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포항 지진의 진원 깊이 연구
A Study of Hypocentral Depth of Pohang Earthquake 원문보기

지구물리와 물리탐사 = Geophysics and geophysical exploration, v.21 no.2, 2018년, pp.125 - 131  

정태웅 (세종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  이영민 (지질자원연구원) ,  모하메드 자파르 (세종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  정진아 (경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지구시스템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17년 11월 15일 포항지진(규모 5.4)은 깊이효과로 경주지진(규모 5.8) 보다 피해가 더 컸으나, 정확한 깊이가 확증되지 않고 있다. 진원 깊이를 진원재결정을 통하여 역산한 결과, 대부분의 모델의 진원 깊이가 얕은 표층으로 도출된 반면, 지각구조가 가장 근접한 모델은 6.0 ~ 11.5 km 구간의 깊이로 산출되었다. 지온분석에서는 7.5 km 근방에서 $300^{\circ}C$의 온도가 관찰되어 지진유발층의 사례에 입각한 포항지진의 진원은 근접한 모델로 얻어진 7 km 근방인 것으로 추정되어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17 Pohang earthquake (M 5.4) was more disastrous than 2016 Gyeongju earthquake (M 5.8), partly because of its shallow focal depth. However, precise focal depth of Pohang earthquake is still controversial. Close crustal model showed 6 ~ 11.5 km in relocation depth, whereas other models showed almo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C 지온이 얕을 것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에서는 경주지진에 사용된 진원재결정 해석(Chung and Iqbal, 2017)을 통하여 포항지진의 진원 깊이에 대한 문제를 검증하고 지온 해석을 통하여 지진유발층에 입각한 포항지진의 지온 깊이를 구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진유발층은 무엇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가? 지진유발층은 지온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이 관찰되고 있는데(Bonner et al., 2003), 특히 온도 300oC는 석영 성분의 유동성 발생으로 지각의 취성-연성 변화와 관련지어진 온도(e.
경주지진은 어디에서 발생하였는가? 이 지진은 진동이 심하여 건물 외벽이 무너지고 가옥이 파손되어 천여명의 이재민이 발생하는 사태가 발생하였다. 앞서 포항지진 남동쪽 42 km 부근에서 2016년 9월 12일 오후 8시 32분에 규모 5.8의 경주지진(Fig. 1) 이 발생한 바 있는데, 경주지진은 포항지진보다 규모가 컸지만 진동이 덜하여 이재민이 발생하지는 않았다. 이러한 피해 차이는 경주지진이 암반지역에서 발생한 반면, 포항지진은 해안 매립이 곳곳에서 이루어진 지반효과의 차이가 거론되었지만 진원의 깊이 차이도 큰 작용을 하였으리라 여겨지고 있다.
포항지진은 어떤 피해를 주었는가? 1). 이 지진은 진동이 심하여 건물 외벽이 무너지고 가옥이 파손되어 천여명의 이재민이 발생하는 사태가 발생하였다. 앞서 포항지진 남동쪽 42 km 부근에서 2016년 9월 12일 오후 8시 32분에 규모 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hn, H.-S., Park, J.-Y., Kim, J.-M., and Kim, J.-C., 2015, Three-dimensional geologic modeling of the Pohang Basin distributed in Haedo-Dong, Pohang-Si, J. Geol. Soc. Korea, 51, 21-3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Asep, N. R., and Chung, T. W., 2016, Depth dependent crustal scattering attenuation revealed by using single or few events in South Korea, Bull. Seismol. Soc. Amer., 106, 1499-1508. 

  3. Asep, N. R., Chung, T. W., Yoshimoto, K., and Son, B., 2015, Separation of intrinsic and scattering attenuation using single event source in South Korea. Bull. Seismol. Soc. Amer., 105, 858-872. 

  4. Bonner, J. L., Blackwell, D. D., and Herrin, E. T., 2003, Thermal constraints on earthquake depths in California, Bull. Seismol. Soc. Amer., 93, 2333-2354. 

  5. Chang, S.-J., and Baag, C.-E., 2006, Crustal structure in southern Korea from joint analysis of regional broadband waveforms and travel times, Bull. Seismol. Soc. Amer., 96, 856-870. 

  6. Cho, H.-M., Baag, C.-E., Lee, J. M., Moon, W. M., Jung, H., Kim, K. Y., and Asudeh, I., 2006, Crustal velocity structure across the southern Korean Peninsula from seismic refraction survey, Geophys. Res. Lett., 33, L06307. 

  7. Cho, H.-M., Baag, C.-E., Lee, J. M., Moon, W. M., Jung, H., and Kim, K. Y., 2013, P and S-wave velocity model along crustal scale refraction and wide-angle reflection profile in the southern Korean peninsula, Tectonophysics, 582, 84-100. 

  8. Chung, T. W., and Asep, N. R., 2014, Multiple lapse time window analysis of the Korean Peninsula with considering focal depth, Geophys. and Geophys. Explor., 16, 293-29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Chung, T. W., and Iqbal, M. Z., 2017, Hypocentral depth determination of Gyeongju earthquake aftershock sequence, Geophys. and Geophys. Explor., 20, 1-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Hirth, G., and Tullis, J., 1994, The brittle-plastic transition in experimentally deformed quartz aggregates, J. Geophys. Res., 99, 11731-11747. 

  11. Jackson, J. A., and White, N. J., 1989, Normal faulting in the upper continental crust: observations from regions of active extension, J. Struct. Geol., 11, 15-32. 

  12. Kim, H. J., and Lee, Y., 2007, Heat flow in the Republic of Korea, J. Geophys. Res., 112, B05413. 

  13. Kim, S., Rhie, J., and Kim, G., 2011, Forward waveform modelling procedure for 1-D crustal velocity structure and its application to the southern Korean Peninsula, Geophys. J. Int., 185, 453-468. 

  14. Lee, W. H. K., and Lahr, J. C., 1975, HYPO71 (Revised): A computer program for determining hypocenter, magnitude, and first motion pattern of local earthquakes, U. S. Geological Survey Open File Report, 75-311, 1-113. 

  15. Liernert, B. R., Berg, E., and Frazer, L. N., 1986, HYPOCENTER: An earthquake location method using centered, scaled, and adaptively least squares, Bull. Seismol. Soc. Amer., 76, 771-783. 

  16. Mori, J., and Abercrombie, R. E., 1997, Depth dependence of earthqake frequency-magnitude distributions in California: Implication for rupture initiation, J. Geophys. Res., 102, 15081-15090. 

  17. Pace, B., Peruzza, L., Lavecchia, G., and Boncio, P., 2006, Layered Seismogenic Source Model and Probabilistic Seismic-Hazard, Bull. Seismol. Soc. Amer., 96, 107-132. 

  18. Saikia, U., Rai, S. S., Subrahmanyam, M., Dutta, S., Bose, S., Borah, K., and Meena, R., 2014, Accurate location and focal mechanism of small earthquakes near Idukki Reservoir, Kerala: implication for earthquake genesis, Current Science, 107, 1885-1891. 

  19. Scholz, C. H., 1988, The brittle-plastic transition and the depth of seismic faulting, Geol. Rundsch., 77, 319-328. 

  20. Sibson, R. H., 1983, Continental fault structure and the shallow earthquake source, J. Geol. Soc. London, 140, 741-767. 

  21. Wadati, K., 1933, On the travel time of earthquake waves (part II), Geophysical Magazine, 7, 101-11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