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루머의 사실성·파급력과 소셜 미디어를 통해 형성된 공중의 관계: 사드배치 관련 루머의 확산 네트워크 분석
The relationship between factuality, the Influence of rumors and types of public via social media: A network analysis of rumor diffusion on THAAD 원문보기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18 no.6, 2017년, pp.113 - 125  

홍주현 (School of Communication, Kookmin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루머가 일상화된 사회에서 이 연구는 루머의 속성에 따라 소셜 미디어에서 확산되는 루머의 양과 상호작용에 차이가 있는지 규명하고자 사례 분석과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했다. 먼저 사드배치와 관련된 루머를 사실성과 파급력을 기준으로 핵심적 진술, 주변적 진술, 핵심적 소문, 주변적 소문으로 구분했다. 노드의 양과 상호작용을 기준으로 소셜 미디어에서 확산된 의견을 분류하고 공중을 분산적 군중, 견고한 군중, 분산적 소수, 견고한 소수로 개념화했다. 분석 결과 이용자들은 핵심적 소문을 가장 활발하게 확산시켰으며, 주변적 소문, 핵심적 진술, 주변적 진술 순으로 확산됐다. 사실성보다는 파급력이 루머의 확산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자들은 사실과 같은 정보를 담고 있는 루머보다는 정보량은 적어도 파급력이 큰 것에 더 주목했다. 소문에 대해서는 견고한 군중이 형성되었고, 진술에 대해서는 소수가 형성되어 루머의 확산과정에 차이를 나타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focu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volume of rumors and types of rumors via social media based on case studies and network analysis. Rumors are classified into core statement, peripheral statement, core gossip, and peripheral gossip based on their factuality and influence. The diffusio...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파급력에 따른 소문과 루머는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 이용자들은 사실과 같은 정보를 담고 있는 루머보다는 정보량은 적어도 파급력이 큰 것에 더 주목했다. 소문에 대해서는 견고한 군중이 형성되었고, 진술에 대해서는 소수가 형성되어 루머의 확산과정에 차이를 나타냈다.
사드배치와 관련된 루머를 어떻게 구분하였는가? 루머가 일상화된 사회에서 이 연구는 루머의 속성에 따라 소셜 미디어에서 확산되는 루머의 양과 상호작용에 차이가 있는지 규명하고자 사례 분석과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했다. 먼저 사드배치와 관련된 루머를 사실성과 파급력을 기준으로 핵심적 진술, 주변적 진술, 핵심적 소문, 주변적 소문으로 구분했다. 노드의 양과 상호작용을 기준으로 소셜 미디어에서 확산된 의견을 분류하고 공중을 분산적 군중, 견고한 군중, 분산적 소수, 견고한 소수로 개념화했다.
루머가 사회 전체로 급속하게 확산된 부분에 가장 큰 역할을 한 것은 무엇인가? 사건·사고 발생 직후 소셜 미디어를 통해 ‘세월호 괴담,’ ‘메르스 루머’ 등 검증되지 않은 정보가 순식간에 확산되면서 정부의 정책홍보 및 위기관리에 문제가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었다. 루머가 사회 전체로 급속하게 확산된 데에는 트위터와 같은 소셜 미디어의 역할이 컸다[1]. 바로 입소문(word of mouth)을 통해 루머가 순식간에 퍼졌기 때문이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Tanaka, Y., Sakamoto, Y. & Matsuka, T. "Transmission of Rumor and Criticism in Twitter after the Great Japan Earthquake," 2387-2392. 2007. file:///C:/Users/User/Downloads/SSRN-id2150290.pdf 

  2. Kosta, J., Oswald, Y.O. & Wattenhofer, R., "Word of Mouth: Rumor Dissemination in Social Networks," http://82.130.102.95/publications/sirocco08KOW.pdf 

  3. Holthoefer, J. & Moreno, Y., "Absence of Influential spreaders in rumor dynamics," http://journals.aps.org/pre/abstract/10.1103/PhysRevE.85.026116 

  4. Young, C., . Block of Rumor Diffusion via Internet,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report., 2011 

  5. Dalziel, G., Rumor and Communication in Asia in the Internet Age.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2016. 

  6. Mendoza, M., Problete, B., & Castillo, C., "Twitter under crisis: Can we trust what we RT?," 2010. http://research.yahoo.com/files/mendoza_poblete_castillo _2010_twitter_terremoto.pdf 

  7. Zhao, Z., Resnick, P. & Mei, Q., Enquiring Minds: Early Detection of Rumors in Social Media from Enquiry Post," 1395-1405. WWW 2015, May 18-22, 2015, Florence, Italy. http://www.www2015.it/documents/proceedings/proceedings/p1395.pdf 

  8. Difonzo, N. & Bordia, P., "Rumors Influence: Toward a Dynamic Social Impact Theory of Rumor," 2007,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285839790_Rumors_influence_Toward_a_dynamic_social_impact_theory_of_rumor 

  9. Kweon, G. M. & Cho, S.Y. "The Influence of Information Type, Pre attitude of the Parties to Rumor and Pre information on the Diffusion of Rumor," Journal of Public Relations Research, pp. 1-25. 2017. 

  10. Liao, Q. & Shi, l., "She Gets a Sports Car from Our Donation: Rumor Transmission in a Chinese Microblogging Communicty," CSCW' 13, Feb. 23-27. San Antonio, USA. 

  11. Jin, F., Dougherty, E., Saraf, P., Cao, Y. & Ramakrishnan, N., "Epidemiological Modeling of News and Rumors on Twitter," The 7th SNA-KDD Workshop '13, August 11, 2013. Chicago, United States. 

  12. Liu, D. & Chen, X., "Rumor Propagation in Online Social Networks Like Twitter- A Simulation Study," 2011 Thi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ultimedia Information Networking and Security. IEEE computer society. 

  13. Ratkiewicz, J., Conover, M., Meiss, M., Goncalves, B., & Flammini, F., "Detection and tracking political abuse in social media," Proceedings of the Fifth International AAAI Conference on Weblogs and Social Media. pp. 297-304. 2011. www.aaai.org/ocs/index.php/ICWSM/ICWSM11/paper/download/.../3274. 

  14. Yoo, Y. J. & Kim, S. Y,, "Testing the Acceptance and Diffusion Model of Internet Rumor : Focusing on Helping Motivation for Nuclear Risk Information," Crisisonomy, Vol. 1. No. 9, pp.19-37. 2016. 

  15. Lee., H. G. "Brand Rumor Transmission in Twitter :Moderating Roles of Informational Quality," PR Practice Research, Vol. 8, No. 3, pp. 125-143. 

  16. Soni, S., Mitra, T., Gilbert, E. & Eisenstein, J., "Modeling Factuality Judgements in Social Media Text," 2014. http://comp.social.gatech.edu/papers/acl14.modeling.soni.pdf 

  17. Difonzo, N. & Bordia, P., "Rumors Influence: Toward a Dynamic Social Impact Theory of Rumor," in the Science of Social Influence edited by Pratkanis, R, A,. pp. 260-293. 2017. (Psychology Press: NY). 

  18. Rosnow, R. L. & Foster, E. K., "Rumor and Gossip Research,"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Psychological Science Agenda, April 2005. http://www.apa.org/science/about/psa/2005/04/gossip.aspx 

  19. Coombs, W. T., On going crisis communication. Thousand Oak: CA, Sage. 1999. 

  20. Coombs,W.T., Protecting Organization Reputations During a Crisis: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ituational Crisis Communication Theory. Corporate Reputation Review, Vol. 10, no. 3, pp. 163-176, 2007. 

  21. Hong, J.H. & Cha, H.W. "Network Types of Issue Diffusion based on Probability and Ripple Effect of Crisis Issue," Korea Journalism Studies, No. 59, Vol. 2, pp. 365-395, 2015. 

  22. Trottier, D. & Fucks, C. Social Media, Politics and the State: Protests, Revolutions, Riots, Crime and Policing in the Age of Facebook, Twitter and Youtube. Routledge:New York. 2015. 

  23. Honeycutt, C., & Herring, S.C. "Beyond microblogging: Conversation and collaboration via Twitter," HICSS:Hawaii International Conference, 2009. 

  24. Scott, J. Social Network Analysis. Third Edition: SAGE Publications Ltd.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