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연무 종류별 강수 발생시간 관측 특성 및 에어로졸-강수 연관성 분석
Observed Characteristics of Precipitation Timing during the Severe Hazes: Implication to Aerosol-Precipitation Interactions 원문보기

대기 = Atmosphere, v.28 no.2, 2018년, pp.175 - 185  

은승희 (강릉원주대학교 대기환경과학과) ,  장문정 (강릉원주대학교 대기환경과학과) ,  박성민 (강릉원주대학교 대기환경과학과) ,  김병곤 (강릉원주대학교 대기환경과학과) ,  박진수 (국립환경과학원 기후대기연구부) ,  김정수 (국립환경과학원 기후대기연구부) ,  박일수 (한국외국어대학교 한.중남미 녹색융합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haracteristics of precipitation response to enhanced aerosols have been investigated during the severe haze events observed in Korea for 2011 to 2016. All 6-years haze events are classified into long-range transported haze (LH: 31%), urban haze (UH: 28%), and yellow sand (YS: 18%) in order. Long-r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16)는 한반도 중부지방에 외부(주로 중국)로부터 유입되는 에어로졸을 외부 강제력(external forcing)으로 가정하고 이에 의한 강수변화(response) 가능성을 분석한 바 있으나 단 하나의 장거리이동 연무사례 분석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Eun et al. (2016)에서 제시한 분석방법을 기반으로 지난 6년(2011~2016년) 동안 장거리이동 연무와 황사 사례들을 선별하여 이들의 강수와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 연무를 분류한 후에는 연무(황사)가 강수 진행 및 유지 시간과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지 이해하고자 하였다. 연무나 황사 발생시에 기간 중·전·후를 구분하여 강수 동반 여부를 파악하고, 각 연무(황사)별로 강수 지속 시간대가 연무(황사) 기간 중인지, 이전 혹은 이후 시간대인지를 분류하였다.
  • 총 연무 중에서 LH는 40 (31%), MH는 35(28%), UH는 29 (23%), 그리고 YS는 23 (18%) 사례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더불어 대기 중에 에어로졸 농도가 높을 때 강수와의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2011~2016년 동안 연무 관측시의 강수 동반 여부를 조사하였다. 6년간 127개 연무(황사, 혼합형 연무 포함) 사례가 관측되었고, 이 중에서 PM 농도가 최대치인 시점을 중심으로 24시간과 전·후 포함하여 3일 이내 기간에서 강수를 동반한 사례는 75사례(59%)로 나타났다(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무의 주요 구성 성분인 에어로졸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한편 한반도에서 대기오염농도는 지속적으로 감소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Kim, 2017), 국민들의 체감 오염도는 전혀 개선되지 않고 있는 데, 이는 국민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와 연무가 동반하는 시정장애 현상을 일반인들이 쉽게 체감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시정장애를 유발하는 미세한 크기의 에어로졸은 대기 오염 가스성분이 미세입자로의 이차적인 변환을 거쳐 생성되는 데, 이들은 직접적으로 태양 복사의 전달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구름방울의 응결핵 혹은 빙정핵으로 작용함으로써 구름의 생성과 발달, 나아가 강수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Kim and Kwon, 2006;
연무는 어떻게 발생하는가? 연무의 주요 구성 성분인 에어로졸은 황사나 해염과 같이 자연적으로 발생하거나 인간 활동에 의해 직·간접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기상학적으로 에어로졸에 의한 시정장애 현상을 연무(haze)라고 일컫는 데, 높은 상대습도(relative humidity; RH)에서 응결된 미세한 물방울에 의한 안개(fog)나 박무(mist)와 달리 상대습도가 낮은 상태(RH < 75%)에서 미세한 입자들에 의해 발생한다(KMS and KMA, 2015). 미세입자 증가를 동반하는 연무는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고 시정장애 등의 중요한 사회적인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Lee et al.
기상학적으로 연무의 의미는 무엇인가? 연무의 주요 구성 성분인 에어로졸은 황사나 해염과 같이 자연적으로 발생하거나 인간 활동에 의해 직·간접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기상학적으로 에어로졸에 의한 시정장애 현상을 연무(haze)라고 일컫는 데, 높은 상대습도(relative humidity; RH)에서 응결된 미세한 물방울에 의한 안개(fog)나 박무(mist)와 달리 상대습도가 낮은 상태(RH < 75%)에서 미세한 입자들에 의해 발생한다(KMS and KMA, 2015). 미세입자 증가를 동반하는 연무는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고 시정장애 등의 중요한 사회적인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Lee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lbrecht, B. A., 1989: Aerosols, cloud microphysics, and fractional cloudiness. Science, 245, 1227-1230. 

  2. Bell, T. L., D. Rosenfeld, K. M. Kim, J. M. Yoo, M. I. Lee, and M. Hahnenberger, 2008: Midweek increase in U.S. summer rain and storm heights suggests air pollution invigorates rainstorms. J. Geophys. Res., 113, D02209, doi:10.1029/2007JD008623. 

  3. Ding, A. J., and Coauthors, 2013: Intense atmospheric pollution modifies weather: A case of mixed biomass burning with fossil fuel combustion pollution in eastern China. Atmos. Chem. Phys., 13, 10545-10554, doi:10.5194/acp-13-10545-2013. 

  4. Eun, S.-H., B.-G. Kim, K.-M. Lee, and J.-S. Park, 2016: Characteristics of recent severe haze events in Korea and possible inadvertent weather modification. Sci. Online Lett. Atmos., 12, 32-36, doi:10.2151/sola.2016-007. 

  5. Hyeon, D.-R., J.-M. Song, K.-J. Kim, W.-H. Kim, C.-H. Kang, and H.-J. Ko, 2014: Compositions of haze aerosol and their variation by inflow pathway of air mass at Gosan site in Jeju Island during 2012-2013. Anal. Sci. Technol., 27, 213-22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Jiang, M., J. Feng, Z. Li, R. Sun, Y.-T. Hou, Y. Zhu, B. Wan, J. Guo, and M. Cribb, 2017: Potential influences of neglecting aerosol effects on the NCEP GFS precipitation forecast. Atmos. Chem. Phys., 17, 13967-13982, doi:10.5194/acp-17-13967-2017. 

  7. Jo, H.-Y., and C.-H. Kim, 2010: Characteristics of East Asia synoptic meteorological conditions in association with haze phenomena. Atmosphere, 20, 161-17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Jung, J., Y. J. Kim, K. Y. Lee, M. G. Cayetano, T. Batmunkh, J.-H. Koo, and J. Kim, 2010: Spectral optical properties of long-range transport Asian dust and pollution aerosols over Northeast Asia in 2007 and 2008. Atmos. Chem. Phys., 10, 5391-5408, doi:10.5194/acp-10-5391-2010. 

  9. Khain, A., N. Cohen, B. Lynn, and A. Pokrovsky, 2008: Possible aerosol effects on lightning activity and structure of hurricanes, J. Atmos. Sci., 65, 3652-3677. 

  10. Kim, B.-G., and S.-U. Park, 2001: Transport and evolution of a winter-time Yellow Sand observed in Korea. Atmos. Environ., 35, 3191-3201. 

  11. Kim, B.-G., and T.-Y. Kwon, 2006: Aerosol indirect studies derived from the ground-based remote sensings. J. Korean Soc. Atmos. Environ., 22, 235-24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Kim, B.-G., J. S. Han, and S. U. Park, 2001: Transport of $SO_2$ and aerosol over the Yellow sea. Atmos. Environ., 35, 727-737. 

  13. Kim, H.-S., J.-B. Huh, P. K. Hopke, T. M. Holsen, and S.-M. Yi, 2007: Characteristics of the major chemical constituents of PM2.5 and smog events in Seoul, Korea in 2003 and 2004. Atmos. Environ., 41, 6762-6770. 

  14. Kim, Y. P., 2017: Research and Policy Directions against Ambient Fine Particles. J. Korean Soc. Atmos. Environ., 33, 191-204, doi:10.5572/KOSAE.2017.33.3.191. 

  15. Korean Meteorological Society, and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5: Atmospheric Sciences Terminology. Sigma Press, 1056 pp. 

  16. Lee, K. H., Y. J. Kim, and M. J. Kim, 2006: Characteristics of aerosol observed during two severe haze events over Korea in June and October 2004. Atmos. Environ., 40, 5146-5155. 

  17. Lee, K.-M., S.-H. Eun, B.-G. Kim, W. Zhang, J.-S. Park, J.-Y. Ahn, K.-W. Chung, and I.-S. Park, 2017: Classification of various severe hazes and its optical properties in Korea for 2011-2013. Atmosphere, 27, 225-223, doi:10.14191/Atmos.2017.27.2.22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Lee, S., C.-H. Ho, Y. G. Lee, H.-J. Choi, and C.-K. Song, 2013: Influence of transboundary air pollutants from China on the high-PM10 episode in Seoul, Korea for the period October 16-20, 2008. Atmos. Environ., 77, 430-439, doi:10.1016/j.atmosenv.2013.05.006. 

  19. Noh, Y. M., D. Muller, D. H. Shin, H. Lee, J. S. Jung, K. H. Lee, M. Cribb, Z. Li, and Y. J. Kim, 2009: Optical and microphysical properties of severe haze and smoke aerosol measured by integrated remote sensing techniques in Gwangju, Korea. Atmos. Environ., 43, 879-888, doi:10.1016/j.atmosenv.2008.10.058. 

  20. Oh, H.-R., C.-H. Ho, J. Kim, D. Chen, S. Lee, Y.-S. Choi, L.-S. Chang, and C.-K. Song, 2015: Long-range transport of air pollutants originating in China: A possible major cause of multi-day high-PM10 episodes during cold season in Seoul, Korea. Atmos. Environ., 109, 23-30, doi:10.1016/j.atmosenv.2015.03.005. 

  21. Park, M. H., Y. P. Kim, C.-H. Kang, and S.-G. Shim, 2004: Aerosol composition change between 1992 and 2002 at Gosan, Korea. J. Geophys. Res., 109, D19S13, doi:10.1029/2003JD004110. 

  22. Rosenfeld, D., U. Lohmann, G. B. Raga, C. D. O'Dowd, M. Kulmala, S. Fuzzi, A. Reissell, and M. O. Andreae, 2008: Flood or drought: how do aerosol affect precipitation? Science, 321, 1309-1313. 

  23. Shi, H., S.-S. Lee, H.-W. Chun, H.-J. Song, Y.-C. Noh, and B.-J. Sohn, 2016: Optical properties of aerosols related to haze events over Seoul inferred from skyradiomter and satellite-borne measurements. Atmosphere, 26, 289-299, doi:10.14191/Atmos.2016.26.2.28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4. Tao, W.-K., J.-P. Chen, Z. Li, C. Wang, and C. Zhang, 2012: Impact of aerosols on convective clouds and precipitation. Rev. Geophys., 50, RG2001, doi:10.1029/2011RG000369. 

  25. Uno, I., N. Sugimoto, A. Shimizu, K. Yumimoto, Y. Hara, and Z. Wang, 2014: Record heavy PM2.5 air pollution over China in January 2013: Vertical and horizontal dimensions. Sci. Online Lett. Atmos., 10, 136-140, doi:10.2151/sola.2014-028. 

  26. Van den Heever, S. C., G. L. Stephens, and N. B. Wood, 2011: Aerosol indirect effects on tropical convection characteristics under conditions of radiative-convective equilibrium. J. Atmos. Sci., 68, 699-718, doi:10.1175/2010JAS3603.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