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하판을 지원하는 초등 도형 학습 소프트웨어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Digital Geoboards for Geometrical Shapes Learning for Elementary Students 원문보기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v.22 no.3, 2018년, pp.385 - 396  

최지원 (전주교육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이용배 (전주교육대학교 컴퓨터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수학 도형 영역에서 기하판과 같은 구체적 조작도구를 활용하여 학습하면 추상적인 기하 개념을 이해하는데 효과적이며 학습 흥미도와 문제 해결 능력을 높여줄 수 있다. 현재까지 구체적 조작도구는 고전적인 교실학습 환경에서만 적용하고 있으며 온라인 환경에서는 거의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수학 도형 영역에서 다각형 주제를 기하판을 활용하여 학습할 수 있는 교육용 소프트웨어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소프트웨어의 기본 기능은 도형 그리기와 지우기 기능으로 구성되어 있고 학습한 내용의 도형을 맞게 그렸는지 확인할 수 있다. 연구에서 개발된 도구는 델파이 분석으로 도형 영역 학습에 도움을 줄 수 있고 학습 흥미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supports the idea that manipulative devices can be an effective modality tool for learning abstract concepts involved with identifying geometric shapes and enhance learners' problem solving and motivation. Until recently specified manipulative device has been adapted only in tradition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학교나 집에서 자유롭게 도형 영역 학습을 지원하는 디지털 기하판에 관한 연구나 학습 도구는 매우 적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하판을 지원하는 초등학교 4학년 수학 도형 학습 소프트웨어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도형 학습을 지원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또한 기존의 도형 학습에서 학습 효과를 객관적으로 인정받은 기하판을 활용하는 도형 학습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는데 초점을 둔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도형 학습을 지원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또한 기존의 도형 학습에서 학습 효과를 객관적으로 인정받은 기하판을 활용하는 도형 학습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는데 초점을 둔다.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수학 도형 학습 단원 중 4학년 다각형 주제에 대해 학생들이 집에서도 스스로 학습할 수 있도록 디지털 기하판 교구를 개발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도형 학습 소프트웨어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 도형에 대한 내용은 4학년 1학기 3단원 각도와 삼각 형에서 이등변 삼각형과 정삼각형 내용을 다루고 있으며 4학년 2학기 3단원 다각형에서 사다리꼴, 평행사변형, 마름모, 직사각형, 정사각형에 대한 내용을 학습한다. 본 연구팀은 이 영역의 학습 내용만을 추출하여 도형 학습 소프트웨어에서 학습을 지원하고자 하였다.
  • 이 단계의 학습자는 수학 전공자나 수학자 수준에서 기하학습을 하고 적용할 수 있다. 학습자는 연역적 기하학을 기반으로 사고하며 비 유클리드 기하학을 연구하고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이 단계의 학습자는 기하학 법칙과 그것이 비 수학적 연구와 어떻게 철학적으로 다른지도 해석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학 도형 영역에서 구체적 조작도구를 활용한 학습의 이점은? 수학 도형 영역에서 기하판과 같은 구체적 조작도구를 활용하여 학습하면 추상적인 기하 개념을 이해하는데 효과적이며 학습 흥미도와 문제 해결 능력을 높여줄 수 있다. 현재까지 구체적 조작도구는 고전적인 교실학습 환경에서만 적용하고 있으며 온라인 환경에서는 거의 없었다.
설계한 교육용 소프트웨어의 기본 기능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수학 도형 영역에서 다각형 주제를 기하판을 활용하여 학습할 수 있는 교육용 소프트웨어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소프트웨어의 기본 기능은 도형 그리기와 지우기 기능으로 구성되어 있고 학습한 내용의 도형을 맞게 그렸는지 확인할 수 있다. 연구에서 개발된 도구는 델파이 분석으로 도형 영역 학습에 도움을 줄 수 있고 학습 흥미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실제 수업에서 사용하는 구체적인 조작물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이와 병행하여 수학교육 분야에서 많은 연구자들은 수학의 추상적인 개념이나 복잡한 이론을 학습자에게 쉽게 교육하기 위한 방법으로 다양한 교구 활용법을 개발하고 제안해 왔다[3,8,14]. 실제 수업에서도 주사위(dice), 탱그램(tangram), 패턴 블록(pattern block), 디네스 블록(dienes block), 펜토미노(pentomino), 기하판(geoboard) 등의 구체적인 조작물을 활용하여 교육하는 방법이 그 결과물이라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Abdul Halim Abdullah, Effandi Zakaria(2013), The Effects of Van Hiele's Phases of Learning Geometry on Students' Degree of Acquisition of Van Hiele Levels, Procedia -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102, 251-266. 

  2. Bae Jin Seong, Kapsu Kim(2010), A Development and Applications of Problem Solving Tool for Learning Geometr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14(3), 449-459. 

  3. Caleb Gattegno, en.wikipedia.org/wiki/Caleb_Gattegno 

  4. Geoboards, en.wikipedia.org/wiki/Geoboard 

  5. Geometry Board, www.mathplayground.com 

  6. Hsiu-Lan Ma, De-Chih Lee, Szu-Hsing Lin, Der-Bang Wu(2015), A Study of Van Hiele of Geometric Thinking among 1st through 6th Graders, Eurasia Journal of Mathematics, Science & Technology Education, 11(5), 1181-1196. 

  7. KapSu Kim, TaeHo You(2008), Development of Rich Internet Application in the Three-Dimensional Shapes of Elementary Mathematic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12(4), 395-404. 

  8. Kim Min Kyeong(2001), Investigation of Geoboards in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J. Korea Soc. Math. Ed. Ser. C: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5(2), 111-119. 

  9. Lee Ju Yong, Choi Jae Ho(2001), The Effects of 4D-Frame Teaching upon Mathematically Gifted Elementary Students' Mathematical Creativity and Spatial Sense, Education, J. Korea Soc. Math. Ed. Ser. C: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16(1), 1-20. 

  10. Ministry of Education(1997), 7th Mathematics Curriculum, 1997-15. 

  11. Ministry of Education(2015), Mathematics Curriculum, 2015-74. 

  12. Park Mangoo, Choi Koh, Sang Soon, Jung Inchul, Kim Eun Young(2010), The Effects of Using the Geometric Manipulative for the Development of Spatial Sense,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13(2), 303-322. 

  13. Son Sook-Hyun(2002), The Effects of Club Activities with Mathematical Materials on Students' Mathematical Dispositions and Figure Learning Activ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Daeg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4. SangYoon Lee, Kapsu Kim(2012), A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Learning Objects of Geometry based on Augmented Realit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16(4), 451-462. 

  15. Ung-Kyu Park, Byung-Hong An(2006),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BI Courseware based on Learning Activities for Studying Angle Subject at Elementary School,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6(12), 192-200. 

  16. Vojkuvkova(2012), The van Hiele Model of Geometric Thinking, WDS'12 Proceedings of Contributed Papers, Part I, 72-75. 

  17. Whang Woo Hyung, Lee Ji Yon(2000), A Qualitative Study on the Effect of Geoboard Activities, J. Korea Soc. Math. Ed. Ser. A: The Mathematical Education, 39(1), 21-36. 

  18. Yun-mi Koo, Byung-oh Goh(2010), A Study on Development of Diagram Teaching & Learning System for Low-Leve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14(3), 395-4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