대한 상대적인 중요도를 정량화하여 설계VE팀의 역량평가에 객관적 인 기준을 제시할 수 있는 역량평가 방안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has been enforcing extensionally design phase VE(Value Engineering) to the construction costing more than 10 billion won, an importance of design phase VE accordingly is raising to get rid of a waste of cost and noneffective factors previously in construc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설계VE의 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효과적인 설계网팀 구성을 위한 설계VE팀의 역량평가 체크리스트를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발주자, CMr, VE Leader 및 설계V田 참여자들이 설계 V死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방안으로 설계丽팀의 역량평가 체크리스트를 제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 도출된 설계V圧팀의 역량인자에 대한 유효성을 피악하기 위하여 현황 및 중요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응답자의 일반사항에 대한 6개의 문항과 설계 VE팀의 역량인자에 대한 29개의 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현황 및 중요도에 대하여 Likert 5점 척도로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김진호,' 팀역량이 팀 성과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pp.13-23 

  2. 김주석, '연구소의 조직분위기와 R&D성과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2, pp.3-5 

  3. 박승배, '변혁적 리더십과 팀 분위기가 연구개발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3 

  4. 박혜영,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역량모델 구축',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5. 이교선, '건설기술인력의 전문기술력 확보방안 연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03 

  6. 이복남, '건설기술자의 경쟁력 향상을 위한 능력평가 방안', 국토연구원, 2003 

  7. 이홍민,' 핵심역량 핵심인재', 한국능률협회, 2003, p22 

  8. Cannon - Bowers et al, 'Defining Competencids and Establishing', 1995 

  9. Katzenbach & Smith, 'The Discipline of Teams', Harvard Business Review, 1993 

  10. Spencer, L. M. & Spencer, S. M.(1993), 'Competence at Work: Model for Superior Performance', New York: Wile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