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재제조에서 제품 해체 및 재조립 공정의 상해 위험성평가
Injury Risk Analysis for Product Disassembly and Reassembly Process in Remanufacturing 원문보기

한국안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33 no.2, 2018년, pp.112 - 123  

정재영 (부산대학교 산업공학과) ,  박상진 (부산대학교 산업공학과) ,  손우현 (부산대학교 산업공학과) ,  목학수 (부산대학교 산업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we focused on the safety of workers in a remanufacturing process where a risk analysis is not carried out and suggested a criteria for evaluating injury risk. We analyzed a disassembly and a reassembly, which are important for the remanufacturing process. The disassembly includes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열악한 근로 환경을 가진 재제조 공정을 대상으로 작업자의 상해 발생에 관한 위험성 평가를 실시하고자 한다. Fig. 1의 연구 진행 개요와 같이 대상 재제조 공정이 가진 위험 요소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심각도와 발생도를 산출하여 위험성평가를 실시함으로써 추후 재제조 시스템 구축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 상해위험성을 구하는 식은 덧셈을 이용한 방법과 곱셈을 이용한 방법이 있다. 발생도와 심각도가 정수로 나타날 경우 곱으로 상해위험성을 구하는 것이 두 값을 더해서 구할 때보다 발생도와 심각도의 작은 변화에도 편차가 크게 나타나지만 본 논문에서는 심각도와 발생도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해 위험성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 경우, 발생도와 심각도가 소수로 나타나는데 소수는 곱셈보다 덧셈에서 그 편차가 크게 나타난다.
  • 본 논문에서는 선행 위험성평가가 존재하지 않는 재제조 공정에서 제품 해체 및 조립 공정을 대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상해의 종류를 파악하고 해당 공정이 가진 상해 위험성을 평가함으로써 추후 재제조 시스템구축에서 안전성 확보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 발생도는 1점에서 5점까지, 심각도는 1점에서 4점까지의 점수로 표현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상해 위험성을 3단계로 분류하되 심각도가 Ⅳ에 해당하는 공정은 A단계의 상해 위험성을 가진 공정으로 분류하고자 한다. 이는 심각도가 높은 공정은 발생도가 높은 공정보다 작업자에게 위험을 끼치는 정도가 높으니 빠른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를 Fig.
  • 본 연구에서는 작업현장의 요인으로 인해 발생했다고 평가하기 어려운 정신적 상해는 고려하지 않고 육체적인 상해를 재제조 공정에서 발생 가능한 상해로 분류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열악한 근로 환경을 가진 재제조 공정을 대상으로 작업자의 상해 발생에 관한 위험성 평가를 실시하고자 한다.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재제조의 기능 및 장점은? 재제조는 자원순환형 개념의 가장 발전된 기술로서, 신품 제조에 비해 자원 또는 에너지소비율이 현저히 낮으며 생산 비용도 20~30% 정도로 경제성이 높고, 몇 번이든 제품 그 자체로서 녹이거나 파괴시키지 않고 순환시킬 수 있어 재활용비율 목표 달성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1). 이와 같이 재제조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현실에 반해 작업자의 안전 관리, 작업 환경은 열악한 실정이다.
재제조란? 재제조란 고장, 폐기 또는 교환된 물건을 회수하여 분해, 세척, 검사 보수 및 조정, 재재조립 등의 과정을 거쳐 신제품과 같은 상태로 회복시키는 일련의 과정을 의미한다. 적은 비용, 자원 또는 에너지로 몇 번이든 제품 그 자체로서 녹이거나 파괴시키지 않고 순환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의 물질재활용과는 차별화된다.
재제조가 기존의 물질재활용과 차별화되는 점은 무엇인가? 재제조란 고장, 폐기 또는 교환된 물건을 회수하여 분해, 세척, 검사 보수 및 조정, 재재조립 등의 과정을 거쳐 신제품과 같은 상태로 회복시키는 일련의 과정을 의미한다. 적은 비용, 자원 또는 에너지로 몇 번이든 제품 그 자체로서 녹이거나 파괴시키지 않고 순환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의 물질재활용과는 차별화된다. 제조 공정과 비교한 재제조 공정의 특징은 Fig.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H. S. Mok, C. S. Jeon, C. H. Han, S. J. Park, H. Sagong and S. Gunther, "Remanufacturing Industry for Automobile Parts of European," Transactions of Korea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Vol. 19, No. 1, pp. 38-44, 2011. 

  2. S. H. Ko, “The Situations of Korean Automotive Parts Remanufacturing Industry and Activation Plan,” Auto Journal, Vol. 37, No. 11, pp. 7-52, 2015. 

  3. C. W. Nam, H. K. Lee, H. J. Kim, R. M. Kim, D. H. Jeong, H. S. Song, C. S. Ha and C. K. Kang, "A Study of Failure Analysis of used Common Rail Diesel Engine and Performance Comparison Remanufactured Engine," Conference Proceeding of Korea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Vol. 2015, No. 5, 2015. 

  4. J. H. Ha, W. S. Woo, Y. H. Roh and C. M. Lee,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tandardization Technology for Remanufacturing Process of Used Vertical Machining Center,”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recising Engineering, Vol. 34, No. 8, pp. 517-524, 2017. 

  5. T. W. Yoo, J. H. Beak, S. W. Hong and K. R. Jung, “Status of Automotive Parts Remanufacturing Industry and Strategies for Activating Its Domestic Market,” Auto Journal, Vol. 34, No. 2, pp. 45-54, 2012. 

  6. Y. S. Byun, “A Study on the System Design of Chemical Process using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Methodology,”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Vol. 18, No. 6, pp. 32-39, 2014. 

  7. H. W. Jeon, I. S. Jung and C. S. Lee, “Risk Assessment for Reducing Safety Accidents caused by Construction Machinery,” J. Korean Soc. Saf., Vol. 28, No. 6, pp. 64-72, 2013. 

  8. C. H. Tae, H. S. Lee, C. H. Byun, J. M. Yang, C. H. Park and J. W. Ko, “A Study on Risk Analysis of Manufacturing Process Using the Bow-Tie Method,”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Vol. 17, No. 3, pp. 33-38, 2013. 

  9. H. M. Kim and I. S. Woo, “A Study of Methods on Risk Assessment for Plant Construction using FMEA(Failure Mode and Effect Analysis),” J. Korean Soc. Saf., Vol. 28, No. 4, pp. 81-90, 2013. 

  10. S. B. Choi, "Industrial Safety Unabridged Dictionary" -Injury, Gold, 2004. 

  11.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Statistics on Occupational Accidents in 2016,"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2017.09, http://www.kosha.or.kr/www/boardView.do?contentId373086&menuId554&boardTypeA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