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실내·외 임시주거시설의 실용성 향상을 위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 for the Practical Use of Inner and Outer-Temporary Housing 원문보기

한국재난정보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14 no.4 = no.42, 2018년, pp.409 - 420  

서붕교 (Department of Architecture, Gachon University) ,  염태준 (Department of Architecture, Incheon National University)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실내 외 임시주거시설의 사례분석을 통해 실용성 향상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첫째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실내 외 임시주거시설의 기본적인 성능, 형태에 대해 고찰하였다. 둘째 실내 외 임시주거시설의 사례분석을 통해 실용성측면의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셋째 도출된 문제점을 바탕으로 실내 외 임시주거시설의 실용성을 확보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실내 외 임시주거시설에서 궁극적으로 개선해야 할 거주성, 경제성, 시공성, 운용방안이라는 요소를 도출하였고 이를 생애주기에 따른 제작단계, 운반단계, 설치단계, 보관단계로 구분하여 각각의 단계에서 실용성 향상을 위해 개선해야 할 사항을 제시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제시한 개선사항을 적용한다면 실용성이 향상된 실내 외 임시주거시설의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improvement measures for enhancing practicality through case analysis of Inner and Outer-Temporary Housing. Method: First, the basic functions and types of Temporary Housing, were discussed through prior research analysis. Second, a practicality probl...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이재민에게 제공되는 다양한 형태의 실내 · 외 임시주거시설의 사례분석을 바탕으로 실용성을 향상을 위해 개선해야할 요소를 도출하고 이 요소들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한다.
  • 이에 대한 성능으로는 운반, 보급, 친환경, 시공용이, 구조 등의 요소를 제시하고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임시주거시설의 제작부터 사용 후 보관까지의 생애주기에 따라서 실용성 확보를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는 차별성이 있으며 이를 통해 그 효율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컨테이너, 텐트 등과 같은 실내 · 외 임시주거시설의 사례분석을 통해 실용성 향상을 위해 개선해야할 요소를 도출하고 요소들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일반적인 특성과 기술적 측면에서의 운반, 보급, 친환경, 시공용이, 재료 등 에 대한 특성을 파악하였고 이를 통해 실내 · 외 임시주거시설에서 개선할 수 있는 요소 도출과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김은영(2015)은 임시주거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시설의 재사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재사용을 위해서는 구조체 및 구성자재의 접합부 계획과 임시주거의 벽체 규격화의 필요성을 서술하였다. Yiming Song(2016)은 중국의 4가지 임시주택을 선정하여 자재 소요량을 계산을 통해 임시주택이 환경오염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에서 이재민이 발생한 재해로는 어떤 것이 있나요? 인접국가인 중국에서는 2017년 한해 호우 8건, 태풍 3건, 지진 3건 등이 발생하였고, 일본에도 호우 4건, 태풍 3건, 지진 1건 등으로 수많은 사상자와 이재민이 발생하였다. 국내에서도 경주지진(2016), 포항지진(2017), 강원 영서지방 호우(2017) 등의 재해에 의해 이재민이 발생하였다.1)
환경오염으로 인한 이상기후는 어떤 재해를 일으키나요? 이러한 환경오염으로 인한 이상기후는 매년 강력한 태풍, 폭우, 지진 등을 불러오고 있으며 재해로 인한 이재민이 발생하고 있다. 인접국가인 중국에서는 2017년 한해 호우 8건, 태풍 3건, 지진 3건 등이 발생하였고, 일본에도 호우 4건, 태풍 3건, 지진 1건 등으로 수많은 사상자와 이재민이 발생하였다.
국내에서 이재민을 윟나 다양한 형태의 임시주거시설로는 어떤 것이 있나요? 이에 전 세계의 각국은 재해 시 거주공간을 상실한 이재민에게 다양한 형태의 임시주거시설을 제공하고 있다. 국내의 임시주거시설은 학교, 종교시설, 관공서 등 대규모 인원이 수용 가능한 건축물을 이용하기도 하지만, 이재민의 거주기간, 지역적 특성 등을 고려하여 실내에서는 텐트 및 칸막이, 실외에는 컨테이너가 주로 이용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Jung-In, M. (2006). "A Case Study on the Typology of Temporary Housing According to Disasters."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22, No.9, pp.141-148. 

  2. Cassidy, J. (2007). "Strategic planning for post-disaster temporary housing." Overseas Development Institute, Vol.31, Issue.4, pp.435-458. 

  3. Chang-Yeol, C. (2008). "A Study on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Shigeru Ban's Paper Tube Architectur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24, No.1, pp.109-117. 

  4. Myung-Sik, L. (2014). "A Study on the Spatial Configuration of the Post-Disaster Refugees Housing."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30, No.12, pp.135-142. 

  5. Sa-ra, K. (2015). "A Study on Spatial Characteristics of Post-Disaster Interim Housing."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Vol.24, No.5, pp.108-116. 

  6. Eun-Young, K. (2015). "A Study on the Plan for the Recycled Use of Temporary Housing applied 3R Concept."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ol.26, No.5, pp.1-8. 

  7. Yiming, S. (2016). "Life-time performance of post-disaster temporary housing : A case study in Nanjing." Journal of Energy and Buildings, Vol.128, pp.394-404. 

  8. Min-seok, K. (2017). "A Study on the Design Plan of Outdoor Temporary Housing Facility That Can Be Supplied at The Time of Disaster." Journal of Korea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ol.13, No.2, pp.173-190. 

  9. Hye-Ryeong, N. (2017). "A Basic Study of Development of Post-Disaster Refugees Housing Performance Index."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Vol.18. No.12, pp.774-754. 

  10. Jae-sung, J. (2018). "The Study on the Derivation of Performance Guidelines for Indoor.Outdoor Temporary Housing Facility." Journal of Korea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ol.14, No.3, pp.271-279. 

  11. Tae-Jun, Y. (2018). "Design of Temporary housing for the Improvement of Habitability Environment." Journal of Residential Environment Institute of Korea, Vol.16, No.2, pp.463-472. 

  12. Bergman, D. (2010). "Sustainable Design A Critical Guide", Princeton Architectural. 

  13. Mi-Jin, P. (2018). "Development of Inner and Outer-Temporary Housing with Eco-friendly materials for supplied in case of disaster",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