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도작 작물의 과불소화합물 흡수이행성
Bioconcentration factor of perfluorochemicals for each aerial part of rice 원문보기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v.61 no.2, 2018년, pp.191 - 194  

최근형 (Chemical Safety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RDA) ,  이득영 (Department of Agricultural Chemistry, Institut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IAL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배지연 (Department of Agricultural Chemistry, Institut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IAL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노진호 (Chemical Safety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RDA) ,  문병철 (Chemical Safety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RDA) ,  김진효 (Department of Agricultural Chemistry, Institut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IAL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 주요 식량작물인 벼에서의 잔류성 유기오염물질 잔류평가는 인체 위해성 평가에서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과불소화합물 중 perfluorooctanoic acid (PFOA)와 perfluorooctane sulfonic acid (PFOS)의 잔류평가를 벼의 부위별 흡수이행성을 조사하여 수행하였다. 벼는 저농도 오염처리구($1mg\;kg^{-1}$)와 고농도 오염처리구($5mg\;kg^{-1}$)에서 재배 후 현미, 왕겨, 볏짚으로 나누어 잔류량을 조사하였고, 시험결과 현미의 과불소화합물 흡수이행성(0.002-0.006)이 다른 부위에 비해 가장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잔류수준은 볏짚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왕겨와 현미 순이었고, 볏짚의 PFOA와 PFOS의 생물농축계수는 최대 1.474와 4.700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erfluorooctanoic acid (PFOA) and perfluorooctane sulfonic acid (PFOS) are emerging pollutants in agricultural product, and the residual patterns and the uptake potentials were only studied on several crops, not on rice. The residue level and bioconcentration factor (BCF) of PFOA and PFOS were inv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고농도와 저농도에서 수행된 PFCs의 벼 흡수이행성 시험은 오염 초기농도를 기준으로 BCF를 산출하여 비교하였다. 현미 중 PFOA와 PFOS의 BCF는 각각 0.
  • 국내 주요 식량 작물인 벼에서 생산되는 쌀은 일일섭취량이 183g으로 식이섭취 노출량 산정에서 빼놓을 수 없는 곡물이며 [17], 서양 국가와 달리 쌀을 주요 영양원으로 하는 한국에서 쌀을 중심으로 한 POPs 모니터링과 농업환경 관리기준 설정연구는 절대 빼놓을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요 식량 작물인 벼에 대한 PFOA와 PFOS의 작물흡수이행성을 현미와 왕겨, 볏짚으로 구분하여 평가하였다.
  • 벼의 PFCs의 잔류량은 현미와 왕겨, 볏짚으로 구분하여 잔류량을 조사하였다. 특히 식용인 현미와 사료용인 볏짚의 잔류는 직접 혹은 먹이사슬을 통해 인간에게 전달될 수 있어 작물잔류 이행율 조사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 본 시험은 명목상 PFOA 및 PFOS의 농도를 저농도 오염시험구(1 mg kg−1)와 5 배 수준인 고농도 오염시험구(5 mg kg−1)에서 작물흡수이행 시험을 진행하였다. 벼 이앙 시점 토양 중 PFOA 와 PFOS는 저농도 오염시험구에서 각각 0.

대상 데이터

  • 시험에 사용한 PFOA와 PFOS 표준품(>98%)은 Wellington Laboratories (Guelph, ON, Canada)에서, methanol, acetonitrile, acetic acid, ammonium acetate, tetrahydrofuran은 HPLC급으로 Merck (Darmstadt, Germany)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ENVI-Carb TM 은 Supleco Co. (Bellefonte, PA, USA)에서, HLB 카트리지(0.5 g, 6 mL)는 Waters (Milford, DE, US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이론/모형

  • Choi 등[11]의 방법에 따라 토양 중 PFCs를 정량분석 하였다. 토양 1.
  • 생물농축계수(bioconcentration factor, BCF)는 Choi 등[18]이 사용한 방법으로 산출하였다.
  • 희석액은 HLB 카트리지를 사용하여 고정상 추출하였다. 작물체 중 PFCs 분석은 BallesterosGomez 등[19]의 방법에 따라 시료 1.0 g을 methanol/water (75/ 25, v/v) (10 mL)로 추출한 뒤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분취하고, tetrahydrofuran/water (75/25, v/v)를 이용하여 재추출(10 mL×2) 한 뒤, 추출액을 15 mL까지 질소농축하고, 증류수 185mL를 넣어 희석하였다. 희석액은 HLB 카트리지를 사용하여 고정상 추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불소화합물이란 무엇인가? 과불소화합물(perfluorinated compounds, PFCs)은 1950년대부터 생산되어 금속, 제지, 섬유, 전자산업 등에 광범위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 물질이다[1, 2]. 이로 인해, 과불소화합물의 환경매체 중 잔류 농도는 ng kg−1 수준 이상으로 꾸준히 보고되고 있고, 이들 중 긴 탄소사슬을 갖는 물질은 난분해성과 생물농축성, 열안정성 및 높은 수용성으로 인해 인체 및 환경 위해성이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2,3,4].
과불소화합물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과불소화합물(perfluorinated compounds, PFCs)은 1950년대부터 생산되어 금속, 제지, 섬유, 전자산업 등에 광범위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 물질이다[1, 2]. 이로 인해, 과불소화합물의 환경매체 중 잔류 농도는 ng kg−1 수준 이상으로 꾸준히 보고되고 있고, 이들 중 긴 탄소사슬을 갖는 물질은 난분해성과 생물농축성, 열안정성 및 높은 수용성으로 인해 인체 및 환경 위해성이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2,3,4]. 특히, perfluorooctanoic acid (PFOA)와 perfluorooctane sulfonic acid (PFOS)는 수계와 토양에서 가장 빈번히 검출되는 PFCs 물질로 알려져 있으며, 이들 중 PFOS 및 유도체들은 Stockholm Convention에서 잔류성유 기오염물질(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POPs)로 지정되어 있다[3,5].
PFOS 및 유도체들이 잔류성 유기오염물질임에 따라, 발생하는 문제는 무엇인가? 특히, perfluorooctanoic acid (PFOA)와 perfluorooctane sulfonic acid (PFOS)는 수계와 토양에서 가장 빈번히 검출되는 PFCs 물질로 알려져 있으며, 이들 중 PFOS 및 유도체들은 Stockholm Convention에서 잔류성유 기오염물질(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POPs)로 지정되어 있다[3,5]. 따라서, 이들 PFCs의 환경 잔류로 인한 생태계 먹이사슬 내 오염과 오염 식품섭취로 인한 인체 위해성 발생가능성은 꾸준히 문제제기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Wang Z, Cousins IT, Scheringer M, Buck RC, Hungerbuhler K (2014) Global emission inventories for C4-C14 perfluoroalkyl carboxylic acid (PFCA) homologues from 1951 to 2030, Part I: production and emissions from quantifiable sources. Environ Int 70: 62-75 doi:10.1016/j.envint.2014.04.013 

  2. Zareitalabad P, Siemens J, Hamer M, Amelung W (2013) Perfluorooctanoic acid (PFOA) and perfluorooctanesulfonic acid (PFOS) in surface waters, sediments, soils and wastewater-A review on concentrations and distribution coefficients. Chemosphere 91: 725-732 doi:10.1016/j.chemosphere.2013.02.024 

  3. Arvaniti OS, Stasinakis AS (2015) Review on the occurrence, fate and removal of perfluorinated compounds during wastewater treatment. Sci Total Environ 524-525: 81-92 doi:10.1016/j.scitotenv.2015.04.023 

  4. Kim JH, Ok YS, Choi GH, Park BJ (2015) Residual perfluorochemicals in the biochar from sewage sludge. Chemosphere 134: 435-437 doi:10.1016/j.chemosphere.2015.05.012 

  5. Choi GH, Lee DY, Seo DC, Kim LS, Lim SJ, Ryu SH, Park BJ, Kim JH, Kim JH (2018a) Endosulfan Plant Uptake Suppression Effect on Char Amendment in Oriental Radish. Water Air Soil Pollut. 229: 24. doi.org/10.1007/s11270-017-3677-x 

  6. Heo JJ, Lee JW, Kim SK, Oh JE (2014) Foodstuff analyses show that seafood and water are major perfluoroalkyl acids (PFAAs) sources to humans in Korea. J Hazard Mater 279: 402-409 doi:10.1016/j.jhazmat.2014.07.004 

  7. Perez F, Llorca M, Kock-Schulmeyer M, Skrbic B, Oliveira LS, da Boit Martinello K, Al-Dhabi NA, Antic I, Farre M, Barcelo D (2014) Assessment of perfluoroalkyl substances in food items at global scale. Environ Res 135: 181-189 doi:10.1016/j.envres.2014.08.004 

  8. Post GB, Cohn PD, Cooper KR (2012) Perfluorooctanoic acid (PFOA), an emerging drinking water contaminant: a critical review of recent literature. Environ Res 116: 93-117 doi:10.1016/j.envres.2012.03.007 

  9. Clarke DB, Bailey VA, Routledge A, Lloyd AS, Hird S, Mortimer DN, Gem M (2010) Dietary intake estimate for perfluorooctanesulphonic acid (PFOS) and other perfluorocompounds (PFCs) in UK retail foods following determination using standard addition LC-MS/MS. Food Addit Contam Part A Chem Anal Control Expo Risk Assess 27: 530-545 doi:10.1080/19440040903476590 

  10. van Asselt ED, Kowalczyk J, van Eijkeren JCH, Zeilmaker MJ, Ehlers S, Furst P, Lahrssen-Wiederholt M, van der Fels-Klerx HJ (2013) Transfer of perfluorooctane sulfonic acid (PFOS) from contaminated feed to dairy milk. Food Chem 141: 1489-1495 doi:10.1016/j.foodchem.2013.04.035 

  11. Choi GH, Lee DY, Jeong DK, Kuppusamy S, Lee YB, Park BJ, Kim JH (2017) Perfluorooctanoic acid (PFOA) and perfluorooctanesulfonic acid (PFOS) concentrations in the South Korean agricultural environment: A national survey. J. Integr. Agric. 16: 1841-1851 

  12. Lam NH, Cho CR, Lee JS, Soh HY, Lee BC, Lee JA, Tatarozako N, Sasaki K, Iwabuchi K, Kannan K, Cho HS (2014) Perfluorinated alkyl substances in water, sediment, plankton and fish from Korean rivers and lakes: a nationwide survey. Sci Total Environ 491-492:154-162 doi:10.1016/j.scitotenv.2014.01.045 

  13. Kim HY, Kim SK, Kang DM, Hwang YS, Oh JE (2014) The relationships between sixteen perfluorinated compound concentrations in blood serum and food, and other parameters, in the general population of South Korea with proportionate stratified sampling method. Sci Total Environ 470-471: 1390-1400 doi:10.1016/j.scitotenv.2013.06.039 

  14. Blaine AC, Rich CD, Sedlacko EM, Hundal LS, Kumar K, Milis MA, Harris KM, Higgins CP (2014) Perfluoroalkyl acid distribution in various plant compartments of edible crops grown in biosolids-amended soils. Environ Sci Technol 48: 7858-7865 doi:10.1021/es500016s 

  15. Lechner M, Knapp H (2011) Carryover of perfluorooctanoic acid (PFOA) and perfluorooctane sulfonate (PFOS) from soil to plant and distribution to the different plant compartments studied in cultures of carrots (Daucus carota ssp. Sativus), potatoes (Solanum tuberosum), and cucumbers (Cucumis Sativus). J Agric Food Chem 59: 11011-11018 doi:10.1021/jf201355y 

  16. Zhao H, Guan Y, Zhang G, Zhang Z, Tan F, Quan X, Chen J (2013) Uptake of perfluorooctane sulfonate (PFOS) by wheat (Triticum aestivum L.) plant. Chemosphere 91: 139-144 doi:10.1016/j.chemosphere.2012.11.036 

  17. Choi GH, Choi DS, Hong SM, Kwon OK, Eun HS, Kim JH, Kim JH (2012) Investigation on Polychlorinated Dibenzo-p-dioxins, Polychlorinated Dibenzofurans and Dioxin-like Polychlorinated Biphenyls of Grains and Estimation of Dietary Intake for Korean. J Appl Biol Chem. 55: 253-261 

  18. Choi GH, Lee DY, Ryu SH, Park BJ, Moon BC, Kim JH (2018b) Investigation of the Bioconcentration Factor of Endosulfan for Rice from Soil. Korean J Pestic Sci 22: 25-28 

  19. Ballesteros-Gomez A, Rubio S, van Leeuwen S (2010) Tetrahydrofuranwater extraction, in-line clean-up and selective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for the quantitation of perfluorinated compounds in food at the low picogram per gram level. J Chromatogr A 1217: 5913-5921 doi:10.1016/j.chroma.2010.07.03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