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까마귀쪽나무열매추출물의 유전독성 평가
Genotoxicity Study of Litsea japonica Fruit Flesh Extract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33 no.3, 2018년, pp.207 - 213  

윤지현 ((주)휴럼중앙연구소) ,  박인재 ((주)휴럼중앙연구소) ,  박성환 ((주)휴럼중앙연구소) ,  최구희 ((주)휴럼중앙연구소) ,  김현정 ((주)휴럼중앙연구소) ,  조주현 ((주)휴럼중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까마귀쪽나무열매추출물(LJF-HE)의 유전독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유전독성연구는 OECD와 MFDS(Korea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지침에 따라 복귀돌연변이시험, 염색체이상시험, 마우스 골수세포를 이용한 소핵시험을 실시하였다. 세균을 이용한 복귀돌연변이시험은 까마귀쪽나무열매추출물(LJF-HE) 처리군에서 S9 mix 존재유무에 상관없이 복귀돌연변이 콜로니 수는 음성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증가 양상을 나타내지 않은 반면에 양성 대조물질에서 유발된 복귀돌연변이 콜로니 수는 대사활성계 미적용(S9-) 및 적용(S9+)의 모든 시험 균주에 대하여 음성(용매)대조 값의 2배를 넘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염색체 이상 시험에서 까마귀쪽나무열매추출물(LJF-HE) 처리군에서 모든 세포주의 처리시간 및 S9 mix 존재유무에 상관없이 5%미만의 비정상적인 염색체이상을 나타내었으나, 음성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인 변화는 없었다. 소핵시험은 까마귀쪽나무열매추출물(LJF-HE) 처리군에서 음성 대조군과 비교하여 소핵을 가진 다염성 적혈구의 증가는 볼 수 없었으며 통계학적인 유의성도 나타나지 않았다. 상기의 결과를 종합하면 까마귀쪽나무열매추출물(LJF-HE)은 유전독성을 유발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genotoxicity of Litsea japonica fruit-hexane extract (LJF-HE). In order to examine the genotoxicity, we carried out bacterial reverse mutation assay, chromosome aberration assay, and a micronucleus induction (MN) test according to the OECD and the Korea Ministry of 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까마귀쪽나무의 열매와 잎의 항염증 작용을 비교하여 까마귀쪽나무의 열매 70% 에탄올 추출물이 NO생성억제, PGE2 생성억제, iNOS발현 억제 및 염증성 싸이토카인인 TNFα, IL-1β, IL-6가 모두 억제됨이 보고되었다8). 본 연구에서는 까마귀쪽나무열매추출물을 건강기능식품소재로 개발하기 위한 안전성 확인을 위해 복귀돌연변이시험, 염색체이상시험, 소핵유발시험을 통하여 유전독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까마귀쪽나무란 무엇인가? 까마귀쪽나무(Litsea japonica)는 한국의 남부지역 및 일본 등지에 분포하는 상록엽소교목으로 국내에서는 제주도를 비롯한 남해안 섬 및 울릉도 등에서 주로 자생한다1). 까마귀쪽나무 속은 설사, 구토, 뼈의 통증, 산후조리 목욕제 등으로 사용되어졌다고 보고되고 있으나2), 까마귀쪽나무에 대한 생리활성 연구는 많이 이루어져 있지 않다.
까마귀쪽나무 잎추출물의 생리활성 효과는 무엇인가? 까마귀쪽나무에는 lactones, terpenoids 및 alkaloids 등과 같은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들이 함유되어 있으며, 이러한 성분들의 분리정제 및 구조를 확인하는 연구가 주로 이루어 져왔다3,4). 까마귀쪽나무 대한 연구보고 등에 따르면, 까마귀쪽나무 잎추출물의 생리활성으로는 항산화 효과, HL60 암세포의 apoptosis를 유도효과 및 항염증 효과가 보고되었다5,6). 또한, 까마귀쪽나무의 잎에서 litsealactone A와 B, hamabiwalactone A와 B, akolactone B 등 5가지 lactone 성분이 분리되었으며, 이 중 hamabiwalactone B와 akolactone B에서는 항보체활성(anti-complement activity)이 있으며, hamabiwalactone A와 B 성분이 진통 및 항염증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었다1,7).
까마귀쪽나무열매추출물(LJF-HE)의 유전독성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된 방법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까마귀쪽나무열매추출물(LJF-HE)의 유전독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유전독성연구는 OECD와 MFDS(Korea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지침에 따라 복귀돌연변이시험, 염색체이상시험, 마우스 골수세포를 이용한 소핵시험을 실시하였다. 세균을 이용한 복귀돌연변이시험은 까마귀쪽나무열매추출물(LJF-HE) 처리군에서 S9 mix 존재유무에 상관없이 복귀돌연변이 콜로니 수는 음성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증가 양상을 나타내지 않은 반면에 양성 대조물질에서 유발된 복귀돌연변이 콜로니 수는 대사활성계 미적용(S9-) 및 적용(S9+)의 모든 시험 균주에 대하여 음성(용매)대조 값의 2배를 넘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Min B.S., Lee S.Y., Kim J.H., Kwon O.K,. Park B.Y., An R.B., Lee J.K., Moon H.I., Kim T.J., Kim Y.H., Joung H., Lee H.K.: Lactones from the leaves of the Litsea japonica and their anti-complement activity. J. Nat. Prod., 66, 1388-1390 (2003). 

  2. Jimenez-Perez N del C., Lorea-Hernandez F.G., Jankowski C.K., Reyes-Chilpa R.: Essential oils in mexican bays (Litsea spp., Lauraceae): Taxonomic assortment and ethnobotanical implications. Econ. Bot., 65, 178-189 (2011). 

  3. Tanaka H., Nakamura T., Ichino K.: Butanolides from Litsea japonica. Phytochemistry, 29, 857-859 (1990). 

  4. Takeda K., Sakurawi K., Ishii H.: Components of the Lauraceae family-l. New lactonic compounds from Litsea japonica. Tetrahedron, 28, 3757-3766 (1972). 

  5. Kim E., Boo H.J., Hyun J.H., Kim S.C., Kang J.I., Kim M.K., Yoo E.S., Kang H.K.: The effect of Litsea japonica on the apoptosis induction of HL-60 leukemia cells. Yakhak Hoeji, 53, 6-11 (2009). 

  6. Yoon W.J., Kang S.C., Ham Y.M., Kim K.N., Yang W.H., Kim H.J., Park S.Y., Jung Y.H.: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Litsea japonica leave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3, 27-32 (2010). 

  7. Koo H.J., Yoon W.J., Sohn E.H., Ham Y.M., Jang S.A., Kwon J.E., Jeong Y.J., Kwak J.H., Sohn E., Park S.Y., Jang K.H., Namkoong S., Han H.S., Jung Y.H., Kang S.C.: The analgesic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Litsea japonica fruit are mediated via suppression of NF- ${\kappa}B$ and JNK/p38 MAPK activation. Int. Immunophamacol., 22, 84-97 (2014). 

  8. Namkoong S., Jang S.A., Sohn E.H., Bak J.P., Sohn E., Koo H.J., Yoon W.J., Kwon J.E., Jeong Y.J., Meng X., Han H.S., Kang S.C.: Comparative Study of Litsea japonica Leaf and Fruit Extract on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Korean J. Plant Res., 28, 145-152 (2015). 

  9. OECD: OECD guideline testing of chemicals No. 471 Bacterial Reverse Mutation Test (2001). 

  10. Maron D.M., Ames B.N.: Revised methods for the Salmonella mutagenicity test. Mutat. Res., 113, 173-215 (1983). 

  11. Lee S.S., Park Y.H., Sohn Y., Ryu S.J., Surh Y.J.: Genotoxicity of capsaicin in cultured human lymphocytes. Environ Mutagen. Carcinogen., 15, 81-87 (1995). 

  12. Wakata A., Sasaki M.S.: Measurement of micronuclei by cytokinesis-block method in cultured Chinese hamster cells: Comparison with types and rates of chromosome aberrations. Mutat. Res., 190, 51-57 (1987). 

  13.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Guidelines for toxicity tests of drugs and related materials notification. Chungbuk, MFDS (2014). 

  14. Kim S.H., Chung M.J.: Safety and Anticancer Effects of Platycodon grandiflorum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4, 516-523 (2015). 

  15. Ham S.S., Hwangbo H.J., Cui C.B., Lee E.Y., Cho M.A., Lee D.S.: Suppressive Effects of Ethanol Extract of Aster scaber Root on Genotoxicity.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1, 466-471 (20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