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빅데이터를 활용한 영화 흥행에 따른 리뷰길이 변화
Changes in Review Length Based on the Popularity of Movies Using Big Data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8 no.5, 2018년, pp.367 - 375  

조용희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  박이슬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  김혜진 (연세대학교 근대한국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영화 관람 후 높은 평점을 매긴 집단과 낮은 평점을 매긴 집단 중 어느 집단이 영화에 대해 더 많은 이야기를 하는지, 즉 온라인 리뷰를 길게 작성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네이버 영화 API에서 제공하는 영화 평점과 리뷰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한국영화진흥위원회에서 제공하는 영화 손익분기점 데이터를 이용하여 영화를 흥행성공, 흥행부진, 흥행실패로 구분하여 영화 평점과 리뷰길이 간의 상관관계, 영화 개봉 전과 후, 흥행여부에 따른 리뷰길이의 특성, 마지막으로 영화 평점이 리뷰길이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aims to determine which groups leave longer(more active) online reviews(comments) on the film by separating groups, one that satisfied with the movie while the other group dissatisfied with the movie. The data used were rating scores and reviews(comments) from Naver Movie API, and break-e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영화에 만족하여 높은 평점을 매긴 집단 혹은 영화에 불만족하여 낮은 평점을 매긴 집단 중 어느 집단이 영화에 대해 더 많은 이야기를 하는지, 즉 리뷰를 길게 작성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7년 5월까지 개봉한 20개 영화의 총 123,014건(개봉 전: 11,141건 / 개봉 후: 111,873건)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평점과 리뷰길이를 분석 데이터로 활용하였다.
  • 본 연구의 의의는 영화 리뷰길이에 대한 기존의 연구가 미비한 상황에서 영화 관람 후 소비자의 만족 혹은 불만족이 리뷰 작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데이터기반 분석을 시도하여 영화 개봉 후의 결과에서 평점과 리뷰길이와의 상관관계를 발견한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온라인 영화 리뷰란 무엇인가? 영화는 경험재적 속성을 갖고 있기에 개인이 직접 소비하기 이전에 전문가 비평이나 인터넷으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온라인 영화 리뷰를 활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온라인 영화 리뷰는 영화 관람객들이 자신의 생각이나 의견 및 경험들을 자발적으로 온라인에서 표현하는 행위로 영화를 이미 관람한 이용자들이 해당 영화에 대해 평점과 후기를 공개함으로써 영화를 아직 관람하지 못한 잠재적 이용자들에게 영향을 미치게 된다[1][2]. 최근에는 인터넷과 통신기술의 발달로 이용자들이 온라인영화 리뷰를 과거보다 더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되어 그 영향력은 점점 더 커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3].
본 연구에서 리뷰의 길이가 자발성과 적극성이 반영된 결과라고 해석하는 이유는 무엇 때문인가? 영화 리뷰 작성행위가 ‘자발성’ 또는 ‘적극성’으로 이루어진다고 가정하였을 때, 리뷰의 길이는 작성자의 ‘자발성’ 또는 ‘적극성’이 반영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어휘가 많고 길이가 긴 글이 짧은 글에 비해 주제에 관한 내용 지식이 풍부하며 하고 싶은 말이 많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6-8]. 또한 글의 길이가 길다는 것은 글을 쓰려고 했던 의지가 크고, 하고 싶은 말을 많이 만들어냈거나 찾았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7][9].
본 연구에서 영화 간 분류를 위해 흥행여부를 세 그룹으로 분류하였는데, 그 분류 기준은 무엇인가? 이를 위해 2017년 5월까지 개봉한 20개 영화의 총 123,014건(개봉 전: 11,141건 / 개봉 후: 111,873건)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평점과 리뷰길이를 분석 데이터로 활용하였다. 영화 간 분류를 위해 영화의 손익분기점 달성률을 기준으로 흥행여부를 흥행성공, 흥행부진, 흥행실패 세 그룹으로 분류하였고 추가적으로 개봉 전과 후로 구분하여 총 여섯 개의 카테고리로 영화를 그룹화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박지연, 전범수, "네티즌의 흥행 영화 리뷰에 포함된 감정 동사 이용 특성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5호, pp.85-94, 2014. 

  2. A. Chakravarty, Y. Liu, and T. Mazumdar, "The Differential Effects of Online Word-ofMouth and Critics' Reviews on Pre-Release Movie Evaluation," Journal of Interactive Marketing, Vol.24, No.3, pp.185-197, 2009. 

  3. W. Duan, B. Gu, and A. B. Whinston, "Do online reviews matter?-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panel data," Decision support systems, Vol.45, No.4, pp.1007-1016, 2008. 

  4. S. W. Sussman and W. S. Siegal, "Informational Influence in Organizations: An Integrated Approach to Knowledge Adoption,"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Vol.14, No.1, pp.47-65, 2003. 

  5. M. Clement, D. Proppe, and A. Rott, "Do critics make bestsellers? Opinion leaders and the success of books," Journal of Media Economics, Vol.20, No.2, pp.77-105, 2007. 

  6. J. Chesky and E. H. Hiebert, "The effect of prior knowledge and audience on high school students' writing,"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Vol.80, No.5, pp.304-313, 1987. 

  7. 박현철, 정서 표현적 쓰기에서 글의 길이와 질(質)의 관계,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8. 서수현, "글쓰기에서의 내용 지식에 대한 개념 규정," 국어교육, 제121권, pp.107-128, 2006. 

  9. S. Brenner, Motivation to write in grades three to six, Unpublished Dissertation, University of Toronto, Canada, 2005. 

  10. 강지훈, 박찬희, 도형록, 김성범, "데이터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영화 흥행 실적 예측 기법," 대한산업공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pp.142-156, 2014. 

  11. 김유영, 송민, "영화 리뷰 감성분석을 위한 텍스트 마이닝 기반 감성 분류기 구축," 지능정보연구, 제22권, 제3호, pp.71-89, 2016. 

  12. 허민회, 강필성, 조성준, "오피니언 마이닝을 이용한 영화 흥행의 예측," 한국경영과학회 춘계공동학술대회 논문집, Vol.2013, No.5, pp.487-500, 2013. 

  13. 박승현, 장정헌, "온라인 영화 리뷰의 내용과 품질에 관한 탐색적 연구," 언론과학연구, 제12권, 제4호, pp.221-256, 2012. 

  14. 박승현, 송현주, "영화의 주별 흥행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제56권 제4호, pp.210-235, 2012. 

  15. 여등승, 임규건, "온라인 영화관련 댓글의 양과 방향성이 구전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 IT 서비스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4, pp.429-432, 2014. 

  16. K. Adwait, Lauren I. Labrecque, and Anthony K. Asare, "The Assimilative and Contrastive Effects of Word-of-Mouth Volume: An Experimental Examination of Online Consumer Ratings," Journal of Retailing, Vol.87, No.1, pp.111-126, 2011. 

  17. D. Wenjing, B. Gu, and A. B. Whinston, "The Dynamics of Online Word-of-Mouth and Product Sales―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the Movie Industry," Journal of Retailing, Vol.84, No.2, pp.233-242, 2008. 

  18. 최지은, "항상 온라인 리뷰수가 많을수록 좋은가? : 영화 평점에 대한 소비자반응을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제24권, 제7호. pp.87-103, 2013. 

  19. C. H. Wee, S. L. Lim, and M. Lewin, "Words-of-mouth communication in Singapore: With focus on effects of message-sidedness, source and user-type," Asia Pacific Journal of Marketing and Logistics, Vol.1, No.2, pp.5-36, 1995. 

  20. B. Liu, "Sentiment analysis and opinion mining," Synthesis Lectures on Human Language Technologies, Vol.5, No.1, pp.1-167, 2012. 

  21. 김근형, 오성열, "온라인 고객리뷰 분석을 통한 시장세분화에 텍스트마이닝 기술을 적용하기 위한 방법론,"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9, No.8, pp.272-284, 2009. 

  22. 장병희, 영화 흥행 요인, 커뮤니케이션북스,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