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3-5세 일반아동의 말소리에 대한 융합적 분석: 단어와 자발화를 중심으로
Convergent Analysis on the Speech Sound of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ged 3 to 5 : Focused on Word Level and Connected Speech Level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9 no.6, 2018년, pp.125 - 132  

김윤주 (가천대학교 통합발달심리센터) ,  박현주 (가천대학교 특수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단어 및 자발화 평가를 통해 학령전 아동의 말소리 산출 특성과 평가 관련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3-5세 일반아동 72명(연령별 각각 24명)을 대상으로 아동용발음검사(APAC)를 실시하고, 연령과 성별에 따른 자음정확도와 명료도의 차이, 자음정확도와 명료도 간 상관관계, 자음 위치 및 조음 방법에 따른 말소리 오류 패턴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자음정확도와 명료도는 연령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었고, 상관관계는 5세 집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했으며, 말소리 오류 패턴 또한 두 평가에서 다르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아동의 말소리 산출이 언어단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기에, 이들의 말소리 능력을 적절히 파악하려면 단어뿐 아니라 자발화 평가가 병행되어야 함을 보여주었다. 이는 단어에 대한 자음정확도만으로 언어장애 등급을 판정하는 현재 기준에 대한 재검토와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peech sound production characteristics and evaluation aspects of preschool children through word test and connected speech test. For this, the authors conducted Assessment of Phonology and Articulation for Children(APAC) to 72 normal children(24 three-, four-, an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단어 평가의 자음정확도와 자발화 평가의 명료도를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 위해서는 좀 더 다양한 연령대의 다수의 일반아동과 다양한 말소리장애아동 집단을 대상으로 자음정확도가 일상적인 의사소통상황에서의 말 명료도를 충분히 대표할 수 있는지를 점검할 필요가 있다.
  • 본 연구에서는 학령전 아동의 말소리 평가 및 중재를 위한 실제적인 정보를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3-5세 일반 아동을 대상으로 낱말 수준과 자발화 수준의 말소리를 수집하여 자음정확도와 명료도를 산출하고 개별적인 오류 패턴을 분석하여 살펴보았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3-5세 학령전 아동의 말소리 산출 특성이 단어 평가와 자발화 평가에서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연령과 성별에 따른 자음정확도와 명료도의 차이를 분석했으며, 두 평가에서 측정된 자음정확도와 명료도가 상관이 있는지를 살펴보고, 그에 따른 오류패턴을 분석하여 아동의 말소리 평가와 중재를 위한 임상적 기초 정보를 얻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명료한 말 산출은 무엇인가? 명료한 말 산출은 사회구성원으로서 자신의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전제조건이다. 인간은 출생과 더불어 옹알이 시작을 필두로 모국어 음운체계를 꾸준하면서도 역동적으로 내재화한다.
인간의 언어 발달 특징은? 인간은 출생과 더불어 옹알이 시작을 필두로 모국어 음운체계를 꾸준하면서도 역동적으로 내재화한다. 생후 2년을 전후로 간단한 단어들을 나열하다가 좀 더 복잡하고 긴 문장수준으로 언어발달이 진행되면, 아동의 말소리 산출 능력 또한 급격히 발달하게 된다.
역동 모델에서 인간의 조음과정은 어떻게 정의되는가? Saltzman(1986)의 역동 모델에서는 인간의 조음과정을 뇌에서 정한 목표치에 맞게 각 구조들이 적절한 운동 궤적으로 정확하게 협응하는 탄력적인 속성을 지닌 과정으로 정의하고 있다[1]. 조음 발달과 관련해 이 모델을 따르면, 초기 아동기는 각각의 조음기가 성장하면서 협응의 시기와 그 정도가 시시각각 탄력적으로 변화하는 시기라고 볼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E. Saltzman. (1986). Task Dynamic Coordination of the Speech Articulators : A Preliminary Model. In H. Heuer & C. Fromm (Eds.), Experimental Brain Research Series 15 (pp. 129 - 144). New York : Springer - Verlag. DOI : 10.1007/978-3-642-71476-4_10 

  2. L. M. Justice & E. E. Redle. (2014).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s : A Clinical Evidence-Based Approach (3rd ed.). Upper Saddle River, NJ : Pearson Prentice Hall. 

  3. Y. Yunusova, G. Weismer, R. D. Kent & N. M. Rusche. (2005). Breath - Group Intelligibility in Dysarthria : Characteristics and Underlying Correlates,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8(6), 1294 - 1310. DOI : 10.1044/1092-4388(2005/090) 

  4. S. J. Kim, K. S. An & E. Ko. (2015). Correlation Among Syllable Accuracy, Number of Incorrect Consonants, and Speech Intelligibility of Children with Articulation and Phonological Disorders. The Korean Society of Education for Hearing-Language Impairments, 6(1), 135-147. UCI : G704-SER000004215.2015.6.1.009 

  5. J. Y. Lee, E. H. Kang & O. B. Lee. (2016). A Study of Vocabulary Intelligibility and Speech Naturalness of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Journal of Speech - Language & Hearing Disorders, 25(4), 273 - 282. DOI : 10.15724/jslhd.2016.25.4.021 

  6. T. Y. Ching, N. X. Rattansasone. G. Macdonald, V. W. Zhang, L. Button & K. Demuth. (2015). Intelligibility of Speech Produced by Children with Hearing Loss : Conventional Amplication Versus Nonlinear Frequency Compression in Hearing Aids.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Studies & Hearing Aids, 3, 1-8. DOI : 10.4172/2375-4427.1000135 

  7. J. Coplan & J. R. Gleason. (1988). Under Speech : Recognition and Significance of Unintelligible Speech in Preschool Children. Pediatrics, 82, 447-452. 

  8. J. S. Han & H. S. Shim. (2008). Comparisons of the Percentage of Correct Consonants, Speech Intelligibility, and Speech Acceptability Among Children with Cleft Palate, Children with Functional Articulation Disorder, and Normally Developing Children.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13(3), 454 - 476. UCI : G704-000725.2008.13.3.006 

  9. J. S. Han. (2010). Comparisons of the Percentage of Correct Consonants, Speech Intelligibility, and Speech Acceptability of Single-Syllable Words in Children with Cleft Palate, Children with Functional Articulation Disorder,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15(3), 397-410. UCI : G704-000725.2010.15.3.011 

  10. V. Giacchini & H. B. Mota. (2015). Comparison Between the Classification Based on Features and Percentage of Correct Consonants in Speech Disorders. Review of CEFAC, 17, 72-77. DOI : 10.1590/1982-0216201517s10413. 

  11. L. D. Shriberg & J. Kwiatkowski. (1982b). Phonological Disorder II : A Conceptual Framework for Management.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47(3) 242-256. DO : 10.1044/jshd.4703.242 

  12. L. D. Shriberg & J. Kwiatkowski. (1982c). Phonological Disorders III: A Procedure for Assessing Severity of Involvement.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47(3), 256-270. DOI : 10.1044/jshd.4703.256 

  13. L. D. Shriberg, D. M. Aram & J. Kwiatkowsk. (1997). Developmental Apraxia of Speech : Toward a Diagnostic Maker.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0, 286-312. DOI : 0.1044/jslhr.44002.286 

  14. S. J. Kim & J. Y. Shin. (2015). Speech Sound Disorders, Seoul : Sigmapress. 

  15. C. Jin, H. J. Choi & J. Y. Lee. (2016). Usefulness of Spontaneous Speech Analysis Scales in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Dementia of Alzheimer's Type.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1(2), 284-294. DOI : 10.12963/csd.16310 

  16. G. I. Kim, E. N. Sohn & H. R. Park. (2017). Improving the Efficiency of Reliable Size in Spontaneous Speech Sample Analysis: Focusing on Analysis of Productive Vocabulary Size. Journal of Speech-Language & Hearing Disorders, 26(3), 13 - 19. DOI : 10.15724/jslhd.2017.26.3.002 

  17. S. J. Kim, Y. K. Ko, E. Y. Seo & G. A. Oh. (2017). Prevalence of Speech Sound Disorders in 6-Year-Old Children in Korea.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 22(2), 309-317. DOI : 10.12963/csd.17403 

  18. S. M. Kang. (2017). Connected Speech in Listening and Speaking. The Journal of Linguistic Science, 80, 1-15. DOI : 10.21296/jls.2017.03.80.1 

  19. J. H. Hong & S. Y. Bae. (2002). A Study on the Syllable-Final Development of the Children from Age 2 to 5,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7(2), 297 - 307. 

  20. H. J. Jeon & S. H. Lee. (1999). The Development of Korean /s/ (/ㅅ/) and /s'/ (/ㅆ/) in Normal Children of Ages 2-7 Years.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4, 37 - 59. 

  21. M. J. Kim & S. Y. Bae. (2005), The Percentage of Consonants Correct and the Ages of Consonantal Aquisition for Korean - Test of Articulation for Children (K-TAC). Speech Science, 12 (2), 139-149. 

  22. Y. T. Kim. (1996). A Study on PCC of Preschool Children with Pictures. Research of Speech - Language Disorders, 1, 7-33. 

  23. Y. T. Kim, K. H. Hong, K. H. Kim, H. S. Jang & J. Y. Lee. (2009). Receptive & Expressive Vocabulary Test (REVT). Seoul : Seoul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24. M. J. Kim, S. Y. Bae & C. L. Park. (2007). APAC : Assessment of Phonology for Children. Inchoen : Human Brain Research & Consulting. 

  25. M. M. Watson & G. P. Scukanec. (1997b). Profiling the Phonological Abilities of 2-Year - Olds : A longitudinal Investigation. Child Language Teaching and Therpy, 13, 3-14. DOI : 10.1177/026565909701300102 

  26. P. J. Flipson. (2006b). Measuring the Intelligibility of Conversational Speech in Children. Clinical Linguistics and Phonetics, 20 (4), 303 - 312. DOI : 10.1080/02699200400024863 

  27. M. H. Bornstein, C. S. Hahn & O. M. Haynes. (2004). Specific and General Language Performance Across Early Childhood : Stability and Gender Considerations. First Language, 24, 267-304. DOI : 10.1177/042723704045681 

  28. M. S. Yun & S. H. Lee. (1998). A Comparative Study on the Measures of Intelligibility and Percent -ages of Consonants Correct Between Phonologically Disordered and Normal Children. Research of 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3, 50-67. 

  29. S. Roulstone, S. Loader, K. Northstone & M. Beveridge. (2002). The Speech and Language of Children Age 25 Months : Descriptive Data from the Avon Longitudinal Study of Parents and Children.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172(3), 259-268. DOI : 10.1080/03004430212126 

  30. S. Y. Bae. (1996). Korean Child Language Development.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oniatrics and Logotedics, 7 (1), 98-10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