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교 수학과 성취기준에 따른 수업용 교구의 효과적인 활용 방안
Effective Use of Teaching Aids According to Achievement Level of Mathematics in Elementary School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C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v.21 no.1, 2018년, pp.39 - 53  

안병곤 (광주교육대학교)

초록

지금까지의 수학 교구에 대한 연구의 대부분은 연구에서 제시한 교구의 활용을 통하여 나타난 학업성취도의 변화나 수학에 대한 자신감과 태도 등에서 긍정적인 변화에 대한 연구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학 교구 활용에 대한 변화 내용 보다는,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성취기준 중에서 교구의 활용에 적합한 성취기준을 조사하여, 그 성취기준에 알맞은 교구의 제시하고, 현재 초등학교 1-2학년군 수학교과서에 제시된 교구를 조사하고 비교하여 앞으로 교구의 활용에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성취기준에 알맞은 교구는 한국과학창의재단(2017)에서 수학 수업용 교구 표준안에 제시한 교구를 기준으로 앞으로 수학 수업에서 교구의 효과적인 활용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ost of the studies of mathematics so far have found positive changes in the effectiveness of the academic achievements of academic achievement, as well as positive changes in the effectiveness of academic achievement or attitudes or attitudes towards mathematic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5 TIMSS에서 우리나라 학생들의 수학 학업 성취도는 어떻게 나타났는가? 교육부(2016)보도에 따르면, 2015 TIMSS (Trends in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 결과에서 우리나라 학생들의 수학 학업성취도는 초등학교 4학년은 상위 3위, 중학교 2학년은 상위 2위로 매우 높았다. 그러나 수학에 대한 자신감은 초등학교 4학년은 하위 3위, 중학교 2학년은 하위 3위였고, 흥미도는 초등학교 4학년은 하위 2위, 중학교 2학년은 하위 3위로 매우 낮았다. 이처럼 높은 학업성취도에 비하여 매우 낮은 흥미도와 자신감 등에 대한 문제의 해결 방안이 필요해 보였다.
수학 교과 내용은 어떤 성질이 있는가? 수학 교과 내용의 특성을 보면 다른 어떤 교과보다도 구체적 상황에서 시작하여 추상적이나 형식화 상황으로 진행되는 성질이 있다. 이러한 수학 학습내용의 지도과정에서 추상화나 형식화를 빠르게 진행하면 이로 인하여 학생들에게는 학습부진이라는 어려움이 많이 발생하게 된다.
우리나라 학생들이 높은 학업성취도에 비하여 낮은 흥미도와 자신감을 가지는 문제의 해결 방안은 무엇인가? 이처럼 높은 학업성취도에 비하여 매우 낮은 흥미도와 자신감 등에 대한 문제의 해결 방안이 필요해 보였다. 이런 문제점의 현실적인 해결 방안 중의 하나가 학교 수학 수업에서 일반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결과 중심 수업을 이해를 바탕으로 하는 과정 중심의 수업으로 바꾸는 것이 될 수 있다. 이때 과정 중심 수업에서 학습내용의 이해에 도움을 주는 도구가 학습내용에 적합한 교구의 활용이라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강완.백석윤(2002). 초등수학교육론, 서울:동명사.(Kang,W. & Baek,S,Y(2002).Elementary MathematicsEducation. Seoul: Dongmyoungsa.) 

  2. 고상숙.박만구.한혜숙(2013). 교구 및 공학도구를활용한 수학적 과정중심 평가에 관한 교사들의 인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6(4), 675-694.(Koh,S.S., Park,M.G., Han,H.S.(2013). Teachers' perceptions on process-focused mathematics assessment using manipulatives and technological devices.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16(4), 675-694.) 

  3. 교육부(2016). 보도자료, 서울:교육부.(Ministry of Education(2016). Press release, Seoul: Ministry of Education.) 

  4. 교육부(2013). 초등학교 1-2학년군 수학 교과서, 교사용 지도서. 서울:교육부.(Ministry of Education(2013). Mathematics textbooks for 1st and 2nd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instruction manual for teachers. Ministry of Education.) 

  5. 교육부(2017). 초등학교 1-2학년군 수학 교과서, 교사용 지도서. 서울:교육부.(Ministry of Education(2017). Mathematics textbooks for 1st and 2nd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Instruction manual for teachers. Ministry of Education.) 

  6. 교육부(2015).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서울:교육부(Ministry of Education(2015). Mathematics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Notice 2015-74. Ministry of Education) 

  7. 교육부(2017). 수학 교구 기준안 정비 및 활용 활성화안내(시.도교육청 공문). 교육부.(Ministry of Education(2017). Guidance on the revision and application of the mathematics instruction standard(official documents of city and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Ministry of Education.) 

  8. 김남희(1999a). 수학의 기본 구조 지도와 딘즈블럭, 대한수학교육학회지 , 1(1), 305-324.(Kim,N.H.(1999a). The basic structure of mathematics and dienes blocks, School Mathematics, 1(1), 305-324.) 

  9. 김남희(1999b). 학교수학 학습에서 퀴즈네어 막대 활용. 대한수학교육학회지, 1(2), 699-721.(Kim,N.H.(1999b). The use of quiznair bars in school mathematics learning, School Mathematics, 1(2), 699-721) 

  10. 김민경(2005). 패턴블록을 활용한 구체적 조작활동에 관한소고-분수학습을 중심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시리즈A, 44(1), 125-141.(Kim,M.K.(2005). Specific manipulation activities using pattern blocks - focused on fractional learning-The Korean Mathematical Society's Series A, 44(1), 125-141.) 

  11. 김응태?박한식?우정호(1996). 수학교육학개론, 서울:서울대학교출판부.(Kim,E.T., Park,H.S., & Woo,J.H.(1996). Introduction to the Department of Mathematical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12. 김정하(2000). Dienes의 수학 학습 원리의 구체화 방안 연구.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Kim,J.H.(2000). A Study on the Refinement of the Principles of Mathematics. A master's degree from Incheo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3. 김해규.박선희(2006). 초등수학에서 교구의 활용에 대한 선행연구물의 활용 방안.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 〈수학교육논문집>, 20(2), 179-205.(Kim,H.k., Park, S.H.(2006). Utilization of Pre-Research Study for the Use of Parishes in Primary Mathematics. J. Korean Soc. Math. Ed. Ser. 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20(2), 179-205.) 

  14. 나귀수(2002). 연구보고 RRC 2002-4-3, 초등학교 수학과 교수?학습예시 자료집. 한국교육과정평가원.(Na,G.S.,(2002). Research Report RRC 2002-4-3,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professor, sample case book, KICE.) 

  15. 남승인(2003).초등학교 수학학습에서 교구활용에 관한연구-칠교판 활용을 중심으로-. 대구교육대학교 논문집, 38, 109-134.(Nam,S.I.(2003). A study on the using of manipulative material in the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education: Based on tangram. Thesis Collection of Daeg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38, 109-134.) 

  16. 남억우 외(1987). 교육학대사전. 서울:교육과학사.(NAm, E.W. et al.(1987). Educational Dictionary. Historyof Education Science.) 

  17. 류선미.박영희(2007). 초등학교 수학과 조작교구 활용실태 및 활성화 방안에 대한 조사 연구. 교과교육학연구, 11(1), 15-38.(Ryu,S M. & Park,Y.H.(2007). A study on the uses and the activation plan for the manipulative material in elementary mathematics. Journal of the Research Institute of Curriculum Institution, 11(1), 15-38.) 

  18. 박만구(2016). 예비교사의 관점에서 본 초등수학 수업에서 교구의 의미와 사용 방법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C , 19(1), 61-78.(Park,M.G.(2016). Analysis of the Meaning and Usage of Diocese in Elementary Mathematics Classes from the Perspective of Pre-service Teachers.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19(1), 61-78.) 

  19.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연구소(1995). 교육학 용어사전, 서울:배영사.(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1995). Education dictionary. Baeyoungsa.) 

  20. 손숙현(2000). 수학교구를 활용한 클럽활동이 학생들의 수학적 성향 및 도형 학습력에 미치는 영향. 대구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Son, S.H.(2000). Effects of Club Activities on Students ' mathematical inclination and ability to learn shapes from the Department of Mathematics. A master's degree from Daeg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1. 안병곤(2003). 초등수학수업에서 활동중심 교수?학습자료 활용에 대한 조사연구. 대한수학교육학회지, 5(2), 241-257.(Ahn,B.G(2003). A Study on the Use of Activity-Based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School Mathematics, 5(2), 241-257.) 

  22. 안병곤(2012). 초등 수학 교과서의 학습 활동유형에 대한 분석. 대한수학교육학회지, 14(1), 151-163.(Ahn,B.G(2012). An Analysis of the Types of Learning Activities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School Mathematics, 14(1), 151-163.) 

  23. 안주형(2001). 탱그램과 모자이크 퍼즐을 활용한 수학과 수업분석에 관한 연구. 인천교육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Ahn,J.H.(2001). A study on mathematics and classroom analysis using TANGRAM and mosaic puzzles. Master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Incho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4. 이경화.정혜윤.강완.안병곤.백도현(2017). 수학교구의 교수학적 원리와 표준안 개발. 한국수학교육학회시리즈 E, 31(2), 203-222(Lee, K.H., & Kang. W. & Chung, H.Y & Ahn,B.Y & Baek, D. Y.(2017). Development of Pedagogical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Mathematics Teaching. J. Korean Soc. Math. Ed. Ser. 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31(2), 203-222) 

  25. 이명희(2003). 패턴블록 조작활동이 공간감각 발달에 미치는 영향,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Lee,M.H.(2003). Effects of Pattern Block Operation on the Development of Spatial Senses, Master Thesis, TheGraduate School of Daeg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6. 이성애(1999). 수학 클럽활동 자료의 개발 연구, 대구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Lee,S.A.(1999). Development of Activity materials for the Mathematical Club, Master's Degree from Daeg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7. 이형미(2016). 초등 수학 교과서에 나타난 수학 교구비교 분석 -한국, 미국, 핀란드를 중심으로-.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Lee, H.M.(2016.08). Comparative Analysis of Mathematical Elements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 Focusing on Korea, USA and Finlan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8. 정동권(2001). 수학교실에서 기하판의 활용 의의와 활용사례분석. 학교수학, 3(2), 447-473.(Chung,D.K.(2001). An analysis of the implications of the application and use cases of the lower plates in mathematics classrooms, School mathematics, 3(2), 447-473.) 

  29. 조벽(1999). 새시대 교수법. 한국수학교육학회 , 15(4), 28-35.(Cho,B.(1999). Teaching method for the new age. The Korean Society for Applied Mathematics Education , 15(4), 28-35.) 

  30. 최은주.최창우(2009). 초등수학 수업에서 교구의 활용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13(1), 31-49.(Choi,E.J., Choi,C.W.(2009). Case Studies on the Use of Parishiones in Primary mathematics lesson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hool Education, 13(1). 31-49.) 

  31. 한국과학창의재단(2017). 수학 수업용 교구 표준안 개발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Korea Science Foundation (2017). Development of paradigm standard for mathematics class.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d of Science & Creativity.) 

  32. Bruner, J. S. (1966). Toward a theory of instruction. Cambridge, MA: Belkapp Press. 

  33. Dienes, Z. P. (1960). Building up mathematics. Hutchinson Educational. 

  34. Piaget, J. (1971). The psychology of intelligence. Boston: Routledge and Kegan. 

  35. Remillard, J. T., & Heck, D. J. (2014). Conceptualizing the curriculum enactment processin mathematics education. ZDM, 46(5), 705-718. 

  36. Sowell, E. J. (1989). Effects of Manipulative Materials in Mathematics Instruction.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20(5), 498-505. 

  37. Spikell, M. A. (1993). Teaching Mathematics with Manipulatives: A Resource of Activities for the K -12 Teacher. Allyn & Bacon. Boston, MA02116. 

  38. Suydam, M. N. & Higgins, J. L. (1977). Activity-based learning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Recommendations from research. Ohio: ERIC. 

  39. Zbiek, R. M., Heid, M. K., Blume, G. W., & Dick,T. P. (2007). Research on technology in mathematics education, A perspective of constructs. In F. K. Lester (Ed.). Second handbook of research o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pp. 1169-1207). Charlotte, NC: Information Ag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