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수업과 연계한 수학 클리닉 상담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Math Clinical Counseling based on Connection with Clas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v.32 no.2, 2018년, pp.113 - 129  

김홍겸 (이호중학교) ,  고호경 (아주대학교)

초록

근래 들어 수학 학습 부진아들을 위해 수학클리닉과 관련된 연구가 많이 수행되고 있지만 수학 수업과는 별개의 상담을 실시하거나 수학 학습 상담과는 무관한 기초학습 지도에 초점을 둔 연구가 대부분이다. 본 연구는 수학 학습 상담이 수학 수업과 무관할 수 없다는 관점에 따라 수학 클리닉 상담을 수업과 연계하여 실시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즉, 학생이 호소하는 인지적, 정의적, 수업 활동에서의 문제점을 수학 수업과 연계시키면서 수학 클리닉 상담을 통해 개입하는 사례를 보이고자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importance of mathematics is increasing as human beings are enter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from the information society. In response to this trend, the government is also paying a lot of attention to math education by addressing 2012 mathematics education as 'the year of mathematics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학 클리닉 상담은 무엇인가? 이러한 프로그램 중의 하나가 ‘수학 클리닉 상담’이다. ‘수학 클리닉 상담’은 학생들이 수학 수업에 있어서의 어려움을 개선할 수 있도록 상담의 형태로 제공하는 일종의 학습상담이다(고호경 외, 2017). 하지만 기존의 관련 선행 연구 혹은 시행 사례는 대부분 수업과는 연계되지 못하고 동떨어져 있거나 수학페스티벌과 같은 형태의 일부로 일회성 행사에 그치고 있는 것이 대부분이다.
수학 학습 부진아가 발생하는 원인에는 어떤 요인이 있는가? 수학 학습 부진아가 발생하는 원인은 많은 선행연구들의 결과에 따르면 수학교과 내의 특성 및 학습자 내부의 요인, 그리고 교사 요인 등으로 밝혀졌다(박성익, 1989; 정인석, 1992; 문혜영, 2003; 배지혜, 2007; 남미선 외, 2008). 이러한 요인들 중 한 가지가 학습자에게 지배적으로 작용하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 몇 가지의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모습을 보인다(진선미, 2007).
정부가 수학교육 선진화 방안을 발표한 이유는 무엇인가? 21세기에 진입하면서 수학의 중요성은 점차 더 강화되고 있다. 현재의 수학은 여러 가지 인접한 학문에서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다. 정부는 이러한 기조에 발맞춰 2012년 1월에 수학교육 선진화 방안을 발표하고 이를 실천하기 위한 여러 구체적인 계획을 세우고 추진했다(교육과학기술부,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고호경.양길석.이환철 (2015). 수학 학습 상담을 위한 진담 검사지 개발 연구. 수학교육 논문집, 29(4). 723-743. Ko, H., Yang, K., & Lee, H. (2015). Development of the Diagnostic Worksheet for Mathematics Academic Counseling. J. Korea Soc. Math. Ed. Ser. 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29(4). 723-743. 

  2. 고호경 외 (2017). 수학나눔지원단 운영. 한국과학창의재단 연구보고서, 2017-1. Ko, H. K. et al. (2017). Managing the mathematics learning support group. The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Creativity. Research Report, 2017-1. 

  3. 교육과학기술부 (2012). 수학교육선진화방안 보도자료.(2012.01.10.)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2) Press Release(2012.01.10) : Plan for developing Mathematics Education. 

  4. 권혁진.김민경.이은영 (2006). 학습 부진아 수학 클리닉 운영 사례.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9(1), 19-40. Kwean, H., Kim, M., & Lee, E. (2006). Math Clinic for the Learning Disabilities.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9(1), 19-40. 

  5. 김용래(1986). 발달단계에 따른 학업적 자아개념 및 지능과 학업성적간의 상관.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Kim, Y(1986). Correlation between Self-Concept or Intelligence and Academic Achievement with Developmental Stag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yungsang University. 

  6. 류성림(2000a). 수학 학습 부진아의 특성과 인지적 요인. 과학수학교육 뉴스레터 7호. Ryu, S. (2000a). Characteristics and Cognitive Factors of Mathematics. Underachievers Science and Mathematics Newsletter. 7th issue 

  7. 문혜영 (2003). 수학 학습부진의 원인 분석.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수학교육전공. 석사학위 논문. Moon, H.(2003). Cause Analysis for The Poor Learning in Mathematics. Major in Mathematics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ungshin Women's University. 

  8. 박만구.남미선(2008). 서술 및 면담평가를 통한 수학 학습 부진아의 인지적.정의적 특성분석. 수학교육 논문집, 22(2), 229-252. Park, M. & Nam, M. (2008). Analyses on the Cognitive and Affective Characteristics ot the Mathematically Underachievers by Descriptive tests and Interviews. J. Korea Soc. Math. Ed. Ser. 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22(2), 229-252. 

  9. 박성익 (1989). 학습부진아 교육. 서울 : 한국교육개발원. Park, S. (1989). Teachings of Underachievers. Seoul:KEDI. 

  10. 배지혜 (2007). 발표수업을 활용한 수학 부진아 지도.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Bae, J. (2007) On Teaching Slow Learners In Mathematics Through Presentation Class. Department of Mathematic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11. 서울대학교 학습창의센터 역(2013). 학습동기 : 이론, 연구 그리고 교육. 서울: 학지사. Center for Learning Science amd Creative Talent Development (2013). Motivation in Education(3rd Ed.). Seoul: Hakjisa. 

  12. 안미경 (2009). 동료멘토링을 통한 수학 학습 부진아의 일차함수 학습에 대한 사례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An, M. (2009). A Case study on learning linear function of mathematical underachiever through the Peer Mentoring. Major in Mathematics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Ewha Womans University. 

  13. 오황균 (2004). 자기조절학습전략이 수학학습부진아의 사칙연산능력에 미치는 영향. 나사렛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Oh, H. (2004). The Effect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on the Calculation Ability of Children With Learning Difficulties in Mathematics. Major in Special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rea Nazarene University. 

  14. 이금초(1994). 수학불안의 주요변인들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Lee, G. (1994) A Study on Some Variables in Math Anxiety. Department of Mathematic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15. 이대식.황매향 (2011). 학습부진학생의 이해와 지도(제2판). 서울 : 교육과학사. Lee, D. & Hwang, M. (2011) Understanding and Teachings of Underachievers.(2nd Ed.) Seoul: Koyookbook 

  16. 이명우 (2017). 효과적인 상담을 위한 사례개념화의 실제. 서울 : 학지사. Lee, M. (2017). A practice of Case Formulation for Effective Counseling. Seoul:Hakjisa. 

  17. 이은숙 (2003). 한 여고생이 겪는 수학학습의 어려움에 대한 사례연구.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Lee, E (2003) A Qualitative Case Study on Investigating the Factors Causing Difficulties of Mathematics Learning of a Female High School Student. Department of Mathematic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Yeungnam University. 

  18. 이재규 (2013). 학습상담. 서울: 학지사. Lee, J. (2013). Counseling and consulting for learning. Seoul: Hakjisa. 

  19. 이희연.고호경(2016). 수학 학습 상담 전문성 신장을 위한 자기연구. 수학교육 논문집, 30(2), 225-249. Lee, H & Kom H.(2016). Enhancing Expertise as Math Academic Counselor : Self-study for Math Teacher. J. Korea Soc. Math. Ed. Ser. 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30(2), 225-249. 

  20. 정인석 (1992). 중학교 수학 학습 부진아를 위한 효율적인 지도연구.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Jung, I .(1992). The Study of Effective Teaching for Underachievers in the Middle School Mathematics. Department of Mathematic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1. 조시오 (2010). 여자고등학교 학생의 학습양식과 수학적 성향, 수학불안 요인, 수학성취와의 관계.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Cho, S. (2010). The Relationship among Learning Styles, the Mathematical Disposition, Factors of Mathematical Anxiety and Mathematical Achievement of Girls' High School Students. Department of Education. Wonkwang University. 

  22. 주영주.이종희.김선희(2011). 수학교과에서 남녀 집단간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흥미, 외적 동기 및 학업성취도의 영향력 차이검증. 교과교육학연구, 15(4), 1019-1041. Joo, Y., Lee, C., & Kim, S.(2011) Comparison Study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on Academic Self-efficacy, Interest, External Motivation, and Mathematics Achievement of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and Instruction, 15(4), 1019-1941. 

  23. 진선미.송영무 (2007). 중학교 3학년 수학 학습 부진아가 함수 분야에서 겪는 어려움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학교수학회 논문집, 10(2), 189-206. Jin, S. & Song, Y. (2007). A Case Study on the Difficulties in the Area of Function Suffered by the 3rd Grade Middle School Mathematics Underachievers.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10(2), 189-206. 

  24. 채무석 (2001). 수학과 학습 부진아 지도 방안.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수학전공 석사학위 논문. Chae, M. (2001). A study on the scheme for under achievers of Elementary mathematics. Major in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25. 한국과학창의재단. (2015) 수학클리닉 사전진단검사 매뉴얼(중등) Kofac (2015). A manual for Mathematics Clinic Pretest for Middle School. 

  26. 한내여자중학교(2014). 수학클리닉 운영을 통한 수학 학습능력 신장. 충청남도 : 충청남도 교육청. Hannae Girls' Middle School(2014). Increasing Mathematics Learning Abilities by operating Mathematics Clinics. Chungcheongnam-do. Chungcheongnam-do office of Education. 

  27. Locke, E.A., & Latham, G.P. (1990). A theory of goal setting and task performance.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28. Aremu, Ayotola (1998). Motivating learners for more effective achievement in mathematics. Nigerian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4(1). 27-34. 

  29. Brousseau, G (1997). Theory of Didactical Situations in Mathematics: Didactique des mathematiques, 1970-1990. New York : Kluwer Academic Publishers. 

  30. Freudenthal, Hans (1991). Revisiting Mathematics Education. Dordrecht, Netherlands :KluwerAcademic Publishers. 

  31. Schunk, D. H. (1989c). Self-efficacy amd cognitive skill learning. In C. Ames & R. A,es (Eds) Research on motivation, 3, 13-44. 

  32. Tobias, S. (1993). Overcoming math anxiety(Rev. and expanded). New York :W. W. Norton. 

  33. Tella, Adedeji (2007). The impact on motivation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ing outcomes in mathematics among secondary school students in Nigeria. Eurasia Journal of Mathematics, Scic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3(2), 149-156. 

  34. Wood, R. E., & Locke, E. A. (1987). The relationship of self-efficacy and grade goals to academic performance.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47, 1013-1024. 

  35. Zarch, M. K., & Kadivar, P. (2006). The role of mathematics self-efficacy and mathematics ability in the structural model of mathematics performance. WSEAS Transactions on Mathematics, 6, 713-72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