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촌 과소화마을의 변화 분석
An Analysis of the Transformation of Over-depopulated Rural Villages 원문보기

농촌계획 : 韓國農村計劃學會誌, v.24 no.2, 2018년, pp.79 - 89  

박진우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경제사회학부) ,  이태호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경제사회학부,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안동환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경제사회학부, 농업생명과학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transformation of over-depopulated rural villages. Specifically, we investigated the reasons of the rapid decrease in the number of over-populated rural villages shown by recent census data in spite of the continuing decrease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2010년과 2015년 사이 비과소화 마을과 과소화 마을의 변화 특성을 비교한다. 또한 어떤 마을 특성이 과소화 마을에서 비과소화 마을로의 전환에 영향을 주었는지 분석한다. 이를 통해 농촌 과소화 대응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 제공과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 특히 과소화 마을과 농가가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통해 과소화 마을의 지역 특성뿐만 아니라 농가의 특징을 반영하였다. 이를 통해 과소화 마을을 탈출하는데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는 요인을 찾아 시사점을 제시하고 과소화 마을 감소를 위한 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고자 하였다.
  • 또한 어떤 마을 특성이 과소화 마을에서 비과소화 마을로의 전환에 영향을 주었는지 분석한다. 이를 통해 농촌 과소화 대응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 제공과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소화 마을이란 무엇인가? 과소(過疎)의 사전적 정의는 지나치게 적다는 것이며,일반적으로 과소화 마을이란 진행형의 의미로 일정기간 동안 인구가 과도하게 감소하여 지역사회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의 균형이 깨진 곳을 말한다(정기환 외, 1999). 하지만 과소화 마을과 비과소화 마을을 구분하기 위한 임계 규모가 정해져 있지 않기 때문에 연구자마다 다양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농촌마을 과소화의 원인은 무엇인가? 실제로 2014년 주민등록인구 기준으로 65세 이상 노인의 30%가 농촌에 거주하고 있으며 읍 지역에서 면 지역으로 갈수록 65세 이상 노인의 비중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조미형 외, 2015). 농촌마을 과소화 문제는 이러한 농촌 지역 인구의 감소 및 고령화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나타난 것으로 볼 수 있다.
농촌마을 과소화에 띠른 사회적 문제는 무엇인가? 농촌 과소화 마을은 급격한 인구 감소로 마을 공동체 기능을 유지할 수 없는 곳을 의미하며 다양한 사회적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성주인·채종현, 2012). 인구 유출로 인해 증가한 빈집은 마을의 경관을 훼손할 뿐만 아니라 관리부족 및 노후화로 사고 위험이 높아 마을 주민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 또한 인구 부족으로 과거 마을에서 수행했던 공동체 활동이 축소되었으며 소매 기능의 약화로 지역 경제가 쇠퇴하는 등 지역 사회의 기능을 약화시키고 있다(정옥주, 1994). 이러한 문제들은 인구 유입에 있어 방해요인으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인구 유출을 가속화시켜 마을의 해체 및 소멸을 이끌 수 있다는 점에서 큰 문제가 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Kwon T. H, 1992, movement of population and change in rural society, Rural Sociological Society 2, p39-56. 

  2. Kim D.C, 1997, Transformation of endogenous resident organization and role of local government in Japan's depopulation region, Association of Korean Geographers, pp37-43. 

  3. Park M.H. Oh N.W and Lim J.E. 2012, Supporting strategy for city people's return to rural community,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4. Park S.H, Choi Y.W, 2014, Factors for City People's Return to Rural Areas and its Impacts on Korean Rural Society and Economy,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5. Seong.J.I. Chae.J.H, 2012, The Actual Situation and Policy Tasks of the Underdeveloped Villages in Rural and Fishing Villages 

  6. Seong J.I, Song M.R, Jung M.S, and Min K.C, 2015, The Current Status of Changes in Korean Rural Villages and Direction for Mid- and Long-term Development,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7. O, H.S, 1992, Poverty and policy responses to the declining population of villages, region environment, pp71-108. 

  8. Lee C.W, Jeong Y.H, 2013,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Conditions of Settlement in the depopulation Village in Jeollabuk-do, Jeonbuk Institute. 

  9. Lee C.W, 2014, 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Settlement Condition and Life Satisfaction for Rural Residents - Focusing on Jeollabukdo,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vol. 20, pp.91-102. 

  10. Lee H.B, 2000, A Study on the Hysterization Phenomenon in Rural Area, Doctoral thesis. 

  11. Jeong K.H, Moon S.C, Min S.K, 1999, Characteristics and Countermeasures of the Suburbs of Rural Population,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12. Jeong O.J, 1994, A Study on the Change of Elementary School Location in Rural Area, The Geographical Journal of Korea vol.23, pp.73-95. 

  13. Jung J.H, Kim S.B, 2015, The Determinants of the Return-to-Farm Decision and the Return Types of Returning Farmers in Korea, vol.56 pp.139-164. 

  14. Cho J.B, 2009, The Study on the Over-depopulation Characteristics of Village Unit in Rural and Fishery Region: Focused on JangheungGun, Jeannam-Do Province.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21(3): 163-182. 

  15. Greene, 2012, Econometric Analysis, pearson Education Asia. 

  16. Judge, 1988, Introduction to the Theory and Practice of Econometrics, Wiley. 

  17. http://kosis.kr/index/index.do 

  18. Statistics Korea, 2017, Statistical information report for user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