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상풍력 발전용량 설계에 관한 연구 : 전남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Design of Generation Capacity for Offshore Wind Power Plant : The Case of Chonnam Province in Korea 원문보기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v.13 no.3, 2018년, pp.547 - 554  

정문선 (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 ,  문채주 (국립목포대학교 스마트그리드연구소) ,  장영학 (국립목포대학교 스마트그리드연구소) ,  이수형 (국립목포대학교 스마트그리드연구소) ,  이숙희 (국립목포대학교 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풍력에너지는 청정 및 재생에너지의 가장 저렴한 모형중의 하나로 널리 알려져 있다. 실제로 몇몇 국가에서는 풍력에너지가 새롭게 건설되는 발전소들 중에서 화석연료 발전단가와 동등한 수준으로 만들어 오고 있다. 해상풍력 에너지 개발은 한국정부의 3020계획 목표달성을 위한 중요한 국내 에너지자원일 것으로 보인다. 풍력프로젝트의 개발단계 중에서 중심이 되는 항목은 풍력자원 평가이다. 풍력자원평가의 기본적인 3가지 등급 또는 단계는 예비부지확정, 부지 풍력자원 평가, 마이크로사이팅 등으로 나누어 분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6개소 해상기상탑 자료를 기반으로 3단계를 적용하여 전남 해상지역의 풍력발전 용량을 추정하는 것이다. 풍력프로젝트 개발을 위하여 소프트웨어 도구로 25년 이상 실적이 있고 풍력에너지 프로젝트 개발프로그램으로 잘 알려진 WindPRO를 사용하였다. 전남지역 해상풍력발전용량의 설계결과는 6개 풍력단지에서 총 2.52GW로 계산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ind energy is widely recognized as one of the cheapest forms of clean and renewable energy. In fact, in several countries, wind energy has achieved cost parity with fossil fuel-based sources of electricity generation for new electricity generation plants. Offshore wind energy development promises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현재 상용화되어 설치된 제품 중 대용량을 가지고 있는 Senvion사의 6.15MW급 해상 풍력발전기를 적용하여 발전량을 예측하고자 한다. 풍력발전기의 사양은 표 2과 같고, 출력곡선은 그림 6과 같다.
  • 8GW를 설치해야 하고 이 용량중 12GW 이상은 해상풍력이 차지해야 목표달성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전라남도의 해상풍력 설계용량 확인은 국정과제 추진을 위한 중요한 요소가 되는 것으로 판단되어 정부정책의 실효성을 확인하고자 해상풍력 설계용량을 추정하였다. 발전용량 설계시 다음과 같은 추가사항을 고려하여야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가장 오차가 적은 Met mast을 이용하여 측정한 기상자원을 이용하여 전남의 해상풍력발전용량을 산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발전용량 설계시 고려해야할 추가사항은? (1) 본 연구에서 제시한 6개소 후보지의 총 발전용량은 2.52GW가 가능함을 확인하였으며, 외해 지역으로 확장할 경우 추가적인 기상자원조사가 필요하다 (2) 덴마크 Risø 연구소의 WAsP과 덴마크 EMD사의 WindPRO를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해석법으로 평가되어 투자유치를 위한 기본자료로 활용가능하다. (3) 최근 기상자원에 대한 국제인증을 획득한 곳은 Met mast 4가 있으며, 나머지 모두는 1년 기상관측자료에 해당되어 해외 투자비 차입이 필요한 경우 나머지 5개소에 대해서는 추가 자원조사가 필요하다. (4) 제시한 6개소의 후보지는 5년 이내 해상풍력발전단지를 구축할 수 있으나 주민수용성 문제가 해결되지 않을 경우 준공기일을 특정하기 어렵다. (5) 해양환경여건은 정부의 공식자료를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나 현장의 여건에 따라 변동이 될 수도 있으며, 예비타당성을 평가를 통한 면밀한 검토가 요구된다 (6) 우리나라 최초 해상풍력단지인 탐라해상풍력의 경우 3MW급 10기를 배열한 30MW단지임에도 11년의 기간이 소요되었으며, 사업추진현황을 분석하여 적용하면 통상적인 건설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풍력에너지는 어떤 모형인가? 풍력에너지는 청정 및 재생에너지의 가장 저렴한 모형중의 하나로 널리 알려져 있다. 실제로 몇몇 국가에서는 풍력에너지가 새롭게 건설되는 발전소들 중에서 화석연료 발전단가와 동등한 수준으로 만들어 오고 있다.
풍력자원평가의 기본적인 3가지 등급 또는 단계로 분류하면? 풍력프로젝트의 개발단계 중에서 중심이 되는 항목은 풍력자원 평가이다. 풍력자원평가의 기본적인 3가지 등급 또는 단계는 예비부지확정, 부지 풍력자원 평가, 마이크로사이팅 등으로 나누어 분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6개소 해상기상탑 자료를 기반으로 3단계를 적용하여 전남 해상지역의 풍력발전 용량을 추정하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S. Lee, C. Moon, Y. Chang, and M. Jung, "A study on Design of Capacity for Landing and Floating Solar Power Plant : The Case of Chonnam Province in Korea," J.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vol. 13, no. 1, Feb. 2018, pp. 35-44. 

  2. Asian Development Bank, "Guidelines for wind resource assessment : best practices for countries initiating wind development," Technical Report, May. 2014. 

  3. J. Choi, C. Hwang, and C. Moon, "Development of Evaluation Model for the Korean New & Renewable Energy Policies : Focusing on RPS & FIT," J.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vol. 8, no. 9, Sept. 2013, pp. 1333-1342. 

  4. Global Wind Energy Council:, "Global Wind Statistics 2016," Technical Report, Feb. 2017. 

  5. J. Sung, "Overview and Future Plan for Korean Offshore Wind Development," Prospects and Tasks of Offshore Wind Power Industry Conf. 2017, Seoul, Korea, June. 2017. 

  6. Korea Energy Management Corporation, "2016 New & Renewable Energy White Paper," Technical Report, Korea New and Renewable Energy Center, Oct., 2016. 

  7. C. Moon, "Development Plan of Wind Power Industry," The 4th Chonnam Wind Industry Promotion Forum, Mokpo, Korea, Mar. 2018, p. 22. 

  8. B. Kim, J. Woo, H. Kim, I. Paek, and N. Yoo, "Validation Study of the NCAR Reanalysis Data for a Offshore Wind," J. of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vol. 32, no. 1, 2012, pp. 1-7. 

  9. H. Kim, H. Kim, J. Kim, and Y. Lee, "Past and Present of Wind Power Prediction Models through Overseas Case Review," J. of the Korean Wind Energy Association, vol. 7, no. 2, 2016, pp. 35-44. 

  10. C. Moon, Y. Chang, T. Park, M. Jeong, H. Joo, O. Kwon, D. Kwag, and G. Jeong, " A Study on Design of Offshore Meteorological Tower," J. of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vol. 34, no. 2, 2014, pp. 60-65. 

  11. S. Park, "Electronics System Design of a Generic Meteorological Buoy," J.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vol. 5, no. 1, Feb. 2010, pp. 51-57. 

  12. M. Oh, O. Kwon, K. Kim, and I. Jang, "Economic Feasibility of Bucket Foundation for Offshore Wind Farm," J.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3, no. 4, Apr. 2012, pp. 1908-1914. 

  13. M. Arshad and B. O'Kellv, "Offshore Wind-Turbine Structures : A Review," Proc. of the Institution of Civil Engineer, Energy, vol. 166, issue 4, Nov. 2013, pp. 139-152. 

  14. K. Lee, W. Cho, J. Back, and I. Choy, "Design and Verification of Disturbace Observer based Controller for Wind turbine with Two Cooperative Generators," J.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vol. 12, no. 2, 2017, pp. 301-308. 

  15. EMD, "WindPRO 2.7 User GUIDE," Manual, EMD Int. Oct.,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