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탐진강 하구역의 생물다양성과 생태적 특성 분석 연구
Analysis of Biodiversity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n Tamjin-river Estuarine Ecosytem 원문보기

한국습지학회지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20 no.2, 2018년, pp.181 - 189  

임정철 (국립환경과학원 국립습지센터) ,  김태성 (국립환경과학원 국립습지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탐진강 하구역 생물군집의 군집 동태 및 분포 조건을 통해 기수지역 생태계 관리의 기초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각 분류군별 전문가들이 정밀 조사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식생을 포함한 총 11개 생물 분류군에 대한 생물종의 다양성, 풍부성, 상관관계 및 생태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식생은 하천의 물리적 환경과 염도 등 서식처 환경조건에 따라 7개 상관형에 18개 단위식생의 분포가 확인 되었다. 생물종 다양성은 멸종위기야생생물 9분류군을 포함해 총 1,125개 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각 분류군별 종조성과 분포 특성은 넓은 구간에 걸쳐 형성되는 자연성 높은 기수역의 하구역 특성을 잘 반영하고 있었다. 특히, 하천을 중심으로 유속과 염도, 토성 등 기반환경 차이에 따른 종다양성과 그 분포가 뚜렷하게 구분되었다. 일부구간에 분포하는 물막이보, 인공제방과 같은 인위적 교란요소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환경조건 하에서 생물종의 다양성과 그 분포는 전반적으로 자연성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물막이보, 간척, 주기적인 제방관리, 경작지 확장 등에 의한 야생생물의 서식처 소실과 축소, 생태계 연결성 단절 등은 지역 생태계의 다양성과 건강성을 위협하는 주요 요인으로 지목되었다. 탐진강 하구역의 생물 분포 현황과 그 특성을 규명하는 최초의 정밀조사로서 탐진강을 비롯한 하구역에 대한 각종 개발압력 및 훼손 위기에 대응 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dynamics and distributional condition of biological community and to support the basic information about the estuarine ecosystem management by using the intensively surveyed results by each taxon experts around Tamjin river. We analyzed the biological divers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2014년 국립습지센터에서 실시한 탐진강 하구역 생태계 정밀조사의 결과이며, 탐진강 하구역 생물군집의 군집 동태 및 생물군집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서식 조건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생태적 특성을 규명함으로써 생태계관리를 위한 현황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 본 연구는 열린하구 가운데 비교적 규모가 크고 자연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진 탐진강 하구역의 생물분포 특성 파악을 통해 생태계 보전 및 복원 등에 활용하기 위한 기초자료제공을 위해 진행되었다.

가설 설정

  • 이러한 문제점 해결을 위해 불필요한 물막이보에 대한 생태적 고려, 수변 서식처 다양성 증대, 하천 주변 서식처(경작지, 산림 등)와의 생태계 연결성 강화 등의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위해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관리계획을 수립하여 이를 바탕으로 관리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우선적으로 관리가 필요하고, 관리가 가능한 생물상부터, 서식처 단위에서 생태계 단위로 단계적인 관리전략을 마련하여 추진한다면, 더욱 효과적일 것일 것으로 판단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하구역이란? 하구역은 담수와 염수가 교차하는 생태적 전이지역인 기수역 생태계이자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으로 독특한 조합을 이루는 지역으로서 지구상 가장 높은 생산성을 보유하고 있는 생태계로 알려져 있다(Western and Scheele 1996, Costanza et al. 1997).
본 연구에서 식물상은 조사구간별로 종의 구성과 다양성이 서로 다른 것으로 나타나는 이유는? 식물상은 조사구간별로 종의 구성과 다양성이 서로 다른것으로 나타났다. 산림식생이 발달하는 가우도를 포함하는Ⅰ구간에서 가장 높은 종다양성이 확인된 것은 해발고도와사면방향, 경사와 토심, 인간간섭에 따라 다양한 서식처 환경조건이 형성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 Ⅰ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구간은 대부분 하천, 제방, 경작지 등 서식처 환경조건이 단순하고, 지속적인 인간간섭의 영향을 받고있기 때문에 Ⅰ구간에 비해 상대적으로 종다양성이 낮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하구는 어떤 역할을 있는가? 1997). 하구는 홍수 및 해일 피해를 줄여주는 자연재해 방지기능, 빼어난 경관이 가지는 심미적 기능, 위락 및 휴식장소의 제공, 해상운송 및 산업의 적지 등 다양한 사회·경제적, 환경·생태적 가치를 함께 가지고 있다(Mitschand Gosselink 2000, Lee et al.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Chun, SH, Hyun, JY and Choi, JK (1999) A Study on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Salix gracilistyla and Phragmites japonica communities according to micro-landforms and substrates of the stream corridor. J.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7: 58-68. 

  2. Colwell, MA and Landrum, SL (1993) Nonrandom shorebird distribution and fine-scale variation in prey abundance. Condor, 95: 94-103. 

  3. Costanza, R, d'Arge, R, de Groot, RS, Farber, S, Grasso, M, Hannon, B, Limburg, K, Naeem, S, O'Neill, RV, Paruelo, J, Raskin, RG, Sutton, P and van den Belt, M (1997) The value of the world's ecosystem services and natural capital. Nature, 387: 253-260. 

  4. Forrestel AB (2013) The role of disturbance in vegetation distribution, composition and structure at the landscape scale for two western US ecosystem.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UC Berkely of California. 

  5. Han, YH (2009) Analysis of the Watershed Characteristics for Each River in Gangwon Province. Report of Research Institute for Gangwon. 

  6. Hwang, YJ (2000) Ichthyofaunal Changes due to the Construction of Lake Chuam. Chonnam National University Doctoral Thesis. 

  7. Hynes, HBN (1970) The ecology of running waters. University of Toronto Press. Toronto. 

  8. Jang, EJ and Kim, JW (2007) Ecology & Culture of the old-growth and giant trees of traditional village. World Science. Seoul. 

  9. Kim, JW (2006) Vegetation Science. World Science. 

  10.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2017) http://www.kma.go.kr/. 

  11. Korea Ocean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1999) Development of Monitoring Methods for Mariculture Farm. Korea Ocean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12. Kwak, IS, Song, MY and Chon, TS (2004) The effect of natural disturbances on benthic macro-invertebrate. Korean J. of Limnology, 37(1): 87-95. 

  13. Lee, YK and Kim, JW (2005) Riparian vegetation of south Korea. Keimyung University Press. 

  14. Lee, CH et al.. (2004) Development of Sustainable Estuary Management Strategy in Korea(I). Korea Environment Institute. 

  15. Lee, SW, Je, JG and Lee, HS (2003) Tidal flat aspects of Yellow Sea area and conservation for migratory bires. Korea J. of Environment and Ecology, 17(3): 295-303. 

  16. Lee, SW, Lee, HS, Yoo, JC, Je, JG, Peak, WK and Levings, C (2002) Factors Affecting the Conservation and Distribution of Migratory Waterbirds in the Southern Tidal Flats of Ganghwa Island, Korea. Korea J. of Environment and Ecology, 16(1): 34-45. 

  17. Lee, SW, Kwon, YS, Je, JG and Yoo, JC (1999) Benthic animal of Kanghwa Island and gut analysis of some waterbirds. Kor. J. Orni. 6: 71-86. 

  18. Lu, L, Goh, BPL and Chou, LM (2002) Effects of coastal reclamation on riverine macrobenthic infauna(Sungei Punggol) in Singapore. J. of Aquatic Ecosystem stress and Recovery, 9(2): 127-135. 

  19. Ministry of Environment (MOE). (2011) Guideline on the Investigation of Wetland. 

  20. Moon, WK, Bae, DY, Seo, JW and An, KG (2012). Fish distribution and compositions along with altitude and longitudinal distance from the river mouth in the Tamjin river basin, Korea. J.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28: 512-522. 

  21. Mitsch, WJ and Gosselink, JG (2000) Wetlands. Van Nostrand Reinhold, New York, New York, USA. 

  22.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IER). (2014) Intensive Survey on Estuarine Ecosystem('14). Nati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cheon. 

  23.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IER). (2016) Intensive Survey on Estuarine Ecosystem('16). Nati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cheon. 

  24.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IER). (2017) Intensive Survey on Estuarine Ecosystem('17). Nati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cheon. 

  25. Nam, DW, Cha, SS, Choi, CG, Lee, JB and Lee, HY (2009). Ichthyofauna and habitat type of the fish in Tamjin river system, Korea. J.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18: 1001-1010. 

  26. Nam, DW (2006) Freshwater Ichthyofauna and Fish Community Structure in Tamjin River system. Chonnam National University Doctoral Thesis. 

  27. Odum, WE and Hoover, JK (1988). A comparison of vascular plant communities in tidal freshwater and saltwater marshes. P. 526-534 in D. D. Hook et al., editors. The ecology and management of wetlands. Croom Helm, London, UK. 

  28. Park, MS (2012) A Taxonomic Study on the Genus Artemisia in Korea. Andong National University Doctoral Thesis. 

  29. Strong, DR, Jr Lawton, JH and Southwood, TRE (1984) Insects on Plants: community patterns and mechanisms. Oxford Blackwell Sci. 313p. 

  30. Simpson, RL, Good, RE, Leck, MA and Whigham, DF (1983) The ecology of freshwater tidal wetlands. Bio-Science, 33: 255-259. 

  31. Tiemann, JS, Gillette, DP, Wildhaber, ML and Edds, DR (2004) Effects of lowhead dam on riffle-dwelling fishes and macro-invertebrates in a Midwestern river.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Fisheries Society, 133: 705-717. 

  32. Western, CJ and Scheele, RJ (1996) Characteristics of estuaries, Planning Esuaries, Plenum Press. 

  33. Wang, X, Chen, W, Zhang, L, Jin, D and Lu, C (2010) Estimating the ecosystem service losses from proposed land reclamation projects: A case study in Xiamen. Ecological Economics, 69(12). 2549-2556. 

  34. Won, DH, Jun, YC, Kwon, SJ, Hwang, SJ, Ahn, KG and Lee, JK (2006) Development of Korean saprobic index using benthic macroinvertebrates and its application to biological stream environment assessment. J. of Korean Society on Water Quality, 22(5): 768-783. 

  35. Yeo, JK, Park, JH, Koo, YB, Kim, HC and Kim, HS (2010) Effects of NaCl concentration on the growth of native willow species collected in a coastal reclaimed land. Korean J.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43: 124-13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