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설사업 설계초기단계 VE 적용방안
Application of Value Engineering to Early Design Phases in Construction Projects 원문보기

건설관리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6 no.3 = no.25, 2005년, pp.156 - 166  

이승훈 (서울시립대 대학원) ,  구교진 (서울시립대 대학원 건축공학과) ,  현창택 (서울시립대 대학원 건축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설계초기단계에 적합한 VE 적용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VE방법론은 설계단계 초기에 적용할 경우 더욱 효과적이므로 본 연구는 설계 프로세스 초기단계의 설계YE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관련 연구문헌의 고찰과 실무경험을 바탕으로 국내 건설산업에서 설계VE의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1)설계단계별 VE실시시기를 구분하고, (2)건설산업에 적합한 VE대상선정 방법을 제안하며, (3)기능분석 프로세스를 보다 합리적이고 실용적으로 개선함으로써 (4)전체 설계VE 수행절차를 효율적으로 개선하고자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proper VE application methods to euly design phases. Since VE methodology is more effective on early stage of design phase, the study focused on application of VE methodology in early stage of design process. With the examination of past studies, obstacles of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적용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계획단계나 시공단계보다 실무 적용시 가치 향상의 효과가 크고 국내 제도에서 적극 권장하고 있는 설계단계 VE를 연구대상으로 하고자 한다. 또한 현재 국내에서 실시되고 있는 설계死가 기능분석을 소홀히 하고 있어 그 효용가치를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고 있으므로, 설계VE 프로세스의 시작단계부터 기능분석 단계까지를 주요 범위로 한다.
  • 기능평가는 기능정의와 기능정리의 과정을 통해 도출된 여러 기능 중에서 가치향상의 가능성이 큰 기능을 판별함으로써 아이디어 발상의 노력을 집중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국내 설계VK의 현황과 문제점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현재비용 (C)과 기능비용(F)의 관계를 통하여 가치(V)의 개선가능성이 높은 기능을 선정하는 방법은 신뢰할만한 비용자료가 축적되지 않은 국내 건설업의 여건상 적용이 불가하다.
  • 넷째, 실무자들이 V空를 수행함에 있어 가장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기능분석 프로세스를 건설사업 설계V田에서 실용적이고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프로세스를 개선하고자 한다. 또한, 기능분석을 중심으로 프로세스 전후관계를 명확히 정립함으로써 실무자들이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 또한, 기능분석을 중심으로 프로세스 전후관계를 명확히 정립함으로써 실무자들이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기수행되었던 사례에 대한 분석과 국내외 연구 문헌의 고찰을 통하여 설계단계별 합리적, 실용적 기능분석 프로세스를 정립한 후, 이를 확장하여 실시시기별 설계V空 적용 프로세스를 제안하며, 사례적용을 통하여 실무 적용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현재 여러 연구와 보고서를 통해 제시되어 있는 설계 純 수행절차와 운용기법들이 국내 건설산업의 현실을 적절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어, 通기법이 국내 건설산업에 정착되고 또한 활성화될 수 있도록, 현재 국내 건설산업의 환경에서 적용할 수 있는 설계VE 적용방안을 제안하였다. 특히, VE 기법은 적용 시점이 이를수록 그 효과가 더욱 커지므로, 설계 초기 단계에서 활용할 수 있는 설계VE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설계단계별 VE 적용방안을 제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각 설계단계별 활용가능한 정보의 양과 질에 따라 차별화된 기능분석 프로세스를 적용하고자 한다. 또한 이를 확장하여 기능분석단계 및 그 전 .
  • 본 연구에서는 설계단계별 VE 프로세스 개선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러나 V空 실무자들은 이외에도 VE 수행 절차의 각 단계에서 제시되어 있는 각종 운용기법들 중 해당 프로젝트에 가장 적합한 기법을 선정하는 것에도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앞에서 도출된 국내 설계州 적용상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다음과 같이 개선방향을 설정하였다.
  • 그러나 국내 설계VK의 현황과 문제점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현재비용 (C)과 기능비용(F)의 관계를 통하여 가치(V)의 개선가능성이 높은 기능을 선정하는 방법은 신뢰할만한 비용자료가 축적되지 않은 국내 건설업의 여건상 적용이 불가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맥락에서 기본설계단계 V压에서 현재의 '기능평가 단계를 개선대상 기능 선정 단계로 대체하고자 한다. 이는 아이디어 창출 대상 기능을 선별하고자하는 해당 단계의 역할을 보다 명확히 규정하는 것이며, 동시에 실질적으로 '평가 를 통해 기능의 개선가능성을 판단하는 것이 어려우므로 팀원들간의 토의와 협의를 거쳐 최적의 의사결정을 하고자 하는 것이다.
  • 설계자는 합리적인 견적 결과를 다시 VE 팀에게 알려주고 VE 팀은 이를 바탕으로 최종 VE 제안 결과를 발주자에게 보고한다. 발주자는 최종 결과를 검토한 후 제안의 승인 여부를 결정하여 설계자에게 설계수정지시를 내린다.
  • 셋째, 제조업에서 개발되어온 현재의 VE 프로세스 중 건설업에 적용하기 곤란한 부분은 과감히 삭제하고 동일한 성능을 얻을 수 있는 대체 프로세스로 개발하고자 하며, 현실적으로 가능한 범위의 투입노력으로 요구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 Conner(2001)는 설계초기단계에서는 발주자의 요구사항을 파악하여 사업의 목표와 범위를 명확히 하고자 VE 프로세스에 요구사항분석과정 (Request Analysis Phase)을 추가 제안하였다. 이 연구는 비용효율적 대안의 발주자 요구사항 만족 여부를 검토함으로써 창출된 대안의 채택 가능성을 높일 수 있게 하였다.
  • Shaozhi(2002)는 대형건설사업에서의 VE 적용시 시스템 엔지니어링 개념을 이용하여 프로젝트 시스템의 구성 위계에 따라 VE 대상을 구분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는 하나의 대형 프로젝트에 대해 전체 시스템으로부터 세부 구성요소까지 VE 대상을 달리 적용하는 사례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설계단계별 VE 대상을 달리 적용하고자 하는 본 연구와 흐름을 같이 하고 있다.
  • 따라서 설계가 진행됨에 따라 적용하는 설계咨 방법도 달리하여야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설계진행단계에 따라 V璽의 활용을 달리한 기존의 연구를 고찰하였다.
  • 특히 건설사업의 경우 전술한바와 같이 각각의 특성과 환경여건이 모두 다르고 프로젝트 전체에 개선의 여지가 내재되어 있으므로 프로젝트 전체를 咨의 대상으로 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측면에서 최근 연구된 VE 대상선정단계에 관한 연구 문헌을 고찰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 프로세스의 불합리성을 지적한 후 제안 프로세스를 제시하여 불합리성 극복여부를 판단하는 접근법을 택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 제안한 결과의 적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사례적용을 통해 본 연구에서 제안한 프로세스를 실무에 적용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김민기,2002,'공공건설사업 시공前단계 사업비 관리 개선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철웅,2002,'설계VE 용역대가 산정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민경석,2001,'설계단계에서의 효과적 VE적용을 위한 기능 정의 프로세스 모델',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 장인규,2002,'건축 기계설비 계획시 VE기법 적용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건축학과 석사학위논문 

  5. 전재열,2003,'건축 설계초기단계에서 VE 대상선정방법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19권2호 

  6. 정영일,2002, '설계VE의 효율적인 아이디어발상을 위한 TRIZ의 활용방안',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최석인,2001,'건설VE 프로젝트에서 효과적인 FAST 적용 방안 및 FAST 작성 전산모델',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8. 한국개발연구원 공공투자관리센터,2000,VE 방법론 및 제도활성화방안연구 

  9. 한국건설기술연구원,2000,건설사업 VE기술 도입방안,건설교통부 

  10. Arratia, B. A., 1998,'A FAST-Driven approach to new production planning, SAVE International Annual Conference Proceeding 

  11. Blumstein, G., 1996, ''FAST diagramming: A technique to facilitate design alternatives', SAVE International Annual Conference Proceedings 

  12. Conner, AM., 2001, 'Requirements Analysis in the Value Methodlogy', SAVE International Annual Conference Proceedings 

  13. Ellegant, H., 1995, 'Stop counting beans and start reducing surprises; Pre-design VE for construction', SAVE International Annual Conference Proceeding 

  14. Fowler, T. C., 1994, 'Forward to the Basics: createby-function', SAVE International Annual Conference Proceedings 

  15. Fowler, T. C., 1998, 'Targeting Value Studies', SAVE International Annual Conference Proceedings 

  16. Gernerd, K., 1993, 'Successful application of value engineering at conceptual stage of design', SAVE International Annual Conference Proceedings 

  17. Kelly, J., Male, S., 2001, 'A quick approach to Task FAST Diagrams', SAVE International Annual Conference Proceeding 

  18. Park, R. J., 1996, 'FAST or not so FAST', SAVE International Annual Conference Proceedings 

  19. Shaozhi, H., Wujun, L., 2002, 'Systematic Value Methodology for Complicated Project Systems', SAVE International Annual Conference Proceedings 

  20. Warwich, T., 1994, 'Function analysis for team problem solving', SAVE International Annual Conference Proceeding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