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Random Parameters 음이항 모형을 이용한 신호교차로 교통사고 모형개발에 관한 연구 -대전광역시를 대상으로 -
Traffic Accident Models using a Random Parameters Negative Binomial Model at Signalized Intersections: A Case of Daejeon Metropolitan Area 원문보기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v.20 no.2 = no.88, 2018년, pp.119 - 126  

박민호 (인천발전연구원 교통물류연구실) ,  홍정열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rash prediction model at signalized intersections, which can capture the randomness and uncertainty of traffic accident forecasting in order to provide more precise results. METHODS : The authors propose a random parameter (RP) approach to overc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가산모형에 개별 관측 자료들의 이질성을 반영할 수 있는 Random Parameter를 적용하여, 각 지점 및 구간의 특성을 반영한 고도화된 모형을 개발하고자 한다. Random Parameter모형은 대전광역시 55개 신호교차로에서 발생한 교통사고건수 자료 및 도로 기하구조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기존 연구에서 적용되어 왔던 Fixed Parameter 가산모형과 함께 사고 예측의 설명력을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가산모형에서는 고려할 수 없었던 분석 대상 지점/구간의 이질성에 대한 부분을 Random Parameters를 적용하여 교통사고발생 빈도 예측 시 도출 값에 대한 임의성(randomness) 및 불확실성(uncertainty)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대전광역시에 위치한 55개의 교차로를 대상으로 5년 동안(2007-2011) 발생한 교통사고 발생 건수, 교통량 및 교차로 기하구조 등과 관련된 요소들을 적용한 임의확률 모수 음이항(Random Parameter Negative Binomial) 모형의 구축을 통해 Random Parameter 분석 방법론이 기존의 Fixed Parameter 기반의 모형에 비해 보다 나은 설명력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선형회귀식의 기본 가정은 무엇인가? 과거에는 선형 회귀식(linear regression model)이 적용되기도 하였으나, 계수 추정 시 변수 값이 증가할수록 분산 값 또한 증가하게 되어, 선형회귀식의 기본 가정인 등분산성(homoscedasticity)을 만족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분석 기간 동안 특정 도로 지점 및 구간에 교통사고가 발생하지 않았거나, 사고가 적게 발생하는 구간에 대해서는 모형에 의해 음의 사고건수를 예측하는 단점이 있었다(Jovanis and Chang, 1986).
가산모형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특히 교통사고 자료는 음이 아닌 영(zero) 이상의 정수 값을 가지는 특징 때문에 대다수의 연구에서 가산모형 (count model)을 적용해 왔다. 가산모형은 포아송 (Poisson)과 음이항(negative Binomial) 모형이 대표적이며, 기타 파생된 모형으로는 영 과잉(zeroInflated), 영 단절(zero-Truncated) 모형 등이 있다. 이와 같은 가산모형의 구축을 통한 연구결과가 교통사고 분석의 기초가 되어왔음은 분명하나 기존에 개발되어 왔던 교통사고 예측모형들은 분석하고자 하는 대상 지점 또는 구간이 가지고 있는 이질성(heterogeneity)을 고려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교통사고 예측 및 분석에서 선형 회귀식을 사용할 때 단점은? 과거에는 선형 회귀식(linear regression model)이 적용되기도 하였으나, 계수 추정 시 변수 값이 증가할수록 분산 값 또한 증가하게 되어, 선형회귀식의 기본 가정인 등분산성(homoscedasticity)을 만족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분석 기간 동안 특정 도로 지점 및 구간에 교통사고가 발생하지 않았거나, 사고가 적게 발생하는 구간에 대해서는 모형에 의해 음의 사고건수를 예측하는 단점이 있었다(Jovanis and Chang, 1986). 이러한 통계적 측면에서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사고건수를 이산 확률변수(discrete random variable)로 접근하는 포아송 회귀식이 제안 되었다(Jovanis and Chang, 1986; Joshua and Garber, 199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Abdel-Aty, M.A. and Radwan, A.E. (2000). "Modeling traffic accident occurrence and involvement",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Vol.32, No.5, pp.633-642. 

  2. Bhat, C. (2003)., "Simulation estimation of mixed discrete choice models using randomized and scrambles Halton sequences",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Vol.37, No.1, pp. 837-855. 

  3. Fridstrom, L., Ifver, J., Ingebrigtsen, S., Kulmala, R., and Thomsen. (1995). "Measuring the contribution of randomness, exposure, weather, and daylight to the variation in road accident counts",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Vol.27, No.1, pp.1-20. 

  4. Greene, W. (2007). Limdep Ver9.0. Econometric Software Inc. 

  5. Greibe, P. (2003). "Accident prediction models for urban roads",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Vol.35, pp.273-285. 

  6. Highway Safety Manual Knowledge Base, NCHRP 17-27. 2009. 

  7. Joshua S. C., Garber N. J. (1990). "Estimating Truck Accident Rate and Involvements Using Linear and Poisson regression models", Transportation Planning and Technology, Vol.15, No.1, pp.41-58. 

  8. Jovanis, P.P., and Chang, H.L. (1986) "Modeling the Relationship of accidents to miles traveled",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068,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pp.41-48. 

  9. Lee, J., Mannering, F.L. (2002). "Impact of roadside features on the frequency and severity of run-off-roadway accidents; am empirical analysis".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Vol.34, No.2, pp.149-161. 

  10. Miaou, S. (1994). "The relationship between truck accidents and geometric design of road section: Poisson versus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Vol.26, No.4. pp.471-482. 

  11. Milton, J. and Mannering, F. (1998). "The relationship among highway geometries, traffic-related elements and motor-vehicle accident frequencies", Transportation, Vol.25. pp.395-413. 

  12. Milton, J., Shankar, V. and Mannering, F. (2008). "Highway accident severities and the mixed logit model: an exploratory empirical analysis",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Vol.40, No.1, pp.260-266. 

  13. Noland, R. and Oh, L. (2004). "The effect of infrastructure and demographic change on traffic-related fatalities and crashes: a case study of Illinois county-level data",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Vol. 36, No.4, pp.525-532. 

  14. Poch, M., Mannering, F. (1996). "Negative binomial analysis of intersection accident frequencies", Journal of Transportation Engineering, Vol.122, No.2, pp.105-113 

  15. Shankar, V., Albin. R., Milton, J., and Mannering. F. (1998), "Evaluating median cross-over likelihoods with clustered accident counts: An empirical inquiry using random effects negative binomial",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635,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pp.44-48. 

  16. Shankar, V., Mannering, F., Barfield, W. (1995). "Effect of Roadway Geometric and Environmental Factors on Rural Freeway Accident Frequencies",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Vol.27, No.3. pp.371-379. 

  17. Vogt, A., Bared, J. (1998), "Accident models for two-lane rural segments and intersection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635,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pp.18-29. 

  18. Washington, S.P., Karlaftis, M.G., Mannering, F.L. (2003), Statistical and Econometric Methods for Transportation Data Analysis, Chapman & Hall/CRC.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