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정서인식 명확성과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Clarity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Covert Narcissism and Depression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8 no.3, 2018년, pp.161 - 168  

유현아 (건양대학교 상담심리학과) ,  송원영 (건양대학교 심리상담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내현적 자기애가 정서인식 명확성정서표현 양가성을 매개로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중부권에 거주하고 있는 대학생 343명을 대상으로 내현적 자기애 척도(CNS), 우울척도(BDI), 특질-상위 기분 척도(TMMS), 정서표현 양가성 척도(AEQ-K)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내현적 자기애는 정서인식 명확성과 부적 상관을, 정서표현 양가성, 우울과는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내현적 자기애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정서인식 명확성과 정서표현 양가성이 이를 완전매개 하였다. 셋째, 내현적 자기애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인식 명확성과 정서표현 양가성의 간접효과는 유의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내현적 자기애 성향을 가지고 있는 대학생이 우울해 하는데 있어 정서인식 명확성과 정서표현 양가성이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내현적 자기애성향의 대학생을 위한 효율적인 상담 개입방법과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들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on depression for College students as a mediator Emotional Clarity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o this end, we conducted a survey of 343 university students living in central area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 성향이 우울에 미치는 변인들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정서 인식 명확성과 정서표현 양가성을 매개적 변인으로 상정 하여 구조모형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를 통해 내현적 자기애로 야기된 우울을 감소시킬 수 있는 치료적 요인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 성향이 우울에 미치는 변인들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정서 인식 명확성과 정서표현 양가성을 매개적 변인으로 상정 하여 구조모형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를 통해 내현적 자기애로 야기된 우울을 감소시킬 수 있는 치료적 요인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 이와 같이 살펴본 기존 연구에 따라 본 연구는 내현적 자기애와 우울의 관계에서 정서인식 명확성과 정서표현 양가성이 매개효과를 지닐 것으로 예상하고 이를 검증하려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외현적 자기애와 내현적 자기애의 차이는 무엇인가? 2013년도 새롭게 개편된 정신질환의 진단 및 통계 편람 DSM-5(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 DSM)에 따르면 내현적 자기애와 외현적 자기애를 웅대하지만 취약한 자기개념을 공통 핵심특성으로 가지고 있다고 기술 하였다. 하지만, 외현적 자기애는 웅대성을 밖으로 나타내고 오만하고 과시적인 반면, 내현적 자기애는 자신의 무의식적 웅대성을 드러내지 않고 억압하는 유형으로 나타나며 이는, 자기 확신과 주도성이 부족해 보이며 다양한 심리적 불편감과 모호한 우울감에 시달리게 된다. 그리고 내현적 자기애자는 자기상이 상처를 입는데 예민하고, 이 때문에 타인의 반응과 부정적 평가에 민감하다.
갑질이란 무엇인가? 최근 우리 사회에는 다양한 형태의 갑질 문제가 대두 되고 있다. 자신이 항상 최고이며, 나는 매우 특별한 사람이고, 우월하다는 독특한 신념과 사고를 바탕으로 상대 적으로 자신보다 낮은 권력구조를 가진 사람에게 자신의 지위를 이용하여 괴롭히는 행위를 ‘갑질’이라고 명명하고 있다. 다양한 갑질 문제가 끊임없이 나타나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는 자기애적 성격의 특징과 가장 유사하며,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자신을 보여주고,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전화와 인터넷, 소셜 네트워크의 발달이 독특하게 자신을 표현하고자 하는 특징이 두드러지는 자기 애적 성격을 부채질할 수 있고[1], 현대사회의 기술 발달을 고려하면 자기애가 현대인들의 특징 중 하나라고 볼 수 있다[2].
다양한 갑질 문제가 끊임없이 나타나는 이유는 무엇인가? 자신이 항상 최고이며, 나는 매우 특별한 사람이고, 우월하다는 독특한 신념과 사고를 바탕으로 상대 적으로 자신보다 낮은 권력구조를 가진 사람에게 자신의 지위를 이용하여 괴롭히는 행위를 ‘갑질’이라고 명명하고 있다. 다양한 갑질 문제가 끊임없이 나타나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는 자기애적 성격의 특징과 가장 유사하며,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자신을 보여주고,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전화와 인터넷, 소셜 네트워크의 발달이 독특하게 자신을 표현하고자 하는 특징이 두드러지는 자기 애적 성격을 부채질할 수 있고[1], 현대사회의 기술 발달을 고려하면 자기애가 현대인들의 특징 중 하나라고 볼 수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J. S. Choi. (2003). Effect of the narcissistic personality and self-assertiveness on the interpersonal problems. Hongik University, Seoul. 

  2. E. H. Kim. (2013). Mediating Effects of Maladaptive Coping between Covert Narcissism on Hostility. Pusan National University, Pusan. 

  3. S. R. Park & M. S. Shin. (2005). Explicit and indirect attributional styles of overt,covert narcissists.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4(2), 465-474. 

  4. J. W. Lee. (2011). Longitudinal Effects of Self-Enhancement Motive, Implicit and Explicit Narcissism on Depressive Mood.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0(2), 441-458. DOI : 10.15842/kjcp.2011.30.2.005 

  5. Wink & Paul. (1991). Two faces of narcissism.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1(4), 590-597. 

  6. H. I. Shin. (2009). The Effects of Emotional Experiences and Regulation Styles on Depression of Convert Narcissism, The Catholic University, Seoul. 

  7. S. Akhtar & J. A. Thomson. (1982). Overview: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39, 12-20. 

  8. H. Kohut. (1971). The analysis of the self. New York: International Universities Press. 

  9. C. L. Gohm. & G. L. Clore. (2000). Individual differences in emotional experience and their involvement in attributional style, coping, and well-being. Cognition and Emotion, 16, 495-518. 

  10. A. T. Beck & R. W. Beck. (1972). Screening depressed patients in family practice: A rapid technic. Postgraduate Medicine, 52, 81-85. DOI : 10.1080/00325481.1972.11713319 

  11. E. Y. Lee. (2013). Covert Narcissism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Mediation Effects of Emotional Awareness, Emotional Expression. Kyungnam University. Changwon. 

  12. J. Y. Lee. (2008). The Relationship of Internalinzed Shame, Defense Style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The Korea Journal of Counseling 2008, 9(2), 53-373. DOI : 10.15703/kjc.9.2.200806.353 

  13. S. J. Han. (2016).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Seoul : Hakjisa Publishing. 

  14. S. A. Kim. (2006). Personality, Emotional Characteristics, and Subjective Well-being of Individuals Who are Overwhelmed with their Emo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20(3), 45-66. 

  15. Joun. (2003). Individual differences in two emotion regulation processes: Implications for affect, relationships, and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5(2), 348-362. DOI : 10.1037/0022-3514.85.2.348 

  16. S. H. Gang. (2002).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Covert Narcissism Scale.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14(4), 11, 969-990. 

  17. J. D. Lee. (2005). Anger in young adults with covert and overt narcissistic tendenc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8. P. L. Hart & C. E Joubert. (1996). Narcissism and hostility. Psychological Report, 79, 161-162. DOI : 10.2466/pr0.80.1.289-290 

  19. M. J. Kim. (2007). The Effects of Emotion Acceptance and Suppression on Emotional Response and Skin Conductance Response. The Korean Journal of Health,12(4), 12, 923-937. DOI : 10.17315/kjhp.2007.12.4.015 

  20. S. M. Lee. (2003). Child Narcissism, loneliness, and cooperation. Seogang University, Seoul. 

  21. A. Swinkels & T. A. Guiliano. (1995). The measurement and conceptualization of mood awareness: Monitoring and labeling one's mood state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1, 934-949. 

  22. N. W. Jeong. (2001). Factor Structure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Narcissistic Personality Inventory (NPI).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13(2), 221-237. 

  23. S. H. Gang. (2002).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Covert Narcissism Scal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14(4), 969-990. 

  24. Y. H. Lee. (1991). A Study of the Reliability and the Validity of the BDI , SDS , and MMPI-D Scales.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0(1), 98-113. 

  25. J. S. Lee. (2012). The effets of fear of negative evaluation, passive coping style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on depression of covert narcissism.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9(4), 161-181. 

  26. S. J. Lee. (1997). The Research on the Validation of the Trait Meta-Mood Scale: The Domain Exploration of the Emotional Intelligenc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1(1), 95-116. 

  27. P. Salovey, J. D. Mayer, S. L. Goldman, C. Turvey & T. P. Palfai. (1995). Emotional attention, clarity, and repair: Exploring emotional intelligence using the trait meta-mood scale. 

  28. H. Y. Choi. (2007). The Study on the Validation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Questionnaire: Comparison of Suppression Constructs in Korean Cultur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21(4), 71-89. 

  29. S. M. Kim. (2016). The Effect of Covert Narcisissm on Depression: The Mediating Effect of Slef-Concept Clarity and Emotional Clarity. Gyeongsang University. Pusan. 

  30. H. K. Park. (2017). The Mediating effect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for pre-marital couple: Actor and partner effects. Dankook University.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