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DHD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생쥐 모델에서의 별아교세포 유래 신경전달물질 분석
Analysis of Gliotransmitters in ADHD Mice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8 no.5 = no.217, 2018년, pp.597 - 604  

김가연 (단국대학교 분자생물학과) ,  박재원 (단국대학교 분자생물학과) ,  윤보은 (단국대학교 분자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ADHD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은 4-17세의 아동 및 청소년의 약 10%가 겪는 흔한 신경 발달 장애이지만 그 핵심 기전이 알려져 있지 않은 가운데 관련한 여러 단백질들이 보고되어왔다. 이중 GIT1 (G-protein coupled-receptor kinase interacting protein-1)은 중추신경계에서 dendritic spine formation와 growth에 영향을 미치는 multifunctional adaptor protein으로, GIT1이 제거된 생쥐는 과잉행동, 주의력결핍 그리고 충동성을 보이는 ADHD 증상을 보이게 된다. 이 논문에서는 GIT1 유전자 변형 생쥐를 이용하여 genotype별로 신경교세포의 전달물질(gliotransmitter)을 비교 분석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주요 흥분성 전달물질인 glutamate는 HE (hetero)와 KO (knock-out)의 세포 내에서 WT (wildtype)보다 더 높은 농도로 존재했다. 한편, 억제성 신경전달물질인 GABA와 glycine의 경우 전반적으로 HE에서 가장 많은 함유량을 보였지만 소뇌 세포내의 경우, KO이 WT보다 많은 양을 함유한 것에 비해 대뇌 세포 내에서는 KO보다 WT의 억제성 전달물질 함유량이 높았다. 또한, glutamate와 GABA를 기준으로 흥분성/억제성 비율(excitation/inhibition ratio)을 보았을 때, 소뇌 세포 내/외 모두에서 KO이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고, 대뇌에서는 세포 내/외 모두 HE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억제성 신경전달물질인 GABA가 KO의 대뇌 세포 외에서 가장 많은 것으로 보아 GIT1 결손을 보완하기 위해 억제성 물질을 더 많이 분비하거나 또는 과도하게 분비된 GABA를 재흡수하지 못하는 것이라 사료된다. 이는 ADHD 병리기전으로써 기능할 가능성을 제시하며 후속 연구를 통해 해당 기전에 대한 규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lthough the core mechanisms of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 are unknown, several ADHD-associated proteins have been studied. G-protein - coupled receptor kinase interacting protein-1 (GIT1) is a multifunctional adapter protein that affects neuron growth and dendrite formation. G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가설 설정

  • E/I ratio of GABA and Glutamate from cerebellum or cerebrum. A: Intracellular E/I ratio in cerebellar astrocytes. B:Intracellular E/I ratio in cerebral astrocytes (p value: 0.
  • G: Extracellular glutamine concentration in cerebellar astrocyte. H: Extracellular glutamine concentration in cerebral astrocyte.
  • G: Extracellular glycine concentration in cerebellar astrocyte. H: Extracellular glycine concentration in cerebral astrocyte. I: Intracellular taurine concentration in cerebellar astrocyte (p value: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Bloom, B., Jones, L. I. and Freeman, G. Vital Health Statistics, Series 10, No 258 [Internet] Hyattsville, MD: National Center for Health Statistics; 2012. [cited 2017 Jul 20]. Summary health statistics for U.S. children: National Health Interview Survey. 

  2.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Increasing prevalence of parent-reported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mong children---United States, 2003 and 2007. MMWR Morb Mortal Wkly. 

  3. Eid, T., Thomas, M. J., Spencer, D. D., Runden-Pran, E., Lai, J. C., Malthankar, G. V., Kim, J. H., Danbolt, N. C., Ottersen, O. P. and de Lanerolle, N. C. 2004. Loss of glutamine synthetase in the human epileptogenic hippocampus: possible mechanism for raised extracellular glutamate in mesial temporal lobe epilepsy. Lancet 363, 28-37. 

  4. Friedman, L. A. and Rapoport, J. L. 2015. Brain development in ADHD. Curr. Opin. Neurobiol. 30, 106-111. 

  5. Gershon, J. 2002. A meta-analytic review of gender differences in ADHD. J. Atten. Disord. 5, 143-154 

  6. Hong, S. T. and Mah, W. 2015. A critical role of GIT1 in vertebrate and invertebrate brain development. Exp. Neurobiol. 24, 8-16. 

  7. Kim, Y. S., Woo, J., Lee, C. and Yoon, B. E. 2017. Decreased glial GABA and tonic inhibition in cerebellum of mouse model for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 Exp. Neurobiol. 26, 206-212. 

  8. Menon, P., Deane, R., Sagare, A., Lane, S. M., Zarcone, T. J., O'Dell, M. R., Yan, C., Zlokovic, B. V. and Berk, B. C. 2010. Impaired spine formation and learning in GPCR kinase 2 interacting protein-1 (GIT1) knockout mice. Brain Res. 1317, 218-226. 

  9. Pastor, P., Reuben, C., Duran, C. and Hawkins, L. 2015. Association between diagnosed ADHD and selected charac teristics among children aged 4-17. NCHS. Data Brief 201. 

  10. Porter, J. T. and McCarthy, K. D. Astrocytic neurotransmitter receptors in situ and in vivo. 1997. Prog. Neurobiol. 51, 439-455. 

  11. Soo, Y. L. and Won, M. 2015. Abnormal astrocytosis in the basal ganglia pathway of Git1-/-mice. Mol. Cells 38, 540-547. 

  12. Toone, B. K. and van der Linden, G. J. H. 1997.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or hyperkinetic disorder in adults. Br. J. Psychiatry 170, 489-491. 

  13. Won, H., Mah, W., Kim, E., Kim, J. W., Hahm, E. K., Kim, M. H., Cho, S., Kim, J., Jang, H., Cho, S. C., Kim, B. N., Shin, M. S., Seo, J., Jeong, J., Choi, S. Y., Kim, D., Kang, C. and Kim, E. 2011. GIT1 is associated with ADHD in humans and ADHD-like behaviors in mice. Nat. Med. 17, 566-57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