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교사의 시각적 표상 활용 실태 및 시각적 표상의 기능에 대한 인식
Elementary School Teachers' Use of Visual Representations and their Perceptions of the Functions of Visual Representations 원문보기

초등과학교육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v.37 no.2, 2018년, pp.219 - 231  

윤혜경 (춘천교육대학교) ,  박지선 (이화여자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surveyed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use of visual representations and their perceptions of the functions of visual representations in the teaching of electricity unit. A total of 110 elementary teachers who have experiences in teaching electricity unit responded to online survey.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개방형 문항으로 조사를 하는 경우, 응답자가 자신의 사례를 상세히 기술하는데 어려울 수 있어 다수의 교사로부터 양질의 데이터를 얻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직접적으로 활용 방식을 묻지 않고, 교사들이 어떠한 방식으로 시각적 표상을 활용하고자 하는지, 활용 방식에 대한 선호를 조사하는 방식을 택하였다. 즉, 흥미와 동기유발을 위해 시각적 표상을 교사 중심으로 활용하고자 하는지, 학생 중심으로 활용하고자 하는지, 개념 학습을 위해 시각적 표상을 교사 중심으로 활용하고자 하는지, 학생 중심으로 활용하고자 하는지, 과학 탐구 활동을 위해 시각적 표상을 교사 중심으로 활용하고자 하는지, 학생 중심으로 활용하고자 하는지 등 각각의 활용 방식에 대한 선호를 리커트 형태 문항에 답하고, 그 이유를 서술하도록 했다.
  • 아직 어린 학생들의 경우, 텍스트 중심의 언어 능력에 제한이 있을 수 있고, 실제 과학 교과서도 중등에 비해 시각적 표상의 비중이 높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 교사를 대상으로 시각적 표상의 준비 및 활용 실태, 자신의 시각적 표상 활용 능력에 대한 인식, 시각적 표상 활용 방식에 대한 선호, 시각적 표상의 기능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또, 선행 연구(Cook, 2011; Ozcelik & McDonald, 2013)에 의하면 교사의 시각적 표상 활용 양태는 수업 주제에 따라 많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전기의 작용’ 단원으로 한정하여 시각적 표상의 활용 실태를 살펴보고자 했다.
  • 또, 선행 연구(Cook, 2011; Ozcelik & McDonald, 2013)에 의하면 교사의 시각적 표상 활용 양태는 수업 주제에 따라 많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전기의 작용’ 단원으로 한정하여 시각적 표상의 활용 실태를 살펴보고자 했다.
  •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전기의 작용 단원 수업과 관련하여 초등교사의 시각적 표상 활용 실태, 교사 자신의 시각적 표상 활용 능력에 대한 인식, 선호하는 활용 방식, 시각적 표상의 기능에 대한 인식을 설문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연구 목적에 따른 설문 문항을 개발하고,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 그러나 시각적 교수 내용 지식(PVCK)은 아직 이론적으로 많이 논의되거나 연구된 개념은 아니다. 본 연구에서는 교사의 시각적 표상 사용과 관련해서 교사가 대체로 자신이 능력을 어떻게 평가하는지를 탐색하기 위한 설문 문항을 구조화하기 위해 이 개념들을 활용하였으나, 교수 내용 지식(PCK), 시각적 교수 내용 지식(PVCK)에 대한 구분과 이론적 논의는 이 연구의 범위를 벗어난다.
  • 요컨대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전기의 작용 단원 수업과 관련해서 초등교사의 시각적 표상 활용 실태, 교사 자신의 시각적 표상 활용 능력에 대한 인식, 선호하는 활용 방식, 시각적 표상의 기능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이로부터 초등 과학 수업 개선과 교사교육에의 시사점을 얻고자 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시각적 표상의 역할은? 과학자들의 연구 논문에는 다양한 다이어그램과 그래프가 등장하고, 학생들의 과학 교과서에도 다양한 형태의 그림, 사진, 삽화 등이 등장한다. 이러한 시각적 표상은 텍스트나 구두 언어의 보조 수단으로서 단순히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돕기 위한 것 이상의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전자현미경이나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해 촬영한 사진은 그 자체가 과학적 데이터로 활용되기도 하며, 빛의 반사나 굴절에 대한 광선 다이어그램은 빛의 성질이나 광학 현상을 이해하고 예측하는데 있어 반드시 필요한 시각적 모델이다.
시각적 표상 능력이란? 시각적 표상 능력은 과학 개념을 의사소통하고, 개념화하기 위해 시각적 표상을 해석하고, 변환하고, 생성할 수 있는 능력, 적절한 표상의 유형을 선택하고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Kozma & Russell, 2005; Nitz et al., 2014).
시각적 표상의 예는? 이러한 시각적 표상은 텍스트나 구두 언어의 보조 수단으로서 단순히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돕기 위한 것 이상의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전자현미경이나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해 촬영한 사진은 그 자체가 과학적 데이터로 활용되기도 하며, 빛의 반사나 굴절에 대한 광선 다이어그램은 빛의 성질이나 광학 현상을 이해하고 예측하는데 있어 반드시 필요한 시각적 모델이다. 즉, 시각적 표상은 과학적 데이터, 또는 과학적 모델로서 다양한 방식으로 과학적 사고와 실행에 관여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Bungum, B. (2008). Images of physics: An explorative study of the changing character of visual images in Norwegian physics textbooks. Nordic Studies in Science Education, 4(2), 132-141. 

  2. Chittleborough, G. & Treagust, D. F. (2007). Correct interpretation of chemical diagrams requires transforming from one level of representation to anothe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8(4), 463-482. 

  3. Coleman, M. & Smolkin L. (2011). Elementary teachers’ use of graphical representations in science teaching.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22(7), 613-643. 

  4. Colin, P., Chauvet, F. & Viennot, L. (2002). Reading images in optics: Students’ difficulties and teachers’ view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4(3), 313-332. 

  5. Cook, M. (2011). Teachers’ use of visual representations in the science classroom. Science Education International, 22(3), 175-184. 

  6. Dimopoulos, K., Koulaidis, V. & Sklaveniti, S. (2003). Towards an analysis of visual images in school science textbooks and press articles about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3(2), 189-216. 

  7. Eilam, B. & Gilbert, J. K. (2014). The significance of visual representations in the teaching of science. In Science teachers' use of visual representations (pp. 3-28).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8. Han, K. & Noh, S. (2003). An analysis on the utilization of teacher's guides for science in elementary school.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2(1), 51-64. 

  9. Jo, K., Jho, H. & Yoon, H.-G. (2015) Analysis of visual representations related to electromagnetism in primary and secondary science textbooks. New Physics: Sae Mulli, 65(4), 343-357. 

  10. Kim, T.-S. & Kim, B.-K. (2002). The comparison of graphing abilities of pupils in grades 7 to 12 based on TOGS (The test of graphing in scienc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2(4), 768-778. 

  11. Kozma, R. & Russell, J. (2005). Students becoming chemists: Developing representational competence. In J. K. Gilbert (Ed.), Visualizations in Science Education (pp. 121-146). Dordrecht, The Netherlands: Springer. 

  12. Liu, Y., Won, M. & Treagust, D. F. (2014). Secondary biology teachers' use of different types of diagrams for different purposes. In Science teachers' use of visual representations (pp. 103-121). Dordrecht, The Netherlands: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13. McKenzie, D. L. & Padilla, M. J. (1986). Th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the test of graphing in science (TOG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3(7), 571-579. 

  14. Nitz, S., Ainsworth, S., Nerdel, C. & Prechtl, H. (2014). Do student perceptions of teaching predict the development of representational competence and biological knowledge? Learning & Instruction, 31, 13-22. 

  15. Ozcelik, A. T. & McDonald, S. P. (2013). Preservice science teachers’ uses of inscriptions in science teaching.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24(7), 1103-1132. 

  16. Park, S. & Oliver, J. S. (2008). Revisiting the conceptualisation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PCK as a conceptual tool to understand teachers as professionals.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8(3), 261-284. 

  17. Shulman, L. (1987). Knowledge and teaching: Foundations of the new reform. Harvard Educational Review, 57(1), 1-23. 

  18. Strauss, A. & Corbin, J. M. (1990).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 Thousand Oaks, US: Sage Publications, Inc. 

  19. Tippett, C. D. (2016) What recent research on diagrams suggests about learning with rather than learning from visual representations in sc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8(5), 725-746. 

  20. Topsakal, U. U. & Oversby, J. (2013). What do scientist and non-scientist teachers notice about biology diagrams? Journal of Biological Education, 47(1), 21-28. 

  21. Yoon, H.-G., Jo, K. & Jho, H. (2017). Secondary teachers’ perception about and actual use of visual representations in the teaching of electromagnetis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7(2), 253-26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