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SC를 이용한 정부 및 공공기관의 성과관리 구축에 대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Building of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Using BSC: Focusing On Government Agency and Public Sector 원문보기

Information Systems Review, v.10 no.2, 2008년, pp.291 - 308  

이우원 (한국외국어대학교 상경대학 경영학부) ,  김중화 (한국외국어대학교 상경대학 경영학부) ,  조준서 (한국외국어대학교 상경대학 경영학부)

초록

국내외의 여러 조직에서 구축하고 있는 BSC(Balanced Scorecard)의 성공요인중의 하나는 BSC 성과 관리시스템을 구축할 때 발생하는 현실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기존의 분산되고 중복되는 성과 관리시스템을 BSC 시스템이라는 골격에 적용하여 어떻게 통합적으로 관리할 것인가와 조직의 미션과 비전을 달성 할 수 있는 전략 실행의 요체인 핵심성공요인(CSF: Critical Success Factor)과 KPI(Key Performance Indicator)을 어떻게 도출할 것인가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 BSC 성공에 필수적이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들을 개선 할 수 있는 모범적인 공공기관의 BSC 구축 사례를 토대로 성과평가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안들을 제시한다. 즉, 공공부문의 BSC는 4가지 관점 중 재무관점에 있어서 민간부문과 달리 예산을 통한 재무자원 조달 측면을 고려해야 하며, 각각의 관점들을 개별 공공기관의 성격에 맞게 변용시키는 방법이 필요함을 언급하였다. 공공 부문에서의 BSC에서는 공공기관의 존립 근거, 즉 미션이 대 국민 서비스 차원이라는 목적에 부합되도록 고객관점이 강화되어야 함을 제안한다. 또한, 기존 공공 부문의 분산되고 중복성이 존재하는 성과관리(심사분석, 정부업무 평가, 직무성과계약제, 고객만족도 평가)시스템들이 BSC 시스템에 어떻게 적용되었는가를 살펴봄으로써 성과관리 시스템을 통합적으로 관리 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to review the main concepts of BSC(Balance Scorecard) and compare the BSCs applied in the private and the public sectors. This comparison suggests a few important aspects that must be attended when BSC is put to use in the public organization. First, the BSC used in the public sector m...

주제어

참고문헌 (16)

  1. 각 부처 성과관리 현황 및 우수사례 확산 방안, 국무조정실 심사평가조정관실, 2006 

  2. 정부 업무 성과관리 추진 방안, 기획관리실, 2005 

  3. 인적자원관리, 정재훈, 학현사, 2006 

  4. BSC 도입 시 직무성과 계약 방법론, 중앙인사위원회, 2005a 

  5. 성과관리 운영 매뉴얼, 중앙인사위원회, 2005b 

  6. BSC 시스템을 통한 성과관리 운영 사례, 해양경찰청, 2005 

  7. Age, Johnsen, Balanced Scorecard: Theoretical, Perspectives and Public Management Implications, Managerial Auditing Journal, Vol.16, No.6, 2001, pp. 319-330 

  8. Arveson, Paul, Translating Performance Metrics from the Private to the Public Sector, http://www.balancedscorecard.org/metrics/translating.html, 1999 

  9. Bauer, Kent, The Power of Metrics: Key Performance Indicators: the Multiple Dimensions, DMReview, October, 2004 

  10. Caralli, Rechard A., The Critical Success Factor Method: Establishing a Foundation for Enterprise Security Management. Carnegie Mellon Software Engineering Institute. Pittsburgh, PA, 2004 

  11. Eicklemann, Nancy,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Balanced Scorecard as Applied in Government and Industry Organizations, Information Technology Evaluation Methods and Management, IDEA Group Publishing, Hershey, 2001, pp. 253-268 

  12. Hax, Anorldo C. and Majluf, Nicolas S., The Strategy Concept and Process-A Pragmatic Approach, Prentice Hall, 1996 

  13. Kaplan, Robert S. and Norton, David P., Putting the Balanced Scorecard to Work, Harvard Business Review, September-October, 1993, pp. 134-147 

  14. Kaplan, Robert S. and Norton, David P., Using the Balanced Scorecard as a Strategic Management System, Harvard Business Review, July-August, 1996, pp. 167-180 

  15. Kaplan, Robert S. and Norton, David P., 가치실현을 통한 통합 경영지표 BSC, 한언, 1998 

  16. Niven, Paul R., BSC 정부와 공공 부문-성과관리체계 구축 방법론, 삼일 PwC 컨설팅 역,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