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학교사의 테크놀로지 교수 내용 지식(TPACK)에 대한 연구 : TPACK에 대한 인식 및 교육요구도 분석 중심으로
A study on TPACK of mathematics teachers : Focusing on recognitions and educational needs of TPACK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A. The Mathematical Education, v.57 no.1, 2018년, pp.1 - 36  

이다희 (고려대학교 대학원) ,  황우형 (고려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utilization of technology and TPACK in mathematics teachers, and to analyze needs and retentions, difference between needs and retentions, and educational needs of TPACK in mathematics teachers. Furthermore, we will prioritize TPACK it...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보화 시대에 맞춰 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이 필요함에 따라 우리나라 교육은 어떻게 변화를 주고 있는가? 20세기 말부터 시작된 기술 문명의 급속한 발전과 함께, 개인의 생활뿐만 아니라 학교 교실이 변화되면서 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정보화 시대의 흐름에 맞추어 우리나라 교육부(1997)에서도 수학교육에서 테크놀로지 도입의 필요성을 강조하기 시작했으며, 이후 6차 교육과정부터 최근의 2015년 개정 교육과정까지 계산기, 컴퓨터, 교육용 소프트웨어 등의 테크놀로지를 수학수업에 활용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교 육과학기술부, 2011; 교육부, 1997, 2015). 또한 수학수업 에서 테크놀로지 활용은 학생들이 새로운 방식으로 학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수학의 내용영역별로 테크놀로지를 의미 있게 활용하는 방식에도 변화를 주고 있다(Mammana & Villani, 2012).
내용 지식은 어떠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까? 내용 지식(CK)은 교과 내용에 대한 지식으로, 교과 지식의 내용, 개념, 절차뿐만 아니라, 지식을 설명하는 방법 또는 접근 방법도 포함하고 있다. 교수학적 지식 (PK)은 교사가 학생들의 학습을 증진시키기 위한 교수·학습 방법 및 실행에 관한 지식이고, 테크놀로지 지식(TK)은 테크놀로지를 파악하고 다루는 능력뿐만 아니 라, 추후 교육·학습 과정에서 교사와 학생의 사고를 확장하는데 테크놀로지를 통합할 수 있는 능력까지 모두 포함한다.
박재한(2013)에 따르면 교사들이 수업 시간에 테크놀로지를 잘 활용하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박재한(2013)은 ‘교사들의 공학 활용에 대한 지식 및 경험 부족’과 ‘교사의 과다한 수업 준비 시간’을 그 이유 로 생각했고, 김영진(2011)은 ‘교사들이 테크놀로지 관련된 학습 자료가 있을 때만 테크놀로지를 활용하거나, 활용을 하더라도 새로운 테크놀로지를 배우지 않고 익숙한 것만을 계속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와 같이 매우 소극적인 활용 양상에 대해 언급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2)

  1. 강순자, 장미라 (2016). 중학교 수학교사의 테크놀로지통합 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 수학교육 55(4), 523-538.(Kang, S. & Jang, M. (2016). On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technology integration self-efficacy, The mathematical Education 55(4), 523-538.) 

  2. 고상숙 (2001). 그래핑 계산기를 활용한 탐구학습에서 수학교사의 정신적 모델 개발과정, 교과교육연구 5, 207-240.(Koh, S. (2001). Mental Model Development of math Teachers in Exploration. Dankook University Curriculum and Instruction Studies 5, 207-240.) 

  3. 곽영숙 (2016). 테크놀로지 교과교육학 지식(TPACK)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한국유아교육학회 36(6), 245-276.(Keak, Y. (2016). The aware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bout TPACK,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36(6), 245-276.) 

  4. 교육과학기술부 (2011).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1-361호.(Minisrt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07). Mathematics curriculum. Minisrt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Notice, No. 2011-361.) 

  5. 교육부 (1997).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1997-15호.(Minisrty of Education. (1997). Mathematics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Notice, No. 1997-15.) 

  6. 교육부 (2015).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Minisrty of Education. (2015). Mathematics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Notice, No. 2015-74) 

  7. 김남희 (2011). 예비 수학교사 교육에서 공학적 도구의 교육적 활용, 수학교육학연구 21(4), 345-359.(Kim, N. (2014). Educational Using A Technology In The Education Of Future Mathematics Teachers,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21(4), 345-359.) 

  8. 김미화, 손홍찬 (2013). 교육과정에 따른 중등 수학과 교과서에서 공학 도구 활용의 변화 분석, 학교수학 15(4), 975-994.(Kim, M. & Son, H. (2013). The Analysis on Utilization Trend of the Technology in Secondary Mathematics Textbooks Based on the 6th, 7th and 2007 Revised Curriculum in Korea, School Mathematics 15(4), 975-994.) 

  9. 김민경, 이지영 (2017). 체화된 인지와 창의?융합적 관점에서의 수학 수업의 교육적 의의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9), 247-271.(Kim, M. & Lee, J. (2017). Study on Educational Significance of Mathematics Lesson towards the Perspective of Creativity-Integration and Embodied Cognition,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7(9), 247-271.) 

  10. 김선희 (2012). 미래 수학 교실에 대한 전망과 교사들의 인식 조사, 교과교육학연구 16(1), 285-324.(Kim, S. (2012). Teachers' Perspectives on the Future Mathematics Classroom,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 Instruction 16(1), 285-324.) 

  11. 김수자 (2013). 교육전문직의 직무역량 요구분석 : 교육지원청 소속 장학사.교육연구사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Kim, S. (2013). A need Analysis of Educational Supervisors' job Competencies at the District Offices of Education. Doctorate thesi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al Policy and Adminstration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2. 김영진 (2011). 중등 수학교사의 공학 관련 현직연수 실태 분석 및 개선 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Kim, Y. (2011). An Analysis of the Secondary School Mathematics Teachers' In-Service Training related to the Technology.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3. 나지연, 송진웅 (2014). 창의융합의 과학교육적 의미와 과학 교실문화의 방향, 교과교육학연구 18(3), 827-845.(Na, J. & Song, J. (2014). Meanings of 'Creativity and Integration' in Science Education and Comments onScience Classroom Culture,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 Instruction 18(3), 827-845.) 

  14. 류기혁, 이영주 (2017). 초등예비교사의 테크놀로지 내용교수지식(TPACK) 증진을 위한 교육실습과 연계된 온라인 교사학습공동체 활동의 효과, 한국교원교육연구 34(2), 417-437.(Ryu, K. & Lee, Y. (2017). Effects of Online Teacher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linked with Internship Course for the Improvement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TPACK,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34(2), 417-437.) 

  15. 박기철, 강성주 (2014). 초?중등교사의 테크놀로지 교수내용지식(TPACK)에 대한 인지경로 모형 개발, 교원교육 30(4), 349-375.(Park, G. & Kang, S. (2014). The Development of Cognitive Path Model on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TPACK) among Elementary Secondary Teachers,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0(4), 349-375.) 

  16. 박재한 (2013). 수업과 평가에서 공학적 도구 활용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조사. 석사학위논문, 순천대학교.(Park, J. (2013). Survey on Teachers' Perception about Using Technology in Math Instruction and Assessment. Master's thesis, Sunchon national university.) 

  17. 소연희 (2013). 초등교사들이 지각한 테크놀로지 내용교수학적 지식, 아시아교육연구 14(4), 125-147.(So, Y. (2013). Analysis of the Structural Relations between TPACK(Technology, Pedagogy and Content Knowledge),Teaching Efficacy, and Perceived Teaching Professionalism in Primary School Teachers, Asian Journal of Education 14(4), 125-147.) 

  18. 손홍찬 (2011). GSP를 활용한 역동적 기하 환경에서 기하적 성질의 추측, 학교수학 13(1), 107-125.(Son, H. (2011). A Study on Students' Conjecturing of Geometric Properties in Dynamic Geometry EnvironmentsUsing GSP, School Mathematics 13(1), 107-125.) 

  19. 신원석, 한인숙, 엄미리 (2012). 테크놀로지 내용교수지식(TPACK) 역량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 분석, 한국교원연구 28(4), 141-165.(Shin, W., Han, I., & Eom, M. (2012). A Survey on the Differences of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f the Technology, Pedagogy, and Content Knowledge (TPACK),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28(4), 141-165.) 

  20. 신태섭 (2013). 예비 초등교사의 고정신념과 테크놀로지내용교수지식(TPACK) 간의 관계 연구, 교육과학연구 44(2), 21-45.(Shin, T. (2013). A Relation between Pre-Service Teachers' Fixed Mindsets Regarding their Abilities to Teach with Technology and their Perceived TPACK,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44(2), 21-45.) 

  21. 양은하 (2010). 교수역량 진단도구 개발 : A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대학원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Yang, E. (2010). Development of a diagnostic inventory for teaching competency. Doctorate thesis, Ewha WomansUniversity.) 

  22. 엄미리 (2012). 대학 교원의 역량 분석을 통한 교수지원프로그램 방향성 제고: 테크놀로지 내용교수지식(TPACK)을 중심으로, 교육의 이론과 실천 17(3), 21-45.(Eom, M. (2012). A Suggestion on Teaching Support Program through the Competencies analysis of University Faculties' Technology, Pedagogy, and Content Knowledge(TPACK). Theory and Practice of Education 17(3), 21-45.) 

  23. 오정숙 (2016). 수학과 과학교사의 테크놀로지 활용에 관한 인식 연구. 한국교육문제연구 34(4), 151-171(Oh, J. (2016). A Study of STEM Teachers' Views of Technology. Korean Education Inquiry 34(4), 151-171.) 

  24. 이강섭, 심상길 (2013). 중등 초임수학교사들의 컴퓨터관련 지식의 형성과 활용에 대한 연구, 수학교육 52(2), 163-174.(Lee, K. & Shim, S. (2013). A study on the knowledge formation and utilization of computer among beginning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The Mathematical education 52(2), 163-174.) 

  25. 이광상, 조민식, 류희찬 (2008). 엑셀의 활용이 일차함수문제해결에 미치는 효과, 학교수학 8(3), 265-290.(Lee, K., Cho, M., & Lew, H. (2008). The Effects on Problem Solving of Linear Function Using Excel, School Mathematics 8(3), 265-290.) 

  26. 이건남, 고재성 (2010). 전문계 고등학생의 구직역량 개발을 위한 교육요구도 분석, 고용직업능력개발연구 13(2), 159-183.(Lee, G. & Koh, J. (2010). An Analysis of Educational Needs for Development Employment Competency of Vocational Highschool Students, Journal of Employment and Skills Development 13(2), 159-183.) 

  27. 이다희, 황우형 (2017). 수학교사의 테크놀로지 교수 내용 지식(TPACK) 측정 도구 개발 및 타당화, 수학교육 56(4), 407-434.(Lee, D. & Whang, W. (2017).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PACK Measurement Tool for Mathematics Teachers, The Mathematical education 56(4), 407-434.) 

  28. 이민희 (2011). 교사의 반성적 사고를 통한 TPACK의 개발에 대한 사례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Lee. M. (2011). A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PACK through teacher's reflective thinking. Master's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29. 이민희 (2014). 예비 중등수학교사의 테크놀로지 교수학적 내용지식(TPACK) 함양과정 분석 및 모델 구축.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Lee. M. (2014). An analysis of the TPACK cultivation process and model building of middle school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Doctorate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30. 이재윤, 임영준, 박경은, 이상구 (2014). Sage를 활용한 수학 3D 프린팅 웹 도구 개발 -대학 수학교육을 중심으로-, 수학교육논문집 28(3), 353-366.(Lee, J., Lim, Y., Park, K., & Lee, S. (2014). Development of Mathematics 3D-Printing Tools with Sage -For College Education-,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28(3), 353-366.) 

  31. 이진원, 최정원, 이영준 (2016). 초등 교사의 테크놀로지활용 정도와 TPACK의 상관 분석,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4(1), 181-182.(Yi, J., Choi, J., & Lee, J. (2016). An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elementary school teachers' utilization of technology and TPACK, The Korea Society Computer & Information Academic Publications 24(1), 181-182.) 

  32. 이창연, 황우형 (2010). 반힐레 이론과 GSP를 활용한 중학교 기하영역에 관한 연구: 8-나 단계의 사각형의 성질을 중심으로, 수학교육 49(1), 85-109.(Lee, C. & Whang, W. (2010). A Study of the Syllabus Based on van Hiele Theory using GSP in Middle School Geometry-Focused on the 2st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The Mathematical education 49(1), 85-109.) 

  33. 임해미 (2009). 예비 수학교사의 테크놀로지 내용교수지식(TPACK) 신장을 위한 팀 프로젝트 효과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19(4), 545-564.(Rim, H. (2009).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Team Project to Improve TPACK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19(4), 545-564.) 

  34. 장혜원, 강정기 (2013). 기하 정리의 일반성 인식을 위한동적기하환경의 활용, 수학교육학연구 23(4), 585-604.(Chang, H. & Kang, J. (2013). Using DGE for Recognizing the Generality of Geometrical Theorems. Using DGE for Recognizing the Generality of Geometrical Theorems,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23(4), 585-604.) 

  35. 전미현, 김구연 (2015). 예비교사들의 수학교수지식(MKT) 측정 및 분석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25(4), 691-715.(Jeon, M. & Kim, G. (2015). Measuring and Analyzing Prospective Secondary Teachers'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MKT],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25(4), 691-715.) 

  36. 정상권, 이경화, 유연주, 신보미, 박미미, 한수연 (2012). 수학적 과정 중심 평가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조사, 수학교육학연구 22(3), 401-427.(Chung, S., Lee, K., Yoo, Y., Shin, B., Park, M., & Han, S. (2012). A Survey of Teachers' Perspectives on Process-Focused Assessment in School Mathematics.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22(3), 401-427.) 

  37. 정서영 (2014). 수학교사의 테크놀로지 활용에 대한 관심변화 방안으로서 T-ACCEPT 모델 개발. 박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Jeong, S. (2014). Developing T-ACCEPT model as means of Support for Teacher in Technology-based Mathematics Classroom. Doctorate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38. 조대연 (2009). 교사 발달단계별 직무역량 요구분석: 서울초등교사를 대상으로, 한국교원교육연구 26(2), 365-385.(Cho, D. (2009). Need Analysis of Job Competence Based on Teacher Development: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eoul,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26(2), 365-385.) 

  39. 조명희, 이현우 (2016). 교육요구분석에서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중요도 인식 차이에 따른 모델 수정에 관한연구, 교원교육 32(3), 147-168.(Jo, M. & Lee, H. (2016). A Study on a Modification of Educational Needs Assessment Model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Perceived Importance between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2(3), 147-168.) 

  40. 조미현 (2016). 예비교사 테크놀로지 활용 역량의 중요도와 실행도 분석,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0(6), 597-606.(Cho, M. (2016). Importance and Performance Analysis of Pre-service Teachers' Competencies related to the Use of Technolog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20(6), 597-606.) 

  41. 조성기, 정선아 (2016). 음악교사의 TPACK 인식 분석, 음악교육공학 29, 135-155.(Cho, S. & Jung, S. (2016). A Survey on Music Teachers' Perception of TPACK, Music Education Technology 29, 135-155.) 

  42. 조은애 (2008). 학교 수학 교육에서 공학적 도구의 활용실태와 활성화 방안. 석사학위논, 고려대학교.(Cho, E. (2008). Use of engineering tools in school mathematics education and its activation plan.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43. 주영주 (2014). 온라인 한국어 교사 양성 프로그램에 대한 예비교사의 테크놀로지 내용교수지식 (TPACK)과 교사효능감 연구, 국어교육 145, 379-404.(Ju, Y. (2014). A Study on Pre-service Korean Teacher's TPACK and Teacher Efficacy in Online Korean Language Teacher Training Program, The Societ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145, 379-404.) 

  44. 최현종, 이태욱 (2015). TPACK 모형에 기반한 예비 교사의 테크놀로지 지식 교육 프로그램 적용과 분석,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20(2), 231-239.(Choe, H. & Lee, T. (2015). Implementation and Analysis about Technology Knowledge Education Program for Pre-service Teacher based on the TPACK Model,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20(2), 231-239.) 

  45. 한국교육개발원 (2016). 한국교육개발원 . [2016년 6월] 학교급별 교육정보화 인프라 현황.(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16).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 School Education Information Infrastructure Status [June 2016].) 

  46. 한혜숙 (2016). 예비수학교사의 MKT에 관한 연구, 수학교육논문집 30(1), 101-120.(Han, H. (2016). A study on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MKT,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30(1), 101-120.) 

  47. 허희옥, 임규연, 이현우, 김현진 (2014). 스마트교육을 위한 교원의 교육요구도 분석, 교원교육 30(1), 93-112.(Heo, H., Lim, K., Lee, H., & Kim, H. (2014). A Needs Analysis of Teacher Competencies for SMART Education,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0(1), 93-112.) 

  48. Abbitt, J. T. (2011). Measuring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A review of current methods and instruments, Journal of Research on Technology in Education 43(4). 

  49. Angeli, C., & Valanides, N. (2009).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a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designers: an instructional systems design model based on an expanded view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Journal of Computer Assisted Learning 21(4), 292?302 . 

  50. Archambault, L., & Crippen, K. (2009). Examining TPACK among K-12 online distance educators in the United States, Contemporary Issues in Technology and Teacher Education 9(1), 71-88. 

  51. Borich, G. D. (1980). A need assessment for conducting follow-up studies. The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1(3), 39-42. 

  52. Chai, C. S., Koh, J. H. L., & Tsai, C. C. (2010). Facilitating preservice teachers' development of technological, pedagogical, and content knowledge (TPACK), Educational Technology and Society 13(4), 63-73. 

  53. Chai, C. S., Koh, J. H. L., & Tsai, C. C. (2013). A review of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Education Technology and Society 16(2), 31-51. 

  54. Jang, S. J., & Chen, K. C. (2010). From PCK to TPACK: Developing a transformative model for pre-service science teachers.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and Technology, 19(6), 553-564. 

  55. Koehler. M. J., & Mishra, P. (2009). What is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PACK)? Contemporary Issues in Technology and Teacher Education 9(1), 60-70. 

  56. Koehler. M. J., Mishra, P., Kereluik, K., Shin, T. S., & Graham, C. R. (2014). The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Framework (Eds.). Handbook of Research on Educational Communications and Technology, 101-111, NY: Springer. 

  57. Latham, G., & Carr, N. (2012). Authentic Learning for Pre-Service Teachers in a Technology-Rich Environment, Journal of Learning Design 5(1), 32-42. 

  58. Lubin, I. A., & Ge, X. (2012). Investigating the influences of a LEAPS model on preservice teachers' problem solving, metacognition, and motivation in an educational technology course,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60(2), 239-270. 

  59. Mammana, C., & Villani, V. (Eds.). (2012). Perspectives on the teaching of geometry for the 21st century: an ICMI study (Vol. 5),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60. Mink, O. G., Shultz, J. M., & Mink, B. P. (1991). Developing and Managing Open Organizations: A Model and Methods for Maximizing Organizational Potential, Austin; Somerset Consulting Group, Inc. 

  61. Mishra, P., & Koehler, M. (2006).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 new framework for teacher knowledge, Teachers College Record 108(6), 1017-1054. 

  62. Mueller, J., Wood, E., Willoughby, T., Ross, C., & Specht, J. (2008). Identifying discriminating variables between teachers who fully integrate computers and teachers with limited integration, Computers & Education 51(4), 1523-1537. 

  63. Niess, M. L. (2011). Investigating TPACK: Knowledge Growth in Teaching with Technology, Journal of Educational Computing Research 44(3), 299-317. 

  64. Olofson, M. W., Swallow, M. J. C., & Neumann, M.D. (2016). TPACKing: A constructivist framing of TPACK to analyze teachers' construction of knowledge, Computers and Education 95, 188-201. 

  65. Patsiomitou, S. (2010). Building LVAR(Linking Visual Active Representations) modes in a DGS environment, Electronic Journal of Mathematics and Technology, 4(1), 1-25. 

  66. Pijls, M., Dekker, R., & van Hout-Wolters, B. (2007). Reconstruction of acollaborative mathematical learning process,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65(3), 309-329. 

  67. Sahin, I. (2011). Development of Survey of Technological Pedagogical and Content Knowledge (TPACK), The Turkish Onlin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10(1), 97-103. 

  68. Schmidt, D. A., Baran, E., Thompson, A. D., Mishra, P., Koehler, M. J., & Shin, T. S. (2009).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TPACK):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assessment instrument for preservice teachers, Journal of Research on Technology in Education 42(2), 123-149. 

  69. Shulman, L. (1986). Those who understand: Knowledge growth in teaching. Educational Researcher 15(2), 4-14. 

  70. Tyler, R. W. (1971). Values and objective. In A. S. Knowles (Ed.), Handbook of Cooperative Education,18-25. SF: Jossey-Bass. 

  71. Waters, R. G., & Haskell, L. J. (1989). Identifying staff development needs of Cooperative Extension faculty using a modified Borich needs assessment model,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30(2), 26-32. 

  72. Yeh, Y. F., Hsu, Y. S., Wu, H. K., Hwang, F. K., & Lin, T. C. (2014). Developing and validating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ractical(TPACK-practical) through the Delphi survey technique,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45(4), 707-72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