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투사이미지 분석기반 고령자 주거우울 척도 타당화 연구
Validation of a Dwelling Depression Scale Based on Analysis of Projective Image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 문화기술의 융합, v.4 no.2, 2018년, pp.1 - 7  

이예원 (KAIST 문화기술대학원) ,  박종욱 (KAIST 문화기술대학원) ,  우성주 (KAIST 문화기술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주거환경이 고령자 삶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되면서 고령자우울 측정의 필요성이 부각된다. 특히, 고령자 인지특성, 생활환경 등 다양한 변수를 고려하여 측정 도구를 개발하는 것은 정확한 심리 진단에 매우 중요한 일이다. 본 연구에서는, 2018년도 1월 22일부터 2월 2일까지 7개 시 구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남 여 단독가구 고령자 301명을 대상으로 주거환경 속에서 나타나는 우울을 투사적 이미지를 적용하여 측정하였다. 이를 위해 주거우울과 투사이미지의 상관관계를 규명하였고, 요인분석을 통해 투사이미지 기반 측정도구를 보완하였다. 고령자주거우울지수(GDDI)와 '투사이미지 기반 고령자주거우울지수'의 상관관계를 규명하였으며, 척도의 정확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투사이미지를 활용한 설문은 서술형 설문과 높은 상관관계를 갖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주거우울을 측정할 수 있는 새로운 도구를 제안하여 투사기법을 이용한 심리 진단 연구의 발판을 제공한데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the living environment is regarded as a key factor that affects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the necessity for an accurate measurement of depression for the elderly has increased. In order to diagnose accurately, it is crucial to consider variables such as the cognitive characteristics 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단독가구 고령자를 대상으로 주거환경 속에서 나타나는 고령자 우울을 투사이미지의 특성을 적용하여 측정하고, 사용한 척도의 타당성 검증에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첫째, 주거우울과 투사이미지의 상관관계를 규명한다.
  • 본 연구는 주거우울을 측정할 수 있는 새로운 도구를 제안함으로서 투사이미지를 이용한 심리 진단 연구의 발판을 제공하였으며, 고령자우울의 심층적 이해에 기여한데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특히, 기존의 텍스트 중심의 설문에서 벗어나 문자에 대한 거부감 혹은 제한을 경험하는 집단에게 적용 가능한 척도로서 의미가 있다.
  • 본 연구에서는 단독가구 고령자의 주거우울을 측정하기 위해 투사이미지를 적용한 주거우울 척도를 개발하고, 척도의 타당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투사이미지를 기반의 주거우울 진단척도는 기존 텍스트 기반의 서술형 설문을 충분히 대체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우선, 척도 개발에 앞서 연속 척도 간 선형적 상관관계를 확인하여 대체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주거불만족 척도(D)와 우울척도(Q)를 합친 주거우울 척도(DQ) 24문항과 투사이미지 척도(I) 10개 문항의 상관성을 검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령자 우울이란 무엇인가? 고령자 우울은 신체적 퇴화, 경제적 빈곤, 사회적 고립 등을 원인으로 나타나며, 은퇴 이후 많은 시간을 주택에서 보내는 고령자의 경우, 그들이 거주하는 주택의 생활환경이 심리적 작용과 사회적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등 고령자 삶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된다. 선행 연구들은 주거환경요인을 고령자 우울을 매개로 하여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2]으로 지적하였으며, 주거환경이 고령자의 우울과 자존감에 영향을 준다고 보았다[3].
고령자 우울 측정에서 문맹률이 높은 고령자가 겪는 어려움은? 그러나 상대적으로 문맹률이 높은 고령자는 이러한 텍스트 자가진단 평가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실제 독해력이 없는 고령자의 경우, 질문 자체의 의미 파악에 어려움을 보이거나 선택을 하지 못하고 곤란해 하는 경우가 거의 대부분으로 나타난다[6]. 오감을 통한 정보 섭취 능력은 고령자의 경우 시각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감각기관 퇴화로 인한 공간의 지각 및 인지적 측면에 대한 환경계획 지침이 요구되고 있다[7].
고령자 우울을 측정하는 방법은? 주거환경을 둘러싼 고령자 정신건강 문제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함께 정확한 고령자 우울 측정 및 예측의 필요성도 부각된다. 국내의 경우, Geriatric Depression Rating Scale(GDS)[4]과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5] 등 외국에서 개발된 우울 측정 도구를 국내에 맞게 번안하여 고령자 우울을 측정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B. J. Seo, and S. C. Lee, "Network Analysis on Ageing Problems: Identity Network Difference between Types of Cities,"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Vol. 5, No. 2, pp.19-25, 2017. 

  2. K. M. Nam, and H. J. Nam, "The Influence of Older People's Satisfaction Factors of Housing Environment on Their Quality of Life: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and Depression,"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Vol. 44, No. 3, pp.395-420, 2013. 

  3. B. S. Choi, and J. A. Park, "An Effect of Housing Environment on Depression and Self-esteem in Analyzing the 4th Wave of Korea Welfare Panel Study Data in 2009,"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ol. 23, No. 5, pp.75-86, 2012, 

  4. J. Yesavage, T. L. Brink, T. L. Rose, O. Lum, V. Huang, M. Adey, and V. O. Leirer,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geriatric depression screening scale: A preliminary report," In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Vol. 17, No. 1, pp.37-49, 1982. 

  5. A. T. Beck, C. H. Ward, M. Mendelson, J. Mock, and J. Erbaugh, "An inventory for measuring depression."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Vol. 4, pp.561-571, 1961. 

  6. M. W. Jung, and K. N. Jung,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s and Characteristics in the Housing for the Elderly,"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 12, No. 11, pp.51-60, 1996. 

  7. Park, S. J, "The Preference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and the Images Applied to Preferable Color of the Elderly - Focused on the Living room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Vol. 25, No. 2, pp.13-20, 2016. 

  8. Kim, J. N., Choi, Y. K., & Chae, J. M, "North Korean Defectors' depression through the CES-D and the Rorschach test," The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Vol. 14, No. 2, pp.41-61, 2008. 

  9. M. W. Jung, and K. N. Jung,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s and Characteristics in the Housing for the Elderly,"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 12, No. 11, pp.51-60, 1996. 

  10. E. Diener, "Assessing subjective well- being: Progress and opportunities." Social Indicators Research, Vol. 31, pp.103-157. 1994. 

  11. S. B. Park, "Residential Factors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Quarterly, Vol. 23, No. 3, pp.731-760, 2011. 

  12. D. B. Kim, B. S. Yoo, and S. M. Shin, "The Effects of Housing Poverty on the Depression of the Elderly: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ervice."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Vol. 32, No. 4, pp.1041-1061, 2012. 

  13. Y. W. Lee, C. W. Park, and S. J. Woo, "Dwelling Depression Analysis Based on Correlation of Elderly Depression and Dwelling Satisfaction,"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Vol. 4, No. 1, pp.1-6, 2018. 

  14. Woo, S. J., and Park C. W., Smart distribution box for preventing an electric shock, Patent 10-2017-0158305, 2017. 

  15. J. H. Park, S. B. Lee, J. J. Lee, J. C. Y, J. W. Han, T. H. Kim, H. G. Jeong, P. A. Newhouse, W. D. Taylor, J. H. Kim, J. I. Woo, and K. W. Kim, "Epidemiology of MRI-defined vascular depression: A longitudinal, community-based study in Korean elders,"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Vol. 180, pp.200-206, July 2015. 

  16. C. G. Jung. Analysis of unconsciousness. Trans.Y. H. Seol. Seoul: Sun Young Publishing, pp.395, 2014. 

  17. Y. S. Park, Projective Test and Its Therapeutic Use for Professional, Seoul: Hana Medical Publisher, pp.329, 2001. 

  18. L. K. Frank, and J. Macy, "Projective Methods for the Study of Personality," Transactions of the New York Academy of Sciences, Vol 1, pp.129-132, June 1939. 

  19. J. S. Choi, K. M. Lee, "Research Trend of Projective Drawing Tests in Korea," Korean Journal of Art Therapy, Vol. 21, No. 1, 2014. 

  20. Baik, J. Y. "A Psychological Study on Children's Picture Using the Projective Drawing Test," Journal of art education, Vol. 32, pp.255-276, 2012. 

  21. S. J. Woo, and C. W. Park, "A study on developing a new self-esteem measurement test adopting DAP and drafting the direction of digitalizing measurement program of DAP," Journal of the HCI Society of Korea, Vol. 8, No. 1, pp.1-9. 2013. 

  22. G. O. Lee, H. S. Kim, J. D. Kwon, S. J. Kwon, H. Y. An, and Y. J. Jung, "Study on Living Condition of Older-Persons-Only Households,"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1989. 

  23. Choi, H, K. Study on Standardization of Korean Version of Psychiatric Diagnostic Screening Questionnaire (K-PDSQ): The Diagnostic Validity,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Korea.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