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기부태도 사이에서 기부동기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Donation Motivation between Self-esteem and Donation Attitude of Adolescent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6, 2018년, pp.19 - 25  

이창식 (한서대학교 보건상담복지학과) ,  장하영 (한서대학교 평생교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자아존중감과 기부태도 사이에서 기부동기의 매개효과를 파악하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충청남도 서북부 지역 4개 시, 군에서 청소년 879명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분석은 일반적 특성에 따른 기부태도의 차이검정, 주요변인 간의 상관분석, 매개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Sobel test로 검증하였다. 주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부태도는 성별과 학교급 및 종교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둘째, 상관분석 결과 자아존중감과 기부동기 및 기부태도는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셋째, 회귀분석 결과 자아존중감과 기부태도 사이에서 내재적 기부동기와 외재적 기부동기 모두 부분매개하였다. 끝으로 청소년들의 기부태도와 기부행위를 높이기 위한 정책적 방안을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ediating effect of donation motivation between self-esteem and donation attitude of adolescents. For this purpose, 879 adolescents were surveyed in 4 cities and counties in the northwestern part of Chungcheongnamdo.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by T-t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하여, 자아존중감이 기부태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기부동기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고자 하는 데 연구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 청소년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기부태도의 차이는 어떠한가? 둘째, 자아존중감, 기부 동기 및 기부태도 간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자아 존중감과 기부태도의 관계에서 기부동기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로 설정하였다.
  • 하지만 이러한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하여 자존감과 기부태도 사이에서의 기부동기의 매개효과를 밝힌 최초의 연구라는 점에 의의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는 청소년들의 기부태도를 높이는데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고, 관련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연구적 함의가 있다.
  •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 청소년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기부태도의 차이는 어떠한가? 둘째, 자아존중감, 기부 동기 및 기부태도 간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자아 존중감과 기부태도의 관계에서 기부동기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아직까지 부족한 청소년의 기부행동을 증진시키기 위한 정책적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함의가 있을 것이다.

가설 설정

  •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청소년들을 한 집단으로만 파악하여 이루어졌으나 성별, 학교급에 따라 기부태도의 차이가 있으므로 기부동기의 매개효과도 차이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청소년 집단을 성별, 학교급에 따른 연구가 필요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소년의 기부 행위란? 청소년의 기부 행위란 청소년 스스로가 육체적, 정신적 자원을 활용하여 자발적으로 타인 및 사회를 위하여 대가를 요구하지 않으며 스스로 계획을 세우고 일정한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행하는 것을 말한다[1]. 이러한 기부 행위 속에서 청소년들은 자신들의 재능과 소질을 발견할 수 있고, 공동체 생활을 체험하는 수련활동으로서의 의의를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2].
기부 행위가 청소년에게 어떤 영향을 끼치는가? 청소년의 기부 행위란 청소년 스스로가 육체적, 정신적 자원을 활용하여 자발적으로 타인 및 사회를 위하여 대가를 요구하지 않으며 스스로 계획을 세우고 일정한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행하는 것을 말한다[1]. 이러한 기부 행위 속에서 청소년들은 자신들의 재능과 소질을 발견할 수 있고, 공동체 생활을 체험하는 수련활동으로서의 의의를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2]. 따라서 기부는 청소년들이 사회 문제와 사회 변화에 참여하는 과정이자 시민의식을 실천할 수 있는 장이 되며, 다양한 사회 성원들과 신뢰를 구축하여 사회적 가치와 자본을 창출하는 수단이 된다[3].
청소년의 기부 활동이 일회성으로 그칠 가능성이 높은 이유는 무엇인가? 청소년들은 사회학적 관점에서 볼 때 향후 기부 가능성을 지니고 있는 잠재적 기부자이며 기부 문화 정착을 위한 주된 관심의 대상이다[4].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대부분의 청소년들이 기부에 대한 인식이 낮고 필요성을 갖고 있지 못하며, 상급 학교 진학의 일환으로 기부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인 것으로 보고되었다 [5]. 이러한 여건 하에서는 기부 활동이 일회성으로 그칠 가능성이 높아 지속적인 기부 활동으로 이어지기는 어려울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B. K. Kim. (2015).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Donation Behavior of Teenage.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Daegu. 

  2. J. Ulziibayar. (2011).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on the Persistence of Adolescents' Volunteer Activit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ngkyoul University, Kyunggi. 

  3. C. S. Lee & K. B. Song. (2013). A Study on the Donations and Related Variables of Adolesc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1(12), 725-734. DOI: 10.14400/JDPM.2013.11.12.725 

  4. M. S. Kim. (2013). A Study on the Factors Related with Adolescents' Donation Motive and Attitude toward Donation. Unpublished Doctoral thesis. Hanseo University, Chungnam. 

  5. E. Y. Na. (2016). Study for the Influence Caused by the Interaction between the Message Framing of Public Service Campaign and Self-Efficacy on the Donation Intent of Teenage.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gang University, Seoul. 

  6. Y. Y. Hwang, M. J. Oh & J. C. Jeong. (2013). A Comparative Study on Donation Intention Between Young and Senior Generations: The Moderating Role of Psychological Distance and Moral Identity. Korean Management Review, 42(6), 1715-1736. 

  7. H. J. Ha. (2004).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Individual Donation in Ko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gju University, Chungbuk. 

  8. G. W. Allport. (1935). A Handbook of Social Psychology. MA: Clark University Press. 

  9. S. J. You. (2001). A study on the Deteminants of Philanthropy: Focusing on Seoul Citizen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eonsei University, Seoul. 

  10. M. H. Ryou. (2015). A Study on Adolescent Consumer' Donation Attitude and Donation Intention.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33(6), 97-113. 

  11. M. Rosenberg. (1965). Society and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12. S. J. Lee. (2013). Impact of Self-esteem and Message Framing on Responses toward the International Relief Campaign.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57(5), 56-77. 

  13. R. Bennett. (2003). Factors Underlying the Inclination to Donate to Particular Types of Charity. International Journal of Nonprofit and Voluntary Sector Marketing, 8(1), 12-29. DOI: 10.1002/nvsm.198 

  14. K. A. Burton, J. S. Gore & J. Sturgeon. (2012). The Role of Relational Self-construal in Reactions to Charity Advertisements. Self and Identity, 11(3), 343-359. DOI: 10.1080/15298868.2011.583529 

  15. J. A. Piliavin, & H. Charng. (1990). Altruim: A Review of Recent Theory and Research. Annual Review of Sociology, 16(1), 27-65. 

  16. G. Glenday, A. K. Gupta, & P. Pawlak. (1986). Tax Incentives for Personal Charitable Contribution. The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68(4), 688-693. DOI: 10.2307/1924530 

  17. H. S. Kim. (2009).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on constant donation Inten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nam University, Jeonbuk. 

  18. A. R. Andreasen & P. Kotler. (2007). Strategic Marketing for Nonprofit Organizations (7th ed). NJ: Pearson. 

  19. Y. N. Kim. (2002). A Study on the Donations and Philantropic Effort in Social Welfare Organization: In Focus of On-line don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Ihwa Woman University, Seoul. 

  20. S. J. Jo. (2006). An economic analysis on private provision of public goods : empirical studies of individual giving behaviors. Unpublished Doctoral thesis. Yeonsei University, Seoul. 

  21. H. J. Ha. (2004).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Individual Donation in Ko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gju University, Chungbuk. 

  22. H. I. Cho. (1991). A Study on Personal and Organizational Traits Related with Volunteer Activities in the Area of Korea Social Welfare. Unpublished Doctoral thesis. Soongsil University, Seoul. 

  23. L. M. Salamon, S. S. Wojciech & H. K. Anheier. (1996). The emerging sector. Baltimore: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24. R. M. Baron & D. A. Kenny.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3. 

  25. M. E. Sobel. (1982). Asymptotic Intervals for Indirect Effects in Structural Equations Models, In S. Leinhart(ed), Sociological Methodology. San Francisco: Jossey-Bass. 

  26. Y. K. Kim. (2003).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Online Donation Behavior to Charit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Ihwa Woman University, Seoul. 

  27. D. Y. Lee. (2013). Influence Factors on Satisfaction with and Participating Attitude in Volunteer Work in Management of Urban Parks : Focused on Seoul Forest' volunte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8. C. S. Lee & H. Y Jang. (2017). The Effects of Sense of Community and Trust in Charitable Organization on Donation Motive and Attitude of Adolesc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4), 83-89. DOI: 10.14400/JDC.2017.15.4.8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