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핵심성과지표 개발 방법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among KPI Developing Methods 원문보기

品質經營學會誌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quality management, v.46 no.4, 2018년, pp.863 - 876  

정규석 (강원대학교 경영회계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re are several KPI(key performance indicators) models: BSC(balanced scorecard), IPOO(Input-process-output-outcomes) indicators, QCDP(quality-cost-delivery-productivity) indicators. This paper analyze these models and gives some suggestions to help the effective usage of KPI. Methods: Thi...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은 기존 문헌들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성과지표가 갖추어야 할 바람직한 기준들을 도출한다. 다음으로 저자들이 제시하는 기준들이 매우 다양해서 활용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이것들을 유사성에 따라서 체계적으로 분류하여 소수의 범주로 묶어 나간다.
  • 전통적으로는 재무지표가 주로 사용되어 왔으며 여기에 성과지표 구성의 균형성을 강조하는 BSC(balanced scorecard), 행정업무에서 많이 사용되는 IPOO(input, process, output, outcome), 전통적적으로 기업에서 많이 사용되던 QCDP(quality, cost, delivery, productivity)의 성과지표 모델들이 있다. 본 논문은 문헌적 고찰을 통하여 바람직한 성과지표들의 기준들을 살펴보고, 이러한 기준들에 입각하여 각 모델 및 모델들의 세부 성과지표를 분석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본 논문은 공공조직인지 사기업인지의 조직 유형, 거시적인지 미시적인지의 직무 수준, 유지업무인지 개선업무인지 신규업무인지의 직무 유형에 따른 이러한 모델들의 효과적인 적용방법에 대해서 제안한다
  • 본 논문은 이러한 성과지표 선정 기준의 관점에서 BSC, IPOO 및 QCDP 모델 같은 몇 가지 성과지표 개발 모델들의 성과지표 제안들을 비교 평가한다. 이것들은 서로가 보완적인 도구들이며 업무 수준 및 유형에 따라 각기 다른 적합도를 가진다.
  • 본 절에서는 여러 저자들에 의해서 제시된 성과지표가 가져야할 할 바람직한 기준들을 고찰한다. Ria(1974)는 지표 속성으로서 적합성(relevant) 과 측정성(measurable)을 성과지표에 대한 목표치로서는 도전성(challenging)과 달성가능성(attainable)을 제시하였다.
  • 여기서는 2장에서 논의한 바람직한 성과지표 기준들의 관점에서 지금까지 살펴 본 3가지 모델과 그 지표들에 대해서 토론하고자 한다. 각 지표의 속성들(Chung and Kim 1996, Chung 2011, Chung 2012)을 기반으로 한 지표들에 대한 평가 결과는 Table 4에 보이는 것과 같다, Table 4에서 보듯이 BSC는 성과지표들 구성의 균형성 관점에서 출발하였고, 다른 두 모델들은 개별지표들을 다루고 있다.
  • 본 논문은 문헌적 고찰을 통하여 바람직한 성과지표들의 기준들을 살펴보고, 이러한 기준들에 입각하여 각 모델 및 모델들의 세부 성과지표를 분석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본 논문은 공공조직인지 사기업인지의 조직 유형, 거시적인지 미시적인지의 직무 수준, 유지업무인지 개선업무인지 신규업무인지의 직무 유형에 따른 이러한 모델들의 효과적인 적용방법에 대해서 제안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성과지표 선택이 중요한 이유는? 성과지표는 단순히 성과의 측정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사람들의 행동 방향을 결정하는 보상 시스템의 설계에도 활용되기 때문에 좋은 성과지표를 선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양날의 칼과 같이 구성원들을 올바른 방향으로 행동하도록 동기부여시키는 유력한 도구이자, 목표치 달성 노력이 조직에는 해가되는 잘 못된 행동을 유발하는 독이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전략 맵의 단점은? 전략 맵이란 도구를 사용하여 전략과 연계된 전략적 KPI를 식별하고 개발하는데 효과적이다. 그러나 그것은 조직을 운영하는데 필요한 모든 KPI나 PI를 도출하는 방법을 알려주지 않으며, 때로는 전략적 관점만을 중시함으로써 조직 전반에 걸친 운영 효율성의 기초가 되는 다른 성과지표들을 소홀히 하도록 만드는 경향이 있다(Chung, 2011).
IPOO 지표란? IPOO 모델은 행정 관련 조직에서 널리 사용된다. IPOO 지표들은 Figure 3 에서 보듯이 투입(input), 프로세스나 활동(process or activity), 산출(output), 결과(outcome)의 4종류의 성과지표를 의미한다(Park 2004). 이 모델은 업무를 SIPOC 시스템으로 보고 그에 근거하여 도출한 QCDP 모델과 기본적 접근에서 유사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Chung, Kyu Suk. 2011. "A Model for the Development of Performance Indicators by I-O System Approach and Integration with BSC", Journal of the Korean Production and Operation Management, 2(4):399-415. 

  2. Chung, Kyu Suk. 2012. "A Comprehensive performance Indicators by SIPOC Mode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Quality Management, 40(3):394-405. 

  3. Chung, Kyu Suk and Kim Hyeong Wook. 1996. "The Development of Process Quality Indicators", Korean Society for Quality Management, Autumn Symposium Proceeding, 127-136. 

  4. Davis, Tim R. V. 1996. "Developing an employee Balanced Scorecard: Linking Frontline Performance to Corporate Objectives", Management Decision, 34(4):14-18. 

  5. Dilla, W. N. and Steinbart, P. J. 2005. "Relative weighting of common and unique balanced scorecard measures by knowledgeable decision makers", Behavioral research in accounting, 17:43-53. 

  6. GAO(General Accounting Office). 1997. Managing for Results: Analytic Challenge in Measuring Performance, GAO, Washington, DC. 

  7. Geon, Taek-seung. 2004. Guidelines for Project Evaluation and Research on the Introduction of PART, the Research on Performance Management and Project Evaluation, Korea Institute of Public Finance. 

  8. Harty, H. 1980. "Performance Measurement Principles and Techniques: An Overview for Local Government", Public Productivity Review, December. 

  9. Imai, Massaki. 1988. Kaizen, Kaizen Institute Ltd. 

  10. Jackson, P. 1988. "The Management of Performance in the Public Sector", Public Money & Management, Winter, 11-16. 

  11. Jeon, Jong-Soon. 2014. The Characteristics of Military Executive Agency Performance Evaluation Indicators & Empirical Study on Impact between Indicators, Phd Disserta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12. Kang, Young Cheol. 2008. "Influencing factors on the Acceptance for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The Journal of Policy Analysis and Evaluation, 18(3):123-152. 

  13. Kaplan, Robert S. and Norton, David P. 1992. "The Balanced Scorecard: Measures That Drive Performance", Harvard Business Review, 70(1):71-79. 

  14. Lee, Yoon-Sik. 2006. "Improvement for the Evalution Method for Government Policy", Society of Analysis and Evaluation for Policy, 16(3):1-32. 

  15. Lee, Yoon-Sik. 2007. "Improvement for the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Society of Analysis and Evaluation for Policy, 17(3):1-30. 

  16. Niven, P. R. 2002. Balanced Scorecard Step-by-Step: Maximizing Performance and Maintaining Results, John Wiley & Sons, Inc. 

  17. Park, Gi-baek. 2004. Performance Based Budgeting and Development of Performance Indicators, the Research on Performance Management and Project Evaluation, Korea Institute of Public Finance. 

  18. Park, Jung-Hoon, Park, Jae-Hee, Kang, Jung-Suk, La, Hyun-Joo, Kim, Jung-Rouk, Lee, Nam-Kook, and Han, Min-Jung. 2001. Improvement of the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for the Accountable Organizations, A Report for Korea Administration Research Institute. 

  19. Poister, Theodore H. 2003. Measuring Performance in Public and Nonprofit Organizations, Jossey-Bass: San Francisco, CA. 

  20. Ria, Anthony P. 1974. Managing by objectives, Scott, Foresman and Company. 

  21. Riew, Do-Am. 2012. An Empirical Study on the Influence of Acceptance of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for the Trust for the Organization, Ph.D. Dissertation, Seoul City University. 

  22. Suh, Jung-Rok. 2005. The Influence of BSC Implementation Factors and Performance Measurement Indicators on the Performance, Ph.D. Dissertation, Sokang University.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