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건강증진 생활양식, 신종전염병 감염에 대한 건강신념 및 위생행위 간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Health Promoting Lifestyle, Health Belief about Emerging Infectious Disease and Hygiene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0 no.4, 2019년, pp.285 - 293  

신선화 (삼육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건강증진 생활양식, 신종전염병에 대한 건강신념 및 위생행위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수행하였다. 서울에 소재한 일개 대학에서 252명 대학생이 건강증진 생활양식, 신종전염병에 대한 건강신념 및 위생행위에 관한 질문을 포함하는 온라인 설문조사에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대학생의 성별과 지각된 건강상태에 따라 건강증진 생활양식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신종전염병 예방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대학생과 그렇지 않은 대학생에서 위생행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대학생의 위생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전공, 건강증진 생활양식 및 신종전염병에 대한 건강신념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건강관련 교육을 적용함에 있어서 신종전염병에 관한 건강신념을 확립할 수 있는 교육내용을 포함할 필요가 있으며, 신종전염병을 예방할 수 있는 위생행위를 포괄적으로 다루는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relationships between the levels of health promoting lifestyle, health beliefs about emerging infectious disease and hygiene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A descriptive research design was used, and 252 subjects were recruited from an university in Seoul. Data wer...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개인의 특징적인 생활방식인 건강증진 생활양식, 신종전염병에 대한 건강신념, 일상생활 속에서 수행하는 위생행위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수행하였으며, 대학생을 대상으로 건강관련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차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건강증진 생활양식, 신종전염병 감염에 대한 건강신념 및 위생행위 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일개 대학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건강증진 생활양식, 신종전염병에 대한 건강신념 및 위생행위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신종전염병에 대한 건강신념이 위생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수행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논의하고자 한다.
  • 이처럼 다양한 신종 감염질환이 발생하는 현대인에게 일상생활의 전반에 걸쳐 위생행위를 수행하도록 강조해야 하며, 평소 습관처럼 행해지는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감염을 예방하는 위생행위 실천이 관련이 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생의 건강증진 생활양식, 신종전염병 감염에 대한 건강신념이 감염예방을 위한 위생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수행하였으며,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둘째, 건강증진 생활양식, 신종전염병 감염에 대한 건강신념이 위생행위에 영향을 미치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종전염병는 어떠한 병들이 있는가? 최근 중동호흡기증후군 메르스(Middle East RespiratorySyndrom, MERS), 중증 급성호흡기증후군 사스(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SARS), 신종인플루엔자 A (H1N1) 등과 같은 신종전염병이 만연해지면서 감염에 대한 공포와 두려움은 단순한 의료 문제가 아닌 사회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복합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신종전염병은 일상생활에서 경험하는 스트레스보다 극심하고 광범위하며 통제할 수 없는 디스트레스를 유발하며[1], 감염환자의 치사율은 국가마다 다양하지만 대유행이 발생하면 상당한 인명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2].
건강신념의 최근 동향은? 오늘날 사회경제가 발전함에 따라 신체건강뿐만 아니라 정신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으며, 고령화 시대에 접어들면서 건강하게 오래 사는 것에 대한 가치가 증가하였다. 대학생은 청소년기를 보낸 후 성인기에 접어드는 초기 성인기에 해당하며, 부모로부터 심리적 독립과의존 간의 균형을 유지하면서 자아정체성을 확립해 가는 중요한 시기이다.
위생의 의미는 ? 신종전염병 감염예방을 위한 행동지침으로 세계보건기구에서는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 옷소매나 휴지로 가리기와 손 씻기를 강력히 권고하고 있으며[4], 이는 평소에 실천하는 위생행위와 연관이 깊다. ‘위생’이란 삶을 저해하거나 해를 끼치는 것을 제거하여 삶을 지키는 일을 의미하며[5], 질병 예방 및 치유, 건강증진을 도모하기 위해 세균의 전파 및 감염을 예방하는 것을 의미한다. 위생에는 손 위생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이루어지는 개인위생, 식품위생, 가정위생, 환경위생 등을 포함하며, 대부분의 감염성 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위생행위를 실천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 Main, Q. Zhou, Y. Ma, L. J. Luecken & X. Liu. (2011). Relations of SARS-related stressors and coping to Chines college students' psychological adjustment during the 2003 Beijing SARS epidemic.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8(3), 410-423. DOI : 10.1037/a0023632 

  2. W. J. Kim. (2009). Epidemiology, clinical manifestations, and management of pandemic novel Influenza A (H1N1).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77(2), 157-164. 

  3. D. H. Lee, J. Y. Kim & H. S. Kang. (2016). The emotional distress and fear of contagion related to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MERS) on general public i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35(2), 355-383. 

  4.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8). Pandemic (H1N1). http://www.who.int/en 

  5. Wikipedia. (2017). Hygiene. https://ko.wikipedia.org/wiki/%EC%9C%84%EC%83%9D 

  6. H. S. Choi. (2015). Comparison of hygiene behavior between college students and adult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5(4), 315-322. 

  7. K. Glanz, B. K. Rimer & K. Viswanath. (2008). Health behavior and health education: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4th ed. San Francisco : Jossey-Bass, pp.45-62. 

  8. O. Erkin & S. Ozsoy. (2012). Validity and reliability of health belief model applied to influenza. Academic Research International, 2(3), 31-40. 

  9. G. Guvenc, A. Akyuz & C. H. Acikel. (2011). Health belief model scale for cervical cancer and Pap smear test: psychometric testing.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7(2), 428-437. DOI : 10.1111/j.1365-2648.2010.05450.x 

  10. N. H. Choi, H. S. Ahn & S. Lee. (2011). Comparison of health belife levels and health behavior practices according to lifestyle among adults residing in Seoul.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16(6), 683-696. DOI : 10.5720/kjcn.2011.16.6.683 

  11. O. H. Bae & S. O. Hong. (2008). The study of the effect of self-differentiation degree on stress level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in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7(1), 27-34. DOI : 10.5934/KJHE.2008.17.1.027 

  12. H. K. Kim. (2007). Gender differences in health promoting behavior and related factors among university students using Pender's health promotion model.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21, 201-222. 

  13. J. H. Lee & W. Hu. (2017). Body image perception, weight control and dietary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in Daejeon.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26(4), 353-367. DOI : 10.5934/kjhe.2017.26.4.353 

  14. M. R. Lee. (2012). The relationship between alcohol use and drinking problems amo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3(10), 4619-4628. DOI : 10.5762/KAIS.2012.13.10.4619 

  15. H. S. Kim, E-G. Oh, H-K. Hyong & E. S. Cho. (2008).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on lifestyle i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9(3), 506-520. 

  16. M. S. Lee & M. K. Woo. (2003). Differences in the dietary and health-related habits and quality of diet in university students living in Deajeon.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8(1), 33-40. 

  17. N. J. Pender. (1987). Health promotion in nursing practice. First edition.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Hall. 

  18. M. S. Ko & J. N. Jeong. (2012). The mediating effects of health promoting lifesty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tress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of health department colleg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6(4), 131-142. DOI : 10.12811/kshsm.2012.6.4.131 

  19. B. J. Cowling, K. H. Chan, V. J. Fang, C. K. Cheng, R. O. Fung, W. Wai, J. Sin, W. H. Seto, R. Yung, D. W. Chu, B. C. Chiu, P. W. Lee, M. C. Chiu, H. C. Lee, T. M. Uyeki, P. M. Houck, J. S. Peiris & G. M. Leung. (2009). Facemasks and hand hygiene to prevent influenza transmission in households: a cluster randomized trial. Annals Internal Medicine, 151(7), 437-446. 

  20. R. I. Ejemot-Nwadiaro, J. E. Ehiri, D. Arikpo, M. M. Meremikwu & J. A. Critchley. (2015). Hand washing promotion for preventing diarrhoea. Cochrane Database Systematic Reviews, Sep 3(9), CD004265. DOI : 10.1002/14651858.CD004265.pub3 

  21. A. E. Aiello, E. L. Larson & R. Sedlak. (2008). Personal health bringing good hygiene home. American Journal of Infection Control, 36(10 Suppl), 152-165. DOI : 10.1016/j.ajic.2008.09.009 

  22. K. S. Kim, J. S. Jeong & S. H. Choi. (2012). Survey for hygiene behavior on healthcare personnel by hygiene inventory 23. Journal of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17(1), 40-51. 

  23. J. H. Kim, D. H. Byeon, M. J. Kim, S. S. Sim, H. S. Choo, G. J. Chai & C. Y. Gawk. (2011). Handwashing and prevention measures for new types of influenza. Journal of Korean Biology Nursing Science, 13(1), 16-22. 

  24. S. N. Yun & J. H. Kim. (1999). Health-promoting behaviors of the women workers at the manufacturing industry-based on the Pender's health promotion model-.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8(2), 130-140. 

  25. R. J. Stevenson, T. I. Case, D. Hodgson, R. Porzg-Drummond, J. Barouei & M. J. Oaten. (2009). A scale for measuring hygiene behavior: development, reliability and validity. American Journal of Infection Control, 37(7), 557-564. DOI : 10.1016/j.ajic.2009.01.003 

  26. S. H. Hong. (2018). Convergence study of health promoting behaviors between nursing students and general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6), 339-346. DOI : 10.15207/JKCS.2018.9.6.339 

  27. R. L. Lee & A. J. Loke. (2005). Health-promoting behaviors and psychosocial well-being of university students in Hong Kong. Public Health Nursing. 22(3), 209-220. DOI : 10.1111/j.0737-1209.2005.220304.x 

  28. S. M. Park, J. Y. Lee & J. S. Choi. (2010). Affecting factors on health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during pandemic influenza A (H1N1).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6(2), 249-256. 

  29. S. O. Bin. (2012). Structure relationships of knowledge, perception, attitude and preventive behavior for communicable disease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Health Informatics and Statistics, 37(2), 57-7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