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P파를 이용한 지진 현장 경보체계기술의 국내 적용
Application of the Onsite Earthquake Early Warning Technology Using the Seismic P-Wave in Korea 원문보기

한국재난정보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14 no.4 = no.42, 2018년, pp.440 - 449  

이호준 (KIT Valley Co.) ,  이진구 (KIT Valley Co.) ,  전인찬 (KIT Valley Co.)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목적: 본 연구는 단일 지진관측기로부터 P파를 추출하여 PGV를 산출하는 현장지진경보(Onsite EEW)를 설계와 검증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국내에서 발생한 12개의 지진파형데이터를 이용하여 적합한 P파 감지 시간(PTW)의 크기를 정하여, P파 물성치인 Pd, Pv 및 Pa를 산출하고, 경험식을 통한 PGV 추정값을 관측치와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PGV 관측치와 추정치의 비교결과를 경보 발령 기준인 진도 등급 내에서 비교하였을 때 오보 비율은 최소 86.7%의 적중률을 보였으며, PTW를 2초로 줄이는 효과로 경보시간은 1초, 공백역은 6Km를 단축할 수 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국내에서 지진현장경보의 가용성을 확인하였으며, 실제 활용을 위해서는 지속적인 관측을 통해 지진파형 데이터수를 늘이고, 현장 노이즈를 제거하는 기술을 통해 한국형의 회귀식과 알고리즘 개발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s to design and verify an onsite EEWS that extracts the P-wave from a single seismic station and deduce the PGV. Method: The P-wave properties of Pd, Pv, and Pa were calculated by using 12 seismic waveform data extracted from historic seismic records in Korea, and the PGVs wer...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현재까지 알려진 지진 현장 경보 기술을 이용하여 과거에 국내에서 관측된 중규모의 지진을 대상으로 P파를 탐지하고. 선행 연구들이 제안한 P파와 PGV의 관계 및 국내 데이터의 회귀결과를 적용하여 PGV를 수치모의 함으로써 우리나라에서의 지진 현장경보의 가용성을 평가하였다.

가설 설정

  • 0초의 PTW가 적합하며, 일본, 타이완 등 대규모 지진에서 사용되는 3초의 PTW를 사용할 경우 S파의 간섭 때문에 적합한 P파의 물성을 파악할 수 없음을 알 수 있다. 결과로부터 국내 지진으로부터 P파를 추출하기 위한 PTW를 2초로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장 경보를 지역 경보와 비교하면? 이는 단일 관측소에서 초기 P파를 관측하고 그 정보로부터 수 초 내에 지진의 규모, 관측지점의 진도 등을 추산하여 발령하는 시스템이다. 각 관측지점에서 단일 관측기를 사용한 경보체계이기 때문에 지역 경보와 비교하여 경보 시간은 빠르지만 상대적으로 그 신뢰성은 낮다. 그러나 P파 관측과 동시에 해당 지점에서의 지진동의 크기를 예지하기 때문에 경보의 공백역 역시 지역경보와 비교하여 좁은 이점이 있다. 지역 경보처럼 한 곳에서 데이터를 처리하여 각 지역에 경보를 전달하는 대신, 관측소마다 단독으로 경보체제를 운영하는 독립성을 갖기 때문에 지진 피해를 저감하기 위한 독자적인 체제로도 정착할 수 있다.
현장 경보란 어떤 시스템인가? 지역 경보의 넓은 경보 공백지역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병행 운영되는 체계로 현장 경보(Onsite Warning)가 있다. 이는 단일 관측소에서 초기 P파를 관측하고 그 정보로부터 수 초 내에 지진의 규모, 관측지점의 진도 등을 추산하여 발령하는 시스템이다.
단일 지진관측기로부터 P파를 추출하여 PGV를 산출하는 현장지진경보를 설계하고 검증하기 위하여 어떤 방법으로 연구하였는가? 연구목적: 본 연구는 단일 지진관측기로부터 P파를 추출하여 PGV를 산출하는 현장지진경보(Onsite EEW)를 설계와 검증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국내에서 발생한 12개의 지진파형데이터를 이용하여 적합한 P파 감지 시간(PTW)의 크기를 정하여, P파 물성치인 Pd, Pv 및 Pa를 산출하고, 경험식을 통한 PGV 추정값을 관측치와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PGV 관측치와 추정치의 비교결과를 경보 발령 기준인 진도 등급 내에서 비교하였을 때 오보 비율은 최소 8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Bose, M., Heaton, T. and Hauksson, E. (2012). "Rapid estimation of earthquake source and ground-motion parameters for earthquake early warning using data from a single three- component broadband or strong-motion sensor" Bulletin of the Seismological Society of America, vol.102, No.2, pp. 738-750. doi: 10.1785/0120110152. 

  2. Colombelli, S., Caruso, A., Zollo, A., Festa, G. and Kanamori, H. (2015). "A P wave-based, on-site method for earthquake early warning"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vol.42, No.5, pp. 1390-1398. doi: 10.1002/2014GL063002. 

  3. Colombelli, S., Zollo, A., Festa, G. and Picozzi, M. (2014). "Evidence for a difference in rupture initiation between small and large earthquakes" Nature Communications. Nature Publishing Group, vol.5, No.1, p. 3958. doi: 10.1038/ncomms4958. 

  4. Hsu T. Y., Wu S. Y., Huang S. K., Chiang H. W., Lu K. C., Lin P. Y. and Wen K. L.(2016). "Performance of On-site Earthquake Early Warning Systems for Different Sensor Locations." International Scholarly and Scientific Research & Innovation, Vol.10, No.8, pp.793-798. 

  5. Kanamori, H. (2005). "Real-Time Seismology and Earthquake Damage Mitigation" Annual Reviews of Earth and Planetary Sciences. Annual Reviews, vol.33, No.1, pp. 195-214. doi: 10.1146/annurev.earth.33.092203.122626. 

  6. Lomax, A., Satriano, C. and Vassallo, M. (2012). "Automatic Picker Developments and Optimization: FilterPicker-a Robust, Broadband Picker for Real-Time Seismic Monitoring and Earthquake Early Warning" Seismological Research Letters, vol.83, No.3, pp. 531-540. doi: 10.1785/gssrl.83.3.531. 

  7. Meier, M. A., Heaton, T. and Clinton, J. (2016). "Evidence for universal earthquake rupture initiation behavior"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vol.43, No.15, pp. 7991-7996. doi: 10.1002/2016GL070081. 

  8. Nakamura, Y. (1988). "On the urgent detection and alarm system (UrEDAS)" in Ninth World Conference on Earthquake Engineering, pp. 673-678. doi: ISBN 4-89580-010-5. 

  9. Nakamura, Y. (2003). "A New Concept for the Earthquake Vulnerability Estimation and its Application to the Early Warning System" Early Warning Systems for Natural Disaster Reduction. Berlin, Heidelberg: Springer Berlin Heidelberg, pp. 693-699. doi: 10.1007/978-3-642-55903-7_92. 

  10. Odaka T, Ashiya K, Tsukada S, Sato S, Ohtake K, Nozaka D. (2003). "A new method of quickly estimating epicentral distance and magnitude from a single seismic record." Bulletin of the Seismological Society of America 2003, 93(1), pp.526-532. 

  11. Wald, D. J., Quitoriano V., Heaton T. H., and Kanamori H. (1999). "Relationships between peak ground acceleration, peak ground velocity, and modified mercalli intensity in California" Earthquake Spectra, vol.15, No.3, pp. 557-564. doi: 10.1193/1.1586058. 

  12. Wu, Y. M. and Kanamori, H. (2005). "Experiment on an onsite early warning method for the Taiwan early warning system" Bulletin of the Seismological Society of America, vol.95, No.1, pp. 347-353. doi: 10.1785/0120040097. 

  13. Wu, Y. M. and Kanamori, H. (2008). "Development of an earthquake early warning system using real-time strong motion signals" Sensors, vol.8, No.1, pp. 1-9. doi: 10.3390/s8010001. 

  14. Junyoung Yun, Geumyoung Min, Dukhoon Jung. (2015). "A study of the Domestic Trend in the law and institutions of International Standard Disaster Management - Focusing on ISO/TC 292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ol.11 No.2, pp. 287-296. 

  15. Zollo, A., Amoroso, O., Lancieri, M., Wu, Y. M. and Kanamori, H. (2010). "A threshold-based earthquake early warning using dense accelerometer networks" Geophysical Journal International, vol.183, No.2, pp. 963-974. doi: 10.1111/j.1365-246X.2010.04765.x.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