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열취약성 평가를 통한 열환경 개선 정책 제시 - 대구광역시를 사례로 -
Policies for Improving Thermal Environment Using Vulnerability Assessment - A Case Study of Daegu, Korea -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21 no.2, 2018년, pp.1 - 23  

김권 (계명대학교 건축학과) ,  엄정희 (계명대학교 생태조경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열환경 개선 정책을 효율적으로 수립하기 위해 정책과 연계한 열 취약성 평가 방법을 제시하였다. 평가지표 선정을 위해 국내 17개 도시의 열환경 개선 정책과 국내 외 35개 선행연구의 열환경 평가지표를 고찰하였고, 최종적으로 열환경 개선정책과 연계된 15개 열취약성 평가지표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지표는 열지수, PM10 농도, 지표면 온도, 건물 표면적, 5세 미만 인구, 심혈관 질환자 수 등이 있다. 또한, 선정된 평가지표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확보하였다. 평가지표의 적용을 위해 사례지역인 대구광역시의 열환경 취약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는 $30m{\times}30m$ 해상도를 기준으로 수집하였다. 이후 Z-Score와 매트릭스 방법을 활용하여 4개 등급으로 구분된 대구광역시의 열환경 취약성 평가 결과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대구광역시에서 열에 가장 취약한 1등급의 면적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동구였으며, 그 다음으로 달서구, 북구 순으로 높았다. 또한, 대구광역시의 139개 동 중에서 열취약성 1등급의 면적비율이 가장 높은 동은 동구의 안심1동이었는데, 15개 지표의 표준화 지수를 살펴본 결과 열취약성과 가장 높은 관계성을 가지는 요인이 되는 것은 기초생활수급자의 수, 심혈관 계통 사망자의 수, 열지수, 지표면온도 순 이었다. 이에 따라, 안심1동의 열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시행해야하는 정책은 무더위 쉼터의 확충과 관리, 온열환자 감시체계 및 DB 구축, 도심내 그늘 확대 등의 정책이 우선적으로 시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열환경 개선 정책과 평가지표를 연계시켜 활용함으로써 도시 군관리계획, 지구단위계획 등에서 전략적이며 효율적인 열환경 개선 정책을 수립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way for evaluating thermal environment vulnerability associated with policy to improve thermal environment. For this purpose, a variety of indices concerning thermal vulnerability assessment and adaptation policies for climate change applied to 17 Korean cities were rev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도시 열환경 취약성 평가에 관한 국내 사례의 특징을 분석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고찰하였다. Eum(2016)은 서울특별시를 대상으로 열환경 취약성 평가를 하였는데, 국내에서 사용하지 않았던 도시구조적 및 공간적 지표를 활용하기 위해 국내·외의 취약성 평가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평가지표를 선정하였다.
  • 본 연구는 열환경 개선 정책을 효율적으로 수립하기 위해 정책과 연계한 열 취약성 평가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내·외 열환경 취약성 평가에 관한 연구들 및 국내 지자체에서 시행된 열환경 개선 및 열섬완화 정책들을 고찰하였다.
  • 본 연구는 정책과 연계한 지표를 선정하고 이를 활용하여 열취약성 평가를 수행한 후, 열에 취약한 지역의 열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시행해야 하는 정책을 제시하는 등 열환경 개선 정책을 전략적으로 제시할 수 있는 열환경 정책과 연계한 효율적인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하지만, 열취약성 평가를 위한 기초자료의 한계로 인해, 기초생활수급자, 질병사망자수에 관한 자료를 각각 읍면동 단위 및 구군 단위로 수집하는 등 지표별 동일한 기준의 자료를 사용하지 못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열환경 개선 정책을 효율적으로 수립하기 위해 정책과 연계한 열 취약성 평가 방법을 제시하였다. 취약성 평가로 도출된 취약지역에 대해 효과적이면서 전략적인 정책을 제시하기 위해 국내 지자체의 열환경 개선 정책과 국내·외의 열환경 취약성 평가 선행연구를 고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Z-score의 특징은 무엇인가? , 2010) 계산한 Z-score를 표준화지수로 변환하여(식 2) 그리드별로 값을 산출하였다. Z-score는 음수부터 양수의 범위를 가지며, 표준편차를 단위로 설정하여 측정된 값으로 평균에서 일탈된 정도를 도출할 수 있다. 표준화지 수는 Z-score를 0과 1사이의 수치로 변환한 값이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재해취약성 분석방법은 어느 지침에 명시되어 있는가? 취약성을 분석하기 위해 한국의 국토교통부령의 행정규칙인「도시 기후변화 재해취약성분석및 활용에 관한 지침」에서 명시하고 있는 재해취약성 분석방법을 활용하였다. 위 방법은 한국의 지자체에서 기후변화에 대한 재해취약성을 평가하는데 보편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방법이다.
재해취약성 분석방법의 순서는 어떻게 되는가? 위 방법은 한국의 지자체에서 기후변화에 대한 재해취약성을 평가하는데 보편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방법이다. 분석방법의 순서는 Excel을 활용한 Z-Score법과 표준화지수를 이용한 표준화 방법, ArcGIS 프로그램의 자연적구분법(jenks의 최적화방법)을 이용한 노출부문과 민감도부문의 등급구간 분류 방법, 매트릭스를 사용한 열환경 취약성 등급화 순이다. 먼저, 취약성을 분석하기 위해서 측정단위가 서로 다른 분석지표 간에 직접적인 비교를 가능하게 하는 표준화 과정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4)

  1. Ahn. Y.J., Y.E. Kang. and C.S. Park. 2016. Developing Indexes for Analyzing Severe Heat Hot Spot Under Climate Change.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51(4):199-209 (안윤정, 강영은, 박창성. 2016. 기후변화에 따른 폭염 관심지역(Hot spot) 평가 지표 개발 및 적용.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51(4):199-2009). 

  2. Aubrecht. C and D. Ozceylan. 2013. Identification of heat risk patterns in the U.S. National Capital Region by integrating heat stress and related vulnerability. Environ. Int. 56: 65-77. 

  3. Busan Metropolitan City. 2012. Climate Change Adaptation Plan of Busan Metropolitan City(2012-2016) (부산광역시. 2012. 부산광역시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2012-2016)). 

  4. Cao. C., X, Lee., S. Liu., N. Schultz., W. Xiao and L. Zhao. 2016. Urban heat islands in China enhanced by haze pollution. Nat. Commun 7:12509. doi: 10.1038/ncomms12509. 

  5. Chow. W.T.L., W.C. Chuang and P. Gober. 2012. Vulnerability to extreme heat in metropolitan phoenix: Spatial, temporal, and demographic dimensions. Prof. Geogr. 64, 286-302. 

  6. Christenson. M., S. D. Geiger., J. Phillips., B. Anderson., G. Losurdo and H.A. Anderson. 2016. Heat vulerability index mapping for Milwaukee and Wisconsin. Journal of Public Health Management and Practice 23(4):396-403. 

  7. Chung, J.W., W.K. Lee., G.S. Cui., S.C. Lee., S.H. Choi and H.A. Choi. 2010. Application Study of Vulnerability Assessment Models for Water Resources to Climate Change by Spatial and Watershed Scales. Climate Change Research 1(1):21-30 (정지웅, 이우균, 최계선, 이상철, 최성호, 최현아. 2010. 수자원기후변화 취약성 평가모형의 공간 및 유역규모별 적용 연구. 한국기후변화학회지 1(1): 21-30. 

  8. Daegu Metropolitan City. 2010. 2020 Daegu Metropolitna City Master Plan (대구광역시. 2010. 2020 대구도시기본계획). 

  9. Daegu Metropolitan City. 2012. Climate Change Adaptation Plan of Daegu Metropolitan City(2012-2016) (대구광역시. 2012. 대구광역시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2012-2016)). 

  10. Daejeon Metropolitan City. 2012. Climate Change Adaptation Plan of Daejeon Metropolitan City(2012-2016) (대전광역시. 2012. 대전광역시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2012-2016)). 

  11. Dong. W.H., Z. Liu., L.J. Zhang., Q.H. Tang., H. Liao and X.E. Li. 2014. Assessing Heat Health Risk for Sustainability in Beijing's Urban Heat Island. Sustainability. 6:7334-7357. 

  12. El-Zein. A and F.N. Tonmoy. 2015. Assessment of vulnerability to climate change using a multi-criteria outranking approach with application to heat stress in Sydney. Ecol. Indic. 48:207-217. 

  13. Eum. J.H. 2016. Vulnerability Assessment to Urban Thermal Environment for Spatial Planning: A Case Study of Seoul, Korea.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4(4):109-120 (엄정희. 2016. 공간계획 활용을 위한 도시 열환경 취약성 평가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44(4):109-120). 

  14. Eum. J.H. and J.M. Son. 2016. Management of the Nakdong-Jeongmaek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Cold Air: Focused on Busan, Ulsan, Pohang.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4(5): 103-115 (엄정희, 손정민. 2016. 찬공기 특성을 고려한 낙동정맥 관리방안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44(5):103-115). 

  15. Eum. J.Y and S.J. Yun. 2015. A Study on the Heatwave Management Plan for low-income aged people. Space & Environment 54(0):317-342 (엄지연, 유수진. 저소득 노인계층에 대한 폭염대응대책 연구: 서울시 관악구를 중심으로. 공간과 사회 54(0):317-342). 

  16. Gwangju Metropolitan City. 2012. Climate Change Adaptation Plan of Gwangju Metropolitan City(2012-2016) (광주광역시. 2012. 광주광역시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2012-2016)). 

  17. Harlan. S.L., J.H. Declet-Barreto., W.L. Stefanov and D.B. Petitti. 2013. Neighborhood Effects on Heat Deaths: Social and Environmental Predictors of Vulnerability in Maricopa County, Arizona. Environ. Health Perspect 121: 197-204. 

  18. Hondula. D.M., R.E. Davis., M.J. Leisten. M.V. Saha., L.M. Veazey and C.R. Wegner. 2012. Fine-scale spatial variability of heat-related mortality in Philadelphia County, USA, from 1983-2008: A case-series analysis. Environ Health 11, 16, doi:10.1186/1476-069X-11-16. 

  19. Incheon Metropolitan City. 2012. Climate Change Adaptation Plan of Incheon Metropolitan City(2012-2016) (인천광역시. 2012. 인천광역시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2012-2016)). 

  20. IPCC. 2007."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I to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2007,"Cambridge Univ. United Kingdom and New York, NY, USA. 

  21. IPCC. 2012. Managing the Risks of Extreme Events and Disasters to Advance Climate Change Adaptation. A Special Report of Working Groups I and II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Field, C.B., V. Barros, T.F. Stocker, D. Qin, D.J. Dokken, K.L. Ebi, M.D. Mastrandrea, K.J. Mach, G.-K. Plattner, S.K. Allen, M. Tignor, and P.M. Midgley (e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and New York, NY, USA, 582 pp. 

  22. Jeon. H.J. 2011. Effect of Climate Change on the Health of Vulnerable Populations: Health Impact Assessment of Weather Variables. Ph.D. Thesis, Univ. of Hanyang, Korea. (전영진. 2011. 기후변화가 취약 인구집단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기상요인의 건강영향평가.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3. Jeju Metropolitan City. 2012. Climate Change Adaptation Plan of Jeju Metropolitan City(2012-2016) (제주특별자치시. 2012. 제주특별자치시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2012-2016)). 

  24. Jin. B.H and H.R. Byun. 2000. On the Impacts to the Local Climate Change of Urban Area due to the Vegetation Canopy. Journal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9(2): 101-108 (진병화, 변희룡. 녹지대 분포가 도시 지역의 소기후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과학회지 9(2):101-108). 

  25. Jo. S.M., C.J. Hyun and S.K. Park. 2017.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Street Trees on Human Thermal Sensation in Summer.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5(5):105-112 (조상만, 현철지, 박수국. 2017. 여름철 인간 열환경지수에 미치는 가로수의 영향 분석. 한국조경학회지 45(5):105-112). 

  26. Johnson. D.P., A. Stanforth., V. Lulla and G. Luber. 2012. Developing an applied extreme heat vulnerability index utilizing socioeconomic and environmental data. Appl. Geogr. 35:23-31. 

  27. Jung. H.C., W.K. Lee. and J.G. Cho. 2012. A Study on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for Supporting Pilot Project of Local Government Adaptation Implementating Planning.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정휘철, 이우균, 조절길. 기초지자체 적응 세부시행계획 수립 시범사업 지원을 위한 기후변화 취약성 연구. 국립환경과학원). 

  28. Kim. D.W., J.H. Chung., J.S. Lee and J.S. Lee. 2014. Characteristics of Heat wave Mortality in Korea. Korea Meteorological Society 24(2):225-234 (김도우, 정재학, 이종설, 이지선. 2014. 우리나라 폭염 인명피해 발생특징. 한국기상학회 24(2):225-234). 

  29. Kim. H.D and K.Y. Kim. 2012. A Study on the effects of Green Walls on a Building's Room Temperature Reduction. Journal of nakdonggang environmental research institute 16(1):181-192 (김해동, 김기영. 2012. 벽면녹화가 건물의 실내기온 저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환경과학논집 16(1):181-192). 

  30. Kim. Y.J., H.S. Kim., Y.K. Kim., J.K. Kim and Y.M. Kim. 2014. Evaluation of Thermal Environments during the Heat Waves of Summer 2013 in Busan Metropolitan Area.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23(11):1929-1941 (김영준, 김현수, 김유근, 김진국, 김연매. 2014. 2013년 부산지역 폭염사례일의 열 쾌적성 평가. 한국환경과학회 23(11):1929-1941. 

  31. Korea Meteorologicla Administration. 2011. How Should We Use Cli-mate Change Information of Region?: Suggestions for Adapting to Climate Change Policy (기상청. 2011. 지역기후변화정보 어떻게 활용해야 하나?: 기후변화 적응정책 수립에 대한 제언중심). 

  32.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2. Climate change of Daegu-.Gyeongsangbukdo (기상청. 2012. 대구-.경상북도 기후변화 전망보고서). 

  33. Koo. Y.S., J.E. Kim., J.S. Kim and S.H. Lee. 2015. Study on the Improvement of Adaptation Ability by Vulnerability Anlysis of Heat Wave: the Case of Busan Metropolitan City.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27(5):331-347 (구유성, 김자은, 김지숙, 이성호. 2015. 폭염 취약성평가를 통한 도시의 적응능력 향상: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7(5):331-347). 

  34. Lee, J.S., M.K. Kim and J.C. Park. 2016. The effects of socio- economic factors on mortality under high temperature in Seoul, South Kore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22(1):195-210 (이지수, 김만규, 박종철. 2016. 서울의 사회-.경제적 요인이 고온 현상 발생 시 사망자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2(1):195-210). 

  35. Lee. S.S., Y.A. Jeong., J.J. Yoon., J.G. Pyo., S.H. Yoon., T.K. Kim. and J.Y. Ahn. 2015. .ChungNam Institue (이상신, 정연앙, 윤종주, 표정기, 윤수향, 김태균, 안지용. 2015. 충청남도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Prototype 개발. 충남연구원). 

  36. Lee. W.J., J.E. Kang. and Y.K. Kim. 2013. The Impact of Environmental Health Factors on Extreme-heat Vulnerability Assessment in a Metropolitan City.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Heath 39(6):492-504 (이정원, 강재은, 김유근. 2013. 환경보건적 요소가 도시 내 폭염 취약성 평가 결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환경보건학회 39(6):492-504). 

  37. Loughnan. M., N. Nicholls and N.J. Tapper. 2012. Mapping heat health risks in urban areas. International Journal of Population Research 1-12. 

  38. Maier. G., A. Grundstein., W. Jang., C. Li., L.P. Naeher and M. Shepherd. 2014 Assessing the performance of a vulnerability index during oppressive heat across Georgia, United States. Weather Clim. Soc. 6:253-263. 

  39.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7. Guideline for Analysis of Climate Change Driven Disaster Vulnerability in Urban Area (국토교통부. 2017. 도시 기후변화 재해취약성분석 및 활용에 관한 지침). 

  40. 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Research. 2009. Understanding the climate change III. 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Research (국립기상연구소. 2009. 기후변화 이해하기 III.). 

  41.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Ministry of Environ-ment. 2012. Sectoral maps of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for supporting climate adaptation implementation plans of local government. (환경부-.국립환경과학원. 2012. 기후변화 부문별 취약성 지도). 

  42. Park. I.K. 2016. A Study on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Assessment of Ulsan Local Government using VESTAP. Master Thesis, Univ. of Sejong, Korea (박인규. 2016. VESTAP을 이용한 지자체의 기후변화 취약성평가 비교 연구: 울산광역시를 대상으로. 세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3. Province of Chungcheongnamdo. 2012. Climate Change Adaptation Plan of Chungcheongnamdo(2012-2016) (충청남도. 2012. 충청남도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2012-2016)). 

  44. Province of Chungcheongbukdo. 2012. Climate Change Adaptation Plan of Chungcheongbukdo(2012-2016) (충청북도. 2012. 충청북도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2012-2016)). 

  45. Province of Gyeonggido. 2012. Climate Change Adaptation Plan of Gyeonggido (2012-2016) (경기도. 2012. 경기도 기후 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2012-2016)). 

  46. Province of Gyeongsangbukdo. 2012. Climate Change Adaptation Plan of Gyeongsangbukdo(2012-2016) (경상북도. 2012. 경상북도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2012-2016)). 

  47. Province of Gyeongsangnamdo. 2012. Climate Change Adaptation Plan of Gyeongsangnamdo(2012-2016) (경상남도. 2012. 경상남도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2012-2016)). 

  48. Province of Jeollabukdo. 2012. Climate Change Adaptation Plan of Jeollabukdo (2012-2016) (전라북도. 2012. 전라북도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2012-2016)). 

  49. Province of Jeollanamdo. 2012. Climate Change Adaptation Plan of Jeollanamdo (2012-2016) (전라남도. 2012. 전라남도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2012-2016)). 

  50. Reid. C.E., M.S. O'Neill., C.J. Gronlund., S.J. Brines., D.G. Brown and A.V. Diez-Roux. 2009. Schwartz, J.Mapping community determinants of heat vulnerability. Environ. Health Perspect 117(11):1730-1736. 

  51. Rinner. C., D. Patychuk., K. Bassil., S. Nasr., S. Gower and M. Campbell. 2010. The role of maps in neighborhood-level heat vulnerability assessment for the city of Toronto. Cartography and Geographic Information Science 37(1):31-44. 

  52. Rothfusz, L.P. 1990. The Heat Index "Equation" (or, More Tan You Ever Wanted to Know About Heat Index, Technical attachment, SR 90-23, Scientific Services Division NWS., Fort Worth, Texas, USA. 

  53. Seoul Metropolitan City. 2012. Climate Change Adaptation Plan of Seoul Metropolitan City(2012-2016) (서울특별시. 2012. 서울특별시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2012-2016)). 

  54. Sejong Metropolitan City. 2012. Climate Change Adaptation Plan of Sejong Metropolitan City(2012-2016) (세종특별자치시. 2012. 세종특별자치시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2012-2016)). 

  55. Shin. H.S. and S.H. Lee. 2014. Development of a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Index on the Health Care Sector.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13(1):69-93 (신호성, 이수형. 2014. 기후 변화 건강 취약성 평가지표 개발. 환경정책연구 13(1):69-93). 

  56. Tomlinson. C.J., L. Chapman., J.E. Thornes and C.J. Baker. 2011. Including the urban heat island in spatial heat health risk assessment strategies: A case study for Birmingham, UK. Int. J. Health Geogr. 10:42 

  57. Ulsan Metropolitan City. 2012. Climate Change Adaptation Plan of Ulsan Metropolitan City(2012-2016) (울산광역시. 2012. 울산광역시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2012-2016)). 

  58. Vescovi. L., M. Rebetez and F. Rong. 2005. Assessing public health risk due to extremely high temperature events: Climate and social parameters. Clim Res 30:71-78. 

  59. Wolf. T and G. McGregor. 2013. The development of a heat wave vulnerability index for London, United Kingdom. Weather Clim. Extremes 1:59-68. 

  60. Yoo, S.J., W.K. Lee., S.H. Oh and J.Y. Byun. 2012. Vulnerability Assessment for Public Health to Climate change Using Spatio-temporal Information Based on GIS.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20(2):13-24 (유성진, 이우균, 오수현, 변정연. 2012. 공간정보 구축 및 응용: GIS기반 시공간정보를 이용한 건강부문의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한국공간정보학회지 20(2):13-24). 

  61. Yun, S.G., B.S. Choi and E.C. Jeon. 2013. A Study on Vulnerability Assessment to Climate Change in Siheung-si. Journal of Climate Change Research 4(1):1-10 (윤성권, 최봉석, 전의찬. 2013. 시흥시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연구. 한국기후변화학회지 4(1):1-10). 

  62. Zhu. Q., T. Liu., H.L. Lin., J.P. Xiao., Y. Luo., W.L. Zeng., S.Q. Zeng., Y. Wei., C. Chu., S. Baum and et al. 2014. The spatial distribution of health vulnerability to heat waves in Guangdong Province, China. Glob Health Action 7:25051. 

  63. https://data.kma.go.kr/ (가상자료개방포털) 

  64. http://kostat.go.kr/ (통계청)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