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재난간호 핵심수행능력에 미치는 융합적 영향요인
Convergence Analysis of the Factors Influencing Core Competencies on Disaster Nursing among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8 no.3, 2018년, pp.39 - 51  

양승애 (성신여자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재난간호 핵심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융합적인 요인들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하였다. 연구 대상은 4년제 간호대학에 재학중인 간호대학생 224명이였으며 측정 도구는 재난인식, 재난준비도, 자아탄력성, 재난간호 핵심수행능력에 관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재난인식, 재난준비도, 자아탄력성, 핵심수행능력 정도는 기술통계로 분석하였고 제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핵심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중 선형 회귀분석(Multiple linear regression)을 적용하였다. 핵심수행능력은 재난인식, 재난준비도, 자아탄력성과 유의한 정적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난준비도(${\beta}=.413$), 학년(${\beta}=.165$), 임상실습만족도(${\beta}=-.160$), 자아탄력성(${\beta}=.159$), 재난교육경험(${\beta}=-.120$)순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핵심수행능력의 35.8%를 설명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간호대학생들의 재난간호 핵심수행능력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nursing students' core competencies on disaster nursing. Methods: A sample of convenience was 224 nursing students, and a questionnaire was used to measure their disaster awareness, disaster preparedness, ego-resilienc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들의 재난 인식, 재난준비도, 자아 탄력성, 재난간호 핵심수행능력과의 관계와 재난간호 핵심수행능력에 미치는 융합적인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들의 재난인식, 재난준비도, 자아탄력성, 재난간호 핵심수행능력관의 관계와 재난간호 핵심수행능력에 미치는 융합적인 예측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재난간호 핵심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융합적인 예측요인을 파악하여 재난간호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들의 재난 인식, 재난준비도, 자아탄력성 및 재난간호 핵심수행능력 정도를 파악하고 핵심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융합적인 예측요 인을 분석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재난에 대한 인식, 재난준비도, 자아탄력성 및 재난간호 핵심수행 능력 정도를 파악함으로써 간호대학생의 재난간호 교육과정 수립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대학생의 재난간호 핵심수행능력은 어떤 요인과 관계가 있는가? 재난인식, 재난준비도, 자아탄력성, 핵심수행능력 정도는 기술통계로 분석하였고 제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핵심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중 선형 회귀분석(Multiple linear regression)을 적용하였다. 핵심수행능력은 재난인식, 재난준비도, 자아탄력성과 유의한 정적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난준비도(${\beta}=.
재난이란 무엇인가? 재난(Disaster)이란 국민의 생명, 신체, 재산과 국가에 피해를 주거나 줄 수 있는 것으로 태풍, 홍수, 지진 등의 자연현상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자연재난과 화재, 붕괴, 폭발, 교통사고, 화생방사고, 환경오염 사고 등으로 인한 사회재난을 말한다[1]. 우리나라의 주요 재난발생형태가 과거에는 호우, 태풍과 대설 등의 자연재난에 그쳤으나, 산업화 이후 사회구조의 복잡성, 도시화로 인해 재난의 발생 위험성과 규모가 증가하면서 최근 세월호 침몰사건, 감염병 메르스의 확산과 리조트 붕괴사고 등 그리고 2016년 및 2017년에 발생한 경주 및 포항지진 등의 각종 사회적 재난과 인적인 측면의 대형재난을 경험하였다[2].
재난을 대비한 간호사들의 인식향상, 표준화된 핵심역량 개발 및 교육훈련을 강조하는 관점에서 교육과 연구는 어떤 경향을 보이는가? 간호사의 재난대비와 관련하여 외국에서 실시된 연구 들은 재난에 대비하기 위한 간호기술과 자원이 부족하다고 제시하고 있으며 재난을 대비한 간호사들의 인식향상, 표준화된 핵심역량 개발 및 교육훈련을 강조하고 있다 [15,16]. 이러한 관점에서 재난에 대비, 대응하기 위해서 재난 대비와 관련한 연구뿐 아니라 정규교육과정에 재난 관련 교과목을 편성하고 특히 의료인들의 재난 대응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초점이 맞추어지고 있다. 또한 간호대학생이 재난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이상 선택사항이 아님을 강조하며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재난간호 연구가 활발하게 시행되고 있다[17].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실시된 재난간호 연구는 아직까지 소수에 불과하며 연구대상자나 주제의 선택도 제한적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Ministry of Security and Public Administraton. (2017). Framework Act on the Management of Disaster and Safety. Ministry of Security and Public Administraton. https://elaw.klri.re.kr/kor_mobile/soganList.do?seq63 

  2. Y. R. Lee & S. J. Han & C. M. Cho. (2016). Disaster Experience, Perception and Perceived Stress of Nursing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24(4), 237-242, DOI : 10.17547/kjsr.2016.24.4.237 

  3. D. C. Uhm & Y. I. Park & H. J. Oh. (2016). Disaster Preparation of Visiting in Public Health Center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2(2), 240-249. DOI : 10.5977/jkasne.2016.22.2.240 

  4. M. R. Yu et al.(2012). Disaster management for health professionals. Paju-si: Soomoonsa. 

  5. O. C. Lee , K. C. Cho , G. S. Shin & H. C. Baek. (2008). A Historical review of disaster nursing activities in Korea(1945-2005).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4(2), 106-121. 

  6. A. Jenning-Sanders, N. Frisch & S. Wing. (2005). Nursing student's perception about disaster nursing. Disaster Management & Response, 3(3), 80-85. DOI : 10.1016/j.dmr.2005.04.001 

  7. Korean Nurse Association. (2014). Korean Nurse Association. Korean Nurses' Code of Ethics. http://www.koreanurse.or.kr/about_KNA/ethics.php 

  8. J. C. Langan & D. C. James. (2004). Preparing nurses for disaster management. New Jersey: Pearson /Prentice Hall. 

  9. Y. S. Kang O. C. Lee & K. B. Lee. (1998). A Curriculum Development on the Disaster Managem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8(1), 210-220. DOI : 10.4040/jkan.1998.28.1.210 

  10. J. Block & A. M. Kremen (1996). IQ and Ego-resiliency: Conceptual and empirical connections and separate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2), 349-361. DOI : 10.1037//0022-3514.70.2.349 

  11. J. Clawson, C. Olola, A. Heward, B. Patterson & G. Scott. (2008). Ability of the medical priority dispatch system protocol to predict the acuity of "unknown problem" dispatch response levels. Prehospital Emergency Care, 2(12), 290-296. DOI : 10.1080/10903120802100787 

  12. T. Y. Jin. (2003) Privacy Relating to the Medical Tests and the Medical Records. Unpublished master's dissertation. Yon Sei University, Seoul. 

  13. B. N. Kim , H. S. Oh & Y. S. Park. (2011). A Study of Nurses' Resilience, Occupational Stress and Satisfaction.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 14-23. DOI : 10.5807/kjohn.2011.20.1.014 

  14. J. Hur & H. J. Park. (2015). Nursing students' Perception, Competency of Disaster Nursing and Ego Resilienc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5(8), 121-138. 

  15. K. Chapman & P. Arbon. (2008). Are nurses ready? disaster preparedness in the acute setting. Australasian Emergency Nursing Journal, 11(3), 135-144. DOI : 10.1016/j.aenj.2008.04.002 

  16. F. WM Olivia, L. KY Claudia, & L. A. Yuen.(2009). Nurses' s perception of disaster: implication for disaster nursing curriculum.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8(22), 3165-3171. DOI : 10.1111/j.1365-2702.2008.02777.x 

  17. C. K. Schmidt. (2007). Strategies to prepare nursing students to respond to disasters. Dean's Notes, 28(3). https://www.ajj.com/sites/default/files/services/ publishing/deansnotes/jan07.pdf 

  18. E. K. Ahn & S. K. Kim. (2013). Disaster Experience, Perception and Core Competencies on Disaster Nursing of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11(6), 257-267. 

  19. K. Usher & L. Mayner. (2011). Disaster nursing: A descriptive survey of Australian undergraduate nursing curricula. Australasian Emergency Nursing Journal, 14(2), 75-80. DOI : 10.1016/j.aenj.2011.02.005 

  20. C. K. Schmidt, J. M. Davis, J. L. Sansers, L. A. Chapman, M. C. Cisco & A. R. Hady. (2011). Exploring Nursing students' lever of preparedness for disaster response.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32(6), 380-384. DOI : 10.5480/1536-5026-32.6.380 

  21. C. H. Woo, J. Y. Yoo & J. Y. Park. (2015). Experience, Awareness and Preparedness of Disaster among Nursing College students. Korean Review of Crisis & Emergency Management, 11(11), 19-35. DOI : 10.14251/krcem.2015.11.11.19 

  22.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2007). The Problem of Disaster Management. Sejong-si: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23. H. S. Baek. (2009).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 Unpublished master's dissertation, Eulji University. Daejeon. DOI : 10.4306/pi.2010.7.2.109 

  24. J. Y. Noh. (2010). Nurses' perception and core competencies on disaster nursing. Unpublished master's dissertation. Yon Sei University, Seoul 

  25. H. J Kim.(2015). A Study on Disaster Preparedness, Core Competencies and Educational Needs on Disaster Nursing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11), 7447-7455. DOI : 10.5762/kais.2015.16.11.7447 

  26. K. H. Kang & D. C. Uhm & E. S. Nam.(2012). A Study on Disaster Experience and Preparedness of University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8(3), 424-435. DOI : 10.5977/jkasne.2012.18.3.424 

  27. S. Alim & M. Kawabata & M. Nakazawa.(2015). Evaluation of disaster preparedness training and disaster drill for nursing students. Nurses Education Today, 35(1), 25-31. 

  28. M. M. Jose & C. Dufrene. (2013). Educational competencies and technologies for disaster preparedness in undergraduate nursing education: An integrative review. Nurse Education Today, 34(4), 543-551. DOI : 10.1016/j.nedt.2013.07.021 

  29. Y. R. Lee. (2014). Development and effect of a disaster nursing educational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onbuk University, Jeonju-si. 

  30. S. S. Huh. (2016). The Effect of a Disaster Nursing Education Program on Disaster Nursing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Case Based Small Group Learn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osun University, Gwangju. 

  31. K, Tusaie & J. Dayer. (2004). Resilience: A Historical Review of the Construct. Holistic Nursing practice, 18(1), 3-8. DOI : 10.1097/00004650-200401000-00002 

  32. S. S. Chan et al. (2010).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n undergraduate training course for developing International Council of Nurses disaster nursing competencies in China.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42(4), 405-413. DOI : 10.1111/j.1547-5069.2010.01363.x 

  33. Y. J. Park. (2014). A study on Ego-resilience, Disaster Experience and Core Competencies of Emergency Room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Gachon University, Seongnam-si. 

  34. S. Y. Yang. (2016). The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Empathy, Ego Resilience, and Clinical Competence of the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7(3), 1699-1710. 

  35. Y. R. Lee , M. H. Lee & S. K. Park( 2013). Development of the Disaster Nursing Competency Scale f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9(4), 511-520. 

  36. H. M. Jumg , N. H. Kim , Y. H. Lee , M. S. Kim & M. J. Kim.(2018). The Effect of a Disaster Nursing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on Disaster Nursing Knowledge, Preparedness and Self-confidence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1), 377-386. 

  37. Y. H. Kang & M. J. Hong. (2013). Influencing factors of learning styl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n clinical performance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6(5), 2841-2853. 

  38. H Y. Park & J. S. Kim. (2017) Factors influencing the disaster nursing core competencies of emergency room nurses. Applied Nursing Research. 37(5), 1-5. DOI : 10.1016/j.apnr.2017.06.0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