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빛의 반사 현상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의 시각적 모델링 과정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Visual Modeling Process for Reflection of Light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41 no.1, 2021년, pp.19 - 32  

윤혜경 (춘천교육대학교) ,  이인선 (충북대학교) ,  박정우 (서울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빛의 반사 현상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의 시각적 모델링 과정을 Halloun (2004)이 제안한 모델링 사고의 세 측면, 정합성(coherence), 대응성(correspondence), 통약성(commensurability)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초등 예비교사 20명이 참여하였으며 무작위로 2명씩 짝을 이루어 빛의 반사 현상을 관찰하고 이에 대한 시각적 모델을 처음에는 개인적으로 그리고 이후에는 협동적으로 구성하도록 하였다. 개인적 모델과 협동적 모델을 비교한 결과 특별한 교육적 처치가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일부 모둠에서 대응성과 통약성 수준이 다소 높아졌다. 또한, 이들의 추론 과정에서 세 가지의 주요한 특징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반사의 법칙을 적용하는 통약성 수준은 상황에 따라 유동적으로 계속 변했고 구두 설명과 그림 설명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둘째, 시각적 모델링 과정에서 통약성, 정합성보다 대응성을 우선으로 고려하는 경우가 많았다. 셋째, 대응성과 통약성이 서로 갈등하는 상황에서 참여자들은 보조 가설에 대한 검토 및 수정을 통해 이 갈등을 해결하고 추론을 발전시켜 나갔다. 이러한 연구 결과가 모델링 활동을 효과적으로 지도하는데 주는 몇 가지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visual modeling process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on the reflection of light. The analytical framework was developed from three aspects; coherence, correspondence, and commensurability of the modeling thinking proposed by Halloun (2004). 20 pre-service element...

주제어

표/그림 (14)

참고문헌 (27)

  1. Bendall, S., Goldberg, F., & Galili, I. (1993).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prior knowledge about ligh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0(9), 1169-1187. https://doi.org/10.1002/tea.3660300912 

  2. Carey, S., & Smith, C. (1993). On understanding the nature of scientific knowledge. Educational Psychologist, 28(3), 235-251. https://doi.org/10.1207/s15326985ep2803_4 

  3. Clement, J. (1989). Learning via model construction and criticism. Protocol evidence on sources of creativity in science. In G. Glover, R. Ronning, and C. Reynolds (Ed.) Handbook of Creativity: Assessment, Theory and Research (pp. 341-381) New York, NY: Plenum. 

  4. Cho, H. S. & Nam, J. (2017). Analysis of trends of model and modeling-related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7(4), 539-552. https://doi.org/10.14697/jkase.2017.37.4.539 

  5. Fetherstonhaugh, T., & Treagust, D. F. (1992). Students' understanding of light and its properties: Teaching to engender conceptual change. Science Education, 76(6), 653-672. 

  6. Giere, R. N. (2005). Understanding scientific reasoning. Boston: Cengage Learning. 

  7. Halloun, I. (2004). Modeling theory in science education. Boston: Kluwer Academic Publishers. 

  8. Harrison, A. G., & Treagust, David F. (2000). A typology of school science model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2(9), 1011-1026. https://doi.org/10.1080/095006900416884 

  9. Heywood, D. S. (2005). Primary trainee teachers' learning and teaching about light: Some pedagogic implications for initial teacher training.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7(12), 1447-1475. https://doi.org/10.1080/09500690500153741 

  10. Justi, R. S., & Gilbert, J. K. (2002). Modelling, teachers' views on the nature of modelling, and implications for the education of modeller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4(4), 369-387. https://doi.org/10.1080/09500690110110142 

  11. Kang N.-H., Choi, W.-H., Lee, J.-K., & Kwak, Y.-S. (2020). Secondary school science education. Seoul: Kyoyookbook Publication Co. 

  12. Kuhn, T. S. (1962). 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s. Chicago, I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3. Kwon, G. P. (2013). Elementary school teachers' understanding of image.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2(4), 527-534. https://doi.org/10.15267/keses.2013.32.4.527 

  14. Kwon, G. P., Bang, S. Y., Lee, S. M., & Lee, G. H. (2006). Context-dependency of students' conceptions in optics: Focused on vision & mirror imag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6(3), 406-414. 

  15. Langley, D., Ronen, M., & Eylon, B. S. (1997). Light propagation and visual patterns: Preinstruction learners' conception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The Official Journal 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4(4), 399-424. https://doi.org/10.1002/(SICI)1098-2736(199704)34:4 3.0.CO;2-M 

  16. Lave, J. & Wenger, E. (1991). Situated learning: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 Cambridge, UK: University of Cambridge Press. 

  17. Lee, D. (2015). Middle school students' and science teachers' conceptual world and modeling of color perception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8. Lee, J., Kim, D., & Kim, J. (2014).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eer instruction materials for in-service teachers' training through ray drawing: Focus on refraction of light.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8(1), 182-195. 

  19. Ministry of Education (2015). Science curriculum. MOE Notification No. 2015-74 [supplement 9]. 

  20. Mumba, F., Mbewe, S., & Chabalengula, V. M. (2015). Elementary school teachers' familiarity, conceptual knowledge, and interest in light.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7(2), 185-209. https://doi.org/10.1080/09500693.2014.971906 

  21. National Research Council (2012). A framework for K-12 science education: Practices, crosscutting concepts, and core ideas.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22. Oh, P. S., & Lee, J. S. (2014). Criteria for evaluating scientific models used by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4(2), 135-146. https://doi.org/10.14697/jkase.2014.34.2.0135 

  23. Park, J., Lee, S., Shim, H., Lee, G., & Shin, M. (2018).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modeling and epistemic criteria with the blackbox simulation progra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8(3), 305-317. https://doi.org/10.14697/jkase.2018.38.3.305 

  24. Park, H., Choi, J., Kim, C., Kim, H. Yoo, J., Jang S., & Choe, S. (2016). The change in modeling ability of science-gifted students through the co-construction of scientific model.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6(1), 15-28. https://doi.org/10.14697/jkase.2016.36.1.0015 

  25. Reiner, M. (1998). Thought experiments and collaborative learning in physic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0(9), 1043-1058. https://doi.org/10.1080/0950069980200903 

  26. Schwarz, C. V., & White, B. Y. (2005). Metamodeling knowledge: Developing students' understanding of scientific modeling. Cognition and Instruction, 23(2), 165-205. https://doi.org/10.1207/s1532690xci2302_1 

  27. van Zee, E. H., Hammer, D., Bell, M., Roy, P., & Peter, J. (2005). Learning and teaching science as inquiry: A case stud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vestigations of light. Science Education, 89(6), 1007-1042. https://doi.org/10.1002/sce.2008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