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통문화 수준별 교통사고 심각도 분석
Analysis of Accident Severity by the Level of Traffic Culture 원문보기

한국안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33 no.1, 2018년, pp.142 - 147  

김태양 (충북대학교 도시공학과) ,  박병호 (충북대학교 도시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analyze and discuss the accidents based on the level of traffic culture (LOT). In pursuing the above, LOT a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based on the standardized index of traffic culture. Also, this study focuses on developing the accident models using GLM (generalized linea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Bao et al.은 미국 로스앤젤레스를 대상으로 도시지역 시민들의 행태가 존 내 교통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보행자 사고에는 식사⋅오락⋅교육 행태, 그리고 차대차 사고에는 쇼핑과 사회활동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하였다12).
  • 이 연구는 교통문화 수준별 사고 심각도 분석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표준화된 교통문화지수가 3개 수준(상⋅중⋅하)으로 구분되며, 각 수준별 사고 모형의 개발에 중점을 둔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통문화 수준이 ‘상’인 지역에서 보행자, 이륜차 운전자의 안전에 중점 두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상’ 그룹은 교통문화지수가 높아 다른 지역에 비해 교통문화 수준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며, 주로 구(區) 지역의 비중이 높다. 구(區)는 시가화가 대부분 완료된 지역으로, 인구가 많고 통행행태가 다양하다. 자동차등록대수가 많을수록 자차통행비율이 높으며, 교통량 또한 증가되어 사고 심각성이 높아질 것으로 평가된다. 반면 이륜차 운전자의 안전모 착용률과 보행자의 횡단보도 신호 준수율은 기본적인 교통법규 준수율과 관련된 항목으로, 수준이 높을수록 사고 심각성 감소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교통문화 수준이 ‘상’인 지역에서는 보행자와 이륜차 운전자의 안전에 중점을 두어, 이륜차 안전모 착용 및 보행 신호 준수를 위한 캠페인 등이 필요할 것으로 평가된다.
교통사고의 발생 원인은 무엇이 있는가? 교통사고의 발생에는 도로환경 및 차량, 그리고 인적 요인이 단일 또는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이 중 인적 요인에 의한 교통사고에는 운전자들의 교통안전 의식이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의식 수준들이 한 지역의 교통문화(traffic culture) 형성에 영향을 미치며, 이를 계량화한 항목이 교통문화지수다.
교통문화지수란 무엇인가? 교통사고의 발생에는 도로환경 및 차량, 그리고 인적 요인이 단일 또는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이 중 인적 요인에 의한 교통사고에는 운전자들의 교통안전 의식이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의식 수준들이 한 지역의 교통문화(traffic culture) 형성에 영향을 미치며, 이를 계량화한 항목이 교통문화지수다. 기존 연구는 교통문화지수 조사사업 또는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인과관계 분석이 대부분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J. H. Kim, J. H. Na and D. M. Lee, "Transport Culture - Optimistic Bias, Attribution Tendency, Reckless Driving", Journal of Culture Industry, Vol. 16, No. 4, pp. 189-195, 2016. 

  2. T. H. Kim, Y. C. Shin, S. J. Lim and J. T. Park, "An Empirical Study of Influence Relationship on Traffic Culture Index (TCI) utilizing PLS-SEM(Structural Equation Model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and Safety, Vol. 28, No. 2, pp. 78-83, 2013. 

  3. J. M. Chai, J. H, Lee and B. S. Son, "The Impact of Regional Transportation Culture in Pedestrian Accident Severity",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pp. 452-467, 2014. 

  4. J. W. Jin, "Changes and Improvements of Transport Culture Index Survey Project(TCISP)", Journal of Culture Industry, Vol. 13, No. 3, pp. 87-95, 2013. 

  5. K. D. Kwon and J. W. Jin, "Change of Transport Culture Index(TCI) and Desirable Improvement Strategies for Seoul", Journal of Culture Industry, Vol. 15, No. 4, pp. 101-107, 2015. 

  6. I. K. Kim, J. H. Na, K. M. Jung and J. W. Jin, "Change of Transport Culture Index(TCI) and Desirable Improvement Strategies for Medium Cities", Journal of Culture Industry, Vol. 17, No. 2, pp. 99-106, 2017. 

  7. T. Y. Kim, Y. H. Kim and B. H. Park, "Analysis of Traffic Culture and Accident in Korea",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Vol. 52, No. 5, pp. 79-88, 2017. 

  8. J. Y. Hong, S. B. Lee and J. H. Kim, "Development of Traffic Accident Frequency Prediction Model by Administrative Zone - A Case of Seou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 Vol. 35, No. 6, pp. 1297-1308, 2015. 

  9. K. H. Kim, T. H. Beak, J. K. Lim and B. H. Park, "Traffic Accident Density Model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 of the Traffic Analysis Zone in Cheongju",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Vol. 17, No. 6, pp. 75-83, 2015. 

  10. N. Y. Park, T. Y. Kim and B. H. Park, "Development of Accident Density Model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and Safety, Vol. 32, No. 3, pp. 130-135, 2017. 

  11. L. T. Truong, L. M. Kieu and T. A. Vu, "Spatio-temporal and Random Parameter Panel Data Models of Traffic Crash Fatalities in Vietnam",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Vol. 94, pp. 153-161, 2016. 

  12. J. Bao, P. Liu, H. Yu and C. Xu, "Incorporating Twitter- based Human Activity Information in Spatial Analysis of Crashes in Urban areas",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Vol. 106, pp. 358-369, 20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